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유가 철학은 욕망론이다 = 5 Ⅰ. 유가 철학의 욕망론에 관한 기본 문제 = 27 1. 유가 철학의 욕망 경계(境界) = 27 (1) 유가 철학의 ''욕망''론의 기초적 접근 = 27 1) 인(仁)을 성취하는 대장정과 욕망 = 27 2) 학파들마다 욕망에 대해 다양한 의미를 부여하다 = 30 3) 시대 상황에 따라 달라진 욕망 토론의 양상 = 32 (2) 개념의 문제: 바람, 욕구 그리고 욕망의 경계(boundary) = 33 2. 본원 유가에서의 욕망 문제 = 38 (1) 도덕적 주체성과 사회사적 의의 = 38 (2) 공자의 욕망론: 배려와 관계성 확보 = 42 1) 인간다움의 길: 인(仁) = 42 2) 더불어 살기 위한 전제 조건: 욕망의 극복과 절제 = 45 (3) 맹자의 욕망론: 도덕성과 사명으로 극복되는 동물적 욕망 = 48 1) 생명성, 도덕성 그리고 욕망의 문제 = 48 2) 도덕적 사명으로 극복되는 욕망 = 54 3) 욕망 줄이기와 공유 = 59 4) ''의''를 위한 욕망의 유보 = 60 5) 마음, 지(志: 의지) 그리고 호연지기 = 62 (4) 순자의 욕망론: 욕망의 외적 통제 필요성의 제기 = 66 1) 나면서부터 갖는 욕망 = 66 2) 욕망과 기질지성 = 68 3) 욕망의 조절과 사회제도 = 72 4) 욕망, 인간의 행위 그리고 마음 = 77 5) 도, 예제 그리고 마음 비움의 중요성 = 79 6) 한결같은 고요 상태로 마음 비우기 = 81 3. 본원 유가 욕망론의 궁극적 정신 = 83 (1) 나의 욕망을 뒤로 미루는 지도자가 필요한 때 = 83 (2) 정의로운 호연지기로 백성과 욕망을 공유하는 사람 = 85 (3) 사려 깊은 제도를 구축하여 욕망 조절하기 = 86 Ⅱ. 유가 욕망론의 전근대적 전개: ''이성에서 욕망으로''의 합리주의 = 89 1. 이성에서 욕망으로 - 합리주의 욕망론 = 89 (1)『사서집주』와 욕망 = 89 (2) 도ㆍ인(仁)ㆍ욕망에 대한 토론의 단초 = 94 2. 이성과 욕망의 문제 = 99 (1) 이치와 이성 = 99 (2) 이치와 욕망의 변별 = 101 (3) 공공성(公空性) - 공리주의(公利主義)의 실현을 위한 사려 = 107 3. 성품, 감정 그리고 욕망 = 111 (1) 장재의 기 철학적 사유와 욕망 = 111 (2) 성품, 감정 그리고 욕망 = 116 (3) 기질지성, 천지지성, 공취지성 그리고 욕망 = 119 (4) 모든 것에 우선하는 ''천리'', 더러운 찌꺼기와 같은 욕망 = 122 4. 마음, 성품, 감정 그리고 욕망의 경계 = 126 (1) 이치와 욕망의 경계, 그리고 궁극적 지향점 = 126 (2) 인심과 인욕, 마음과 욕망의 경계 = 131 ① 인심이 곧 천리이다 ② 인심은 ''천리와 인욕''이다 ③ 인심이 곧 ''인욕''이다 (3) 심(心), 성(性), 정(情), 의(意)의 마음 범주와 욕망 = 140 1) ''심통성정(心統性情)'' - 마음이 성품을 통솔하고 주재한다 = 140 2) 하나의 과정으로서 심(心)ㆍ성(性)ㆍ정(情)ㆍ의(意) 일로(一路)와 욕망의 문제 - 율곡 이이의 견해를 중심으로 = 146 3) 욕망은 ''정''에서 발출하는 것 = 150 5. 욕망 다스리기: 경(敬)을 지탱하고 의(意)를 성실하게 하는 일 = 151 (1) 이치 실현의 장애물인 욕망의 제거 = 151 (2) 사단칠정론도 욕망 제거에 관한 토론이다 = 154 1) 욕망 제거의 방법 - ''지경(持敬)'' = 154 2) 욕망 제거의 방법, ''성의(誠意)'' - 의지를 알차게 함 = 161 Ⅲ. 근대적 분화: ''욕망에서 이성으로'' = 165 1. 욕망에서 이성 찾기 = 165 (1) 이성에 가려진 욕망의 성찰 = 165 (2) 절충적이면서 과도기적인 욕망론 = 168 1) 욕망은 본성이고, 사람의 행위에는 선과 악이 있다 = 168 2) 과도기적 욕망 인식: 물리인정, 인욕자연, 천리자연 = 172 2. 