Part 01 이론적 이해 : 이론과 담론의 재편성 chapter 01 열린 평생학습사회와 교육체제의 변화 = 3 Ⅰ. 서론 = 4 Ⅱ. 학습사회가 상정하는 교육체제의 지형 변화 = 6 1. 평생학습과 교육체제 변화 의미 = 6 2. 학습사회 안에서 재구성되는 교육체제와 변화 = 8 3. 공교육 체제의 유연성 확보와 연계 강화 = 11 Ⅲ. 교육체제 재구조화를 위한 조건과 방향성 = 15 1. 교육 영토를 둘러싼 새로운 기획 = 15 2. 교사, 학습자,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교육체제 통합 = 16 3. 평생학습사회의 통합적 교육과정 = 18 4. 학교-사회-삶의 경계 넘기 = 24 Ⅳ. 결론 및 시사점 = 26 chapter 02 평생학습 담론과 다문화교육의 조우 : 의미와 맥락 = 33 Ⅰ. 서론 = 34 Ⅱ. 평생학습에서의 다문화 담론 : 이론적 고찰 = 39 1. 성인교육 논의에서 살펴본 평생학습과 다문화주의 지형 = 39 2. 경계선을 넘나드는 다문화적 학습 담론 = 42 Ⅲ. 학습사회의 관계와 소통 다원성 : 시민사회와 참여적 시민 = 45 Ⅳ. 다문화주의에 기반한 평생교육 논의의 새로운 방향 = 49 Ⅴ. 결론 및 시사점 = 52 Part 02 다문화사회, 변화하는 평생교육 정책과 실제 chapter 01 외국 출신 이주민을 포용하는 평생교육 정책과 쟁점 = 63 Ⅰ. 서론 = 64 Ⅱ. 이주민 평생교육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동향 분석 = 66 1. 이주민 평생교육의 이념과 지향성에 대한 논의 = 66 2. 이주민 평생교육의 법적 기반과 준거에 대한 비판적 고찰 = 71 Ⅲ. 주요 부처별 이주민 대상 평생교육의 실제 = 75 1. 여성가족부의 추진 현황 = 76 2. 고용노동부 추진 현황 = 78 3. 안전행정부 추진 현황 = 80 4. 문화체육관광부 추진 현황 = 82 Ⅳ. 이주민 대상의 평생교육 쟁점과 논의 = 84 1. 평생학습 관점의 누락과 칸막이 구획화 = 84 2. 다문화의 딜레마와 평생교육 대상의 제약 = 86 3. 교육사업과 단위 프로그램의 내용적 한정 = 88 4. 이주민 대상 평생교육 통합방식의 모호성과 상호작용 부재 = 90 Ⅴ. 결론 및 시사점 = 92 chapter 02 국제결혼이주여성과 이주여성노동자의 교육 참여 현실 = 99 Ⅰ. 서론 = 100 Ⅱ. 이론적 배경 = 102 1. 이주의 여성화와 이주여성문제에 대한 비판적 이해 = 102 2. 이주여성의 교육과 사회 적응에 대한 논의와 실천 = 105 Ⅲ. 연구방법 = 109 Ⅳ. 분석결과 및 논의 = 112 1. 교육 참여의 현실과 한계 = 112 2. 평생교육의 역할과 과제 = 120 Ⅴ. 결론 및 시사점 = 126 chapter 03 지역사회 이주노동자 지원센터와 다문화학습 = 131 Ⅰ. 서론 = 132 Ⅱ. 평생교육담론과 다문화주의 논의 : 이론적 고찰 = 140 Ⅲ. 평생학습의 다문화주의 맥락 : 실제 탐색 = 144 1. 학습의 맥락 : 타자화, 갈등 그리고 다문화적 학습 역동 = 144 2. 학습의 구성 양식과 학습 내용 : 다원성을 통한 경험의 재구조화 = 150 3. 현상학적 해석 : 존재, 관계, 그리고 다문화적 경험을 통한 성장 = 159 Ⅳ. 결론 및 시사점 = 163 chapter 04 성인학습자 대상 다문화교육의 실제와 쟁점 = 171 Ⅰ. 서론 = 172 Ⅱ. 이론적 배경 = 176 1. 평생교육과 다문화교육 : 맥락과 접근 = 176 2. 성인대상 다문화교육 : 목적, 대상 및 주체, 내용과 방법을 중심으로 = 178 Ⅲ. 성인대상 다문화교육의 실제 분석 = 186 1. 성인대상 다문화교육의 목적 = 186 2. 성인대상 다문화교육의 대상 및 주체 = 189 3. 성인대상 다문화교육의 내용과 방법 = 191 Ⅳ. 성인대상 다문화교육의 쟁점. 한계, 그리고 방향 = 194 chapter 05 한국 기업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전개 양상과 특성 = 201 Ⅰ. 서론 : 문제제기 = 202 Ⅱ. 이론적 배경 = 203 1. 다문화주의와 기업에 대한 이해 = 203 2.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다문화를 둘러싼 논의 = 204 3. 다문화맥락에서 기업의 다양성 관리와 사회 통합 논의 = 205 Ⅲ. 연구대상 및 분석틀 = 206 1. 문헌분석 = 206 2. 자료선정과정 = 207 3. 자료분석과정 = 208 Ⅳ. 분석결과 : 단계별 흐름 분석과 내용 쟁점 = 209 1. 한국 주요 기업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정책과 기조 = 209 2. 주요 기업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특성과 내용 = 214 3. 주요 기업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참여 대상 변화 추이 = 218 Ⅴ. 기업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한계와 시사점 = 220 1. 