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1부: 유학의 심성론
1장. 유학 심성론의 형성과 전개
1. 유학의 성립
2. 중국 고대의 유학사상
3. 중국 중세와 근세의 유학사상
4. 유학의 한국적 전개
2장. 맹자 성선론의 이론적 근거
1. 양심과 본심은 성선의 근거이다.
2. 성선은 하나의 단서이다.
3. 성선의 방법-自反
4. 성선의 구체적 사례
5. 맺음말
3장. 주자의 심성론
1. 맹자의 심성론
2. 주자의 심성론
3. 맹자와 주자 심성론의 이론적 분기
4. 맺음말
2부: 퇴계학파의 심성론
4장. 퇴계학파의 연구현황과 전망
1. 퇴계학파의 연구현황 및 분석
2. 전망 및 향후과제
5장. 천명도설로 보는 심성구조
1. 양촌 권근의 「天人心性合-之圖」
2. 하서 김인후의 「天命圖」
3. 추만 정지운의 「天命舊圖」
4. 퇴계 이황의 「天命新圖」
5. 퇴계 이황의 「心統性情圖」
6. 맺음말
6장. 퇴계와 고봉의 사단칠정론
1. 퇴계 이황의 사단칠정론
2. 고봉 기대승의 사단칠정론
3. 맺음말
7장. 퇴계학파와 율곡학파의 사단칠정론 변증
1. 퇴계학파의 사단칠정론
(1) 相須說에 근거한 주리?주기의 해석
(2) 互發說에 대한 적극적 해석
2. 율곡학파의 사단칠정론
(1) 氣發理乘-途에 근거한 주리?주기 해석
(2) 氣發理乘-途의 이론적 강화
3. 맺음말
8장. 조선 후기 퇴계학파의 理發說에 대한 해석
1. 퇴계의 理發說이 갖는 문제의식
2. 퇴계학파에서의 理發說에 대한 해석
(1) 여헌 장현광의 ‘理發-條說’
(2) 갈암 이현일의 ‘理發氣發說’
(3) 대산 이상정의 ‘相須互發說’
(4) 한주 이진상의 ‘理發-路說’
3. 맺음말
3부. 갈암과 우담의 심성론
9장. 율곡 성리설에 대한 갈암과 우담의 비판이론
1. 發의 문제
2. 사단칠정의 문제
3. 인심도심의 문제
4. 맺음말
10장. 갈암과 우담의 인물성동이론
1. 갈암 이현일의 인물성이론
2. 우담 정시한의 인물성이론
3. 맺음말
11장. 갈암과 극재의 사단칠정론
1. 갈암 이현일의 사단칠정론
2. 극재 신익황의 사단칠정론
3. 맺음말
12장. 갈암과 우담의 인심도심론
1. 갈암 이현일의 인심도심론
2. 우담 정시한의 인심도심론
3. 맺음말
13장. 졸재와 우담의 「心統性情圖」에 대한 해석
1. 졸재 류원지의 「心統性情圖」 해석
(1) 퇴계의 「心統性情圖」 해석
(2) 율곡의 「心性情圖」 비판
2. 우담 정시한의 「心統性情圖」 해석
3. 맺음말
14장. 우담 성리설의 구조적 이해
1. 인심과 도심은 -源이다.
2. 인심과 도심은 同體이다.
3. ‘物格’과 ‘知至’는 하나의 일이다.
4. 맺음말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