일상의 욕망과 공유(公有) = 175 (1) 도덕적 사명이 된 성품에 대한 인식의 전환 = 175 (2) ''성''에는 정욕도 포함된다 = 178 (3) 일상의 욕망을 성취하는 공동체 = 182 3. 사적 욕망의 합리성 인식 = 185 (1) ''근대성''과 ''근대''의 문제 = 185 (2) 사물에 마음이 가게 하는 사(私) = 191 (3) 공리주의(公利主義) 문제 = 195 4. 인간의 도리, 사물의 이치, 그리고 욕망 = 199 (1) 무엇을 위한 이분법인가: 본질과 작용은 따로 있지 않다 = 199 (2) 도덕의 논의는 현실의 일에 포함된다 = 201 (3) 성품, 감정 그리고 욕망에 관한 합일적 인식 = 204 (4) 사물의 이치를 비추어 사람의 도리를 알 수 있다 = 207 (5) 이치는 욕망에서 드러난다 = 210 (6) 타고난 욕망, 사람이 만든 이치 = 212 5. 근대 합리성과 욕망 = 216 (1) ''물질욕''에 관한 인식 = 216 (2) 사물 실천의 주체로서 몸과 욕망 인식 = 220 (3) ''선''일 수도 있고, ''악''일 수도 있는 욕망 = 225 1) 적절한 욕망은 ''선''이다 = 225 2) 욕망은 기본적인 것으로, 나와 타자에 함께 기여하면 선이다 = 227 6. 근대의 내적 공간과 욕망 인식 = 231 (1) 근대적 주체성과 욕망 = 231 1) 자연관의 근대적 전회: 내가 역사의 주체다 = 231 2) 자아, 마음 경지의 중요성 인식 = 236 3) 의지의 경계, 근대 모더니티의 길 = 238 (2) 욕망의 인식과 공사(公私) 문제 = 241 1) 전근대적 지향점: 욕망이나 이익의 추구는 악이다 = 241 ① 미녀를 보고 좋아하듯이 이치와 정의를 좋아하는 마음 ② 의리는 공, 이익은 사 2) 절충주의의 지향점: 공적이고 방종하지 않는 욕망은 좋다 = 247 (3) 정의와 이익은 상충되지 않다 = 249 1) 의리와 공리의 구분 문제 = 249 2) 공리주의적 전환: 정의와 이익은 서로 붙어 있다 = 253 3) 근대 공리주의: 공리주의적(功利主義的) 공리주의(公利主義) = 258 ① 복고에 대한 비판: 왕도정치만 고집할 수는 없다 ② 인(仁) 의미의 공리주의적 전개: 도리를 넘어 물리를 생각해야 4) 욕망과 도리(도덕)의 충돌 문제 = 268 Ⅳ. 욕망 충족을 위한 사회 시스템의 변화 = 271 1. 욕망 충족을 위한 제도의 필요성 = 271 2. 도(道)란, 제도 변혁의 공간이다 = 273 3. 예교, 명교 그리고 욕망 = 277 (1) 근본적 본질 변화의 문제 = 277 (2) 공공의 이익을 추구하는 지도자 = 279 1) ''단 하나의 이치''에 대한 회의 = 279 2) 사적 이익을 도모해 주는 국가 = 282 4. 욕망과 인권 = 284 (1) 균형 잡힌 소통 사회 = 284 (2) 약자가 도구가 되지 않는 세상 = 286 5. 욕망과 환경 = 288 (1) 사물의 유기적 존재에 관한 성찰 = 288 (2) 절제된 욕망을 통한 사물 접근 = 292 Ⅴ. 유가 욕망론의 정신과 메타 담론의 가능성 = 297 1. ''오늘 이곳''에서 성찰하기: 인간 욕망의 불가피성 = 297 2. 물질 합리주의에 대한 성찰 = 302 (1) 물질주의에 묻히는 진정한 존재 방식 = 302 (2) 도리와 물리, 그리고 의리와 욕망 = 304 3. 제대로 사물 보기, 대상의 인식에 장애가 되는 욕망 = 307 (1) 욕망에 가려지는 이치 = 307 (2) 이치의 실현과 사려 깊은 마음가짐: 우환 상태 = 312 4. 참된 마음의 경계와 욕망의 실현 = 314 (1) 욕망의 보편성과 물질의 추구 = 314 (2) 사람의 마음이 가는 곳: 의경(意境) = 316 (3) 나쁜 욕망의 ''경계''와 한계 넘기 = 320 참고문헌 = 323 에필로그 = 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