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역사 제1절 한국 1. 한국 의학사의 전반적인 흐름 2. 한국 의학의 중요 성과 제2절 중국 1. 고대 중국 의학 이론체계의 형성 2. 고대 중국 의학 이론체계의 확립 3. 중국 의학 이론체계의 발전 제3절 국제기구
제2장 관점과 사유 제1절 관점 1. 천인관(天人觀) 2. 생명관 3. 질병관 제2절 사유(思惟) 1. 사유 특징 2. 사유 방법
제3장 이론체계 제1절 정체관념(整體觀念) 1. 유기적인 통일체로서 인체 2. 사람과 자연환경의 통일성 3. 사람과 사회환경의 통일성 제2절 변증논치(辨證論治) 1. 병(病)、증(證)、증(症)의 기본 개념 2. 변증논치의 기본 개념 3. 동병이치(同病異治)와 이병동치(異病同治) 4. 변증(辨證)과 변병(辨病)의 결합
제4장 기、음양、오행 제1절 정기학설(원기론) 1. 고대 철학에서의 정과 기의 기본 개념 2. 정기학설의 기본 내용 3. 정기학설의 한의학에서의 응용 제2절 음양학설 1. 음양의 개념 2. 음양학설의 기본 내용 3. 음양학설의 한의학에서의 응용 제3절 오행학설 1. 오행의 기본 개념 2. 오행학설의 주요 내용 3. 오행학설의 한의학에서의 응용 제4절 기론、음양학설、오행학설의 상호관계
제5장 기、혈、진액 제1절 기(氣) 1. 기의 기본 개념 2. 기의 생성 3. 기의 운동 4. 기의 생리공능 5. 기의 분류 제2절 혈(血) 1. 혈의 기본 개념 2. 혈의 생성 3. 혈의 순행 4. 혈의 생리공능 제3절 진액(津液) 1. 진액의 기본 개념 2. 진액의 생성、수포와 배설(진액의 대사) 3. 진액의 공능 제4절 기혈진액의 관계 1. 기와 혈의 관계 2. 기와 진액의 관계 3. 혈과 진액의 관계
제6장 장상 제1절 장상학설(藏象學說) 1. 장상(藏象) 2. 장상학설의 형성 3. 장상학설의 특징 4. 오장、육부와 기항지부의 생리 특징 5. 장부 정기 음양의 개념과 작용 제2절 오장(五臟) 1. 간(肝) 2. 심(心) 3. 비(脾) 4. 폐(肺) 5. 신(腎) 제3절 육부(六腑) 1. 담(膽) 2. 위(胃) 3. 소장(小腸) 4. 대장(大腸) 5. 방광(膀胱) 6. 삼초(三焦) 제4절 기항지부(奇恒之府) 1. 뇌(腦) 2. 여자포(女子胞) 제5절 장부간의 관계 1. 오장 간의 관계 2. 육부 간의 관계 3. 오장과 육부의 관계
제13장 양생 제1절 양생의 기본 원칙 1. 자연의 법칙 - 시간의 리듬에 적응한다 2. 안정된 정신과 심리 상태를 유지한다 3. 적절한 성생활을 한다 4. 신체의 단련을 중요시한다 5. 음식을 적절하게 섭취한다 6. 병사(病邪)의 침해(侵害)를 막는다 제2절 양생의 주요 방법 1. 순시섭양(順時攝養) 2. 조신(調神) 양생 3. 석정(惜精) 양생 4. 음식 양생 5. 전통적인 건강체조법 6. 약물을 통한 양생 7. 추나(推拿)와 침구 양생 8. 체질과 양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