시대의 흐름을 수동적으로 따라가는 변방의 파편화된 프로그램 = 220 2. 다양성 관리와 유리된 기업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 221 3.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참여 대상 및 효과의 표피성과 불투명성 = 222 Ⅵ. 결론 및 시사점 = 223 Part 03 해외 다문화국가의 평생교육 현장과 사례 chapter 01 다문화주의를 둘러싼 서구 유럽의 갈등과 평생교육 = 231 Ⅰ. 서론 = 232 Ⅱ. 다문화주의와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론적 이해 = 234 1. 이주, 다문화주의, 그리고 다문화교육 = 234 2. 통치 담론으로서의 다문화주의 : 다문화주의 갈등을 이해하는 렌즈 = 236 Ⅲ. 다문화주의를 둘러싼 해외의 갈등 담론과 이슈 고찰 = 238 1. 주요 국가별 다문화주의를 둘러싼 갈등 담론 = 240 2. 해외의 다문화주의 관련 갈등과 소요 = 246 3. 호주의 난민 폭력 시위와 다문화주의를 둘러싼 긴장 = 253 Ⅳ. 한국의 다문화 갈등 상황과 다문화교육의 방향 = 256 1. 다문화주의 갈등의 일면 : 외국인에 대한 목욕탕 차별 = 256 2. 한국의 다문화 갈등과 다문화교육 성찰 = 259 Ⅴ. 결론 및 시사점 = 261 chapter 02 영국의 중도입국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 체계 = 271 Ⅰ. 서론 = 272 Ⅱ. 영국의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교육 기조와 방향 = 274 1. 영국 다문화배경 학습자 지원을 위한 교육복지 기조 = 274 2. 영국의 중도입국 다문화가정 학생 현황 = 275 Ⅲ.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체제 = 279 1. 중도입국 다문화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 방안과 그 특징 = 279 2. 다문화배경을 가진 학생을 위한 학교 지원 방안 = 288 3. 교육지원체제 성공 사례 = 295 Ⅳ. 결론 및 시사점 = 300 chapter 03 캐나다의 이주민 정착 지원을 위한 교육 실제 = 311 Ⅰ. 서론 = 312 Ⅱ. 이론적 배경 = 312 Ⅲ. 연구방법 = 316 Ⅳ. 연구결과 = 317 1. 캐나다의 이주민 교육지원정책 특성 : 다문화주의 모형과 간문화적 접근 = 317 2. 캐나다 연방정부의 이주민 지원과 커뮤니티 기반 교육적 접근 = 319 3. 캐나다 지방정부의 이주민 교육내용 및 프로그램 : 프린스 에드위드 아일랜드를 중심으로 = 322 4. 이주민 교육의 주체, 수혜자 및 학습자 : 교육 초점과 특성 = 324 Ⅴ. 결론 및 시사점 = 331 chapter 04 캐나다와 호주 전문대학의 성인 이주민을 위한 교육 실제 = 339 Ⅰ. 서론 = 340 Ⅱ. 이론적 배경 = 341 Ⅲ. 캐나다 전문대학의 이주민교육 현황 분석 = 344 1. 캐나다의 이주민 유입상황 및 실태 = 344 2. 캐나다의 이주민교육 정책 = 345 3. 이주민교육기관으로서의 캐나다 전문대학 역할 = 346 4. 캐나다 전문대학의 이주민교육 사례 = 347 Ⅳ. 호주 전문대학의 이주민교육 현황과 특성 = 350 1. 호주의 이주민 유입상황 및 실태 = 350 2. 호주의 이주민교육 정책 = 351 3. 이주민교육기관으로서의 호주 전문대학 역할 = 352 4. 호주 전문대학의 이주민교육 사례 = 353 Ⅴ. 결론 및 시사점 = 355 chapter 05 호주의 국제난민을 둘러싼 다문화담론과 이주민 교육 = 365 Ⅰ. 서론 = 366 Ⅱ. 다문화담론과 평생교육 논의 = 366 Ⅲ. 난민 이주민을 둘러싼 다문화담론의 양면성 : 인도주의와 통치성 = 371 1. 인도주의적 이념(humanitarian ideology)으로서의 다문화주의 = 372 2. 국민국가의 통치성(governmanality)으로서의 다문화주의 = 375 Ⅳ. 난민 성인학습자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그 전개 = 378 1. 이주민을 위한 성인 영어교육 서비스 : 정부의 공적 지원 = 378 2. 지역사회의 시민 의식 함양 프로그램 : 시민사회의 다문화학습 저변 = 380 3. 정부-시민단체-학계의 연계 협력 움직임 = 383 4. 제한된 교육 접근성과 다문화담론의 실천 괴리 : 한계와 과제 = 384 Ⅴ. 결론 및 시사점 = 388 chapter 06 호주의 국제난민 정착과 난민 이주민의 학습활동 실제 = 397 Ⅰ. 서론 = 398 Ⅱ. 초국경 이주와 평생학습 논의 = 401 Ⅲ. 연구방법 = 407 Ⅳ. 분석결과 = 409 1. 학습 맥락 및 과정 : 분절을 통한 학습 역동 = 409 2. 학습 영역 및 내용 : 소외, 성찰, 전환 = 416 Ⅴ. 결론 및 시사점 = 424 찾아보기 = 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