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 = 9 프롤로그 = 17 1장 ''사회적 시장경제'' : 한국과 독일,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른가? 1. 유학 생활에서 느낀 평범한 독일인의 일상 - 사회적 약자의 보호 = 24 2. 10년 지나도 그대로인 독일의 물가 - 비슷한 삶의 질 향유 = 30 3. 상인을 보호하는 독일의 상점 - 최소한의 생활 보장 = 35 4. 수입의 40퍼센트가 세금인데 조세저항 없는 독일 - 높은 세금과 사회보험료 = 39 5. 독일의 ''사회적 시장경제''란 무엇인가? - 독일의 경제 규범 = 43 2장 독일의 교육제도 : 사교육과 등록금이 없는 사회 1. 독일 교육이 부러운 까닭 - 교육 문제의 본질 = 52 2. 자신의 소중함과 남에 대한 배려를 중시하는 초등교육 - 독일의 유치원과 초등학교 = 59 3. 학업 능력에 적합한 교육 실시 - 독일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 65 4. 등록금이 없는 독일의 대학 - 독일의 대학교 : 구조적 측면 = 74 5. 독일 대학과 한국 대학의 차이 - 독일의 대학교 : 질적인 측면 = 85 3장 독일의 주거문화 : 독일에서는 왜 2년마다 이사 다니지 않아도 되는가? 1. 독일인은 아파트에 살지 않는다 - 독일 주택의 특징 = 96 2. 가족 수가 많아지면 주거공간도 넓어져야 - 독일의 자전거 문화, 사회주택 = 103 3. 전세제도 없는 독일에서의 월세 체험 - 독일의 월세제도 = 109 4. 집 살 필요 없는 독일 - 독일의 세입자 보호대책 = 115 5. 베를린 한복판의 공공임대주택 보고 놀란 사연 - 독일의 주택정책 = 122 4장 독일의 복지제도 : 어떤 경우에도 최소한의 인간다운 삶이 보장되는 사회 1. 복지사회란 무엇인가? - 복지사회의 의미 = 130 2. 사회국가를 ''빨갱이''로 매도하면 복지국가도 없다 - 사회국가의 의미 = 136 3. 큰 병 걸리면 집 파는 한국, 독일은? - 독일의 건강보험 = 142 4. 일하는 노인을 보기 어려운 이유 - 독일의 연금보험 = 150 5. 실업자도 사람답게 살려면 ''이것''이 필요하다 - 독일의 실업보험, 사회보조금 = 157 5장 독일의 일자리 문제 : 안정적 일자리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1. 인건비가 세계 최고 수준인 나라 - 독일의 인건비 = 166 2. 독일인은 왜 대학입시에 목매지 않을까? - 독일의 직업교육 = 173 3. 한국, 미용실 수습생 시급 3,000원 - 독일의 일자리 및 노동시장 = 179 4. 노동자 해고 어려운 독일의 국가경쟁력은? - 독일의 고용보호, 동일노동 동일임금 = 186 5. ''히든 챔피언'', 독일이 위기에 강한 이유 - 독일의 중소기업 정책 = 191 독일 노동시장의 10가지 사실 = 198 독일 경제의 7가지 성공 요인 = 200 6장 독일의 노사관계 : 그들은 왜 노사갈등이 심하지 않을까? 1. 독일의 파업 뉴스 보다가 놀란 사연 - 독일의 시위문화 = 204 2. 독일의 파업손실시간이 스페인의 35분의 1인 이유 - 독일의 노동조합 = 209 3. 독일 경영자가 ''사회적 시장경제''의 핵심으로 꼽은 것은? - 독일의 공동결정제 = 217 4. 제2의 동양그룹 사태 막으려면 ''이것''이 필요하다 - 정치권 반응 = 222 5. 경제위기 극복한 독일, 비장의 무기 있었다 - 독일의 조업단축 = 227 6. ''노동자의 천국'' 독일에도 고민이 있다! - 독일 노조와 정당의 관계 = 232 7. 다당제로 변화한 독일의 다양한 노동정책, 한국은? - 독일 정당의 노동정책 = 238 7장 독일의 에너지 및 환경정책 : 독일이 원전을 중단한 것은 후쿠시마 때문이 아니다 1. 메르켈 총리가 ''원전 제로'' 택한 건 후쿠시마 때문이 아니다 - 독일의 원전 폐기 = 248 2. 독일 냉장고, 서리제거 기능이 없는 이유는... - 독일의 친에너지 전자제품 = 252 3. 독일보다 3배 싼 한국 전기요금, 이젠 올려야 한다 - 독일의 비싼 전기요금 = 256 4. 겨울철 독일에서는 물주머니가 생활필수품! - 독일의 에너지 절약 = 261 5. 독일에서는 페트병도 돈이 된다 - 독일의 녹색당과 환경정책 = 267 6. 독일 환경장관이 ''4차 산업혁명''이라고 한 것은? - 독일의 재생에너지 정책 = 272 8장 ''사회정의''의 문제 : ''사회적 공정성''을 최우선하는 독일 사회 1. ''사회적 공정성''을 강조하는 독일, 우리와 차원이 다르다 - 사회정의의 의미 = 280 2. 사회정의에 둔감한 정부, 51%만 행복하면 그만? - 비정규직 문제 = 287 3. 한국 사회의 4가지 폐단, 비정규직을 만들다 - 비정규직 문제의 원인 = 294 4. 한국 장관은 법인카드 유용! 독일은? - 내부고발과 사회정의 = 303 5. 한국이 정치로 ''사회적 합의''를 이룰 수 없는 이유 - 사회적 합의의 방법 = 309 에필로그 =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