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14세기 동아시아의 정치 변동 왕조교체, 정권교체의 파도 원에서 명으로|강남의 경제력과 북경 천도|조선 왕조와 무로마치 막부 주자학 이념에 기반한 국가체제 주자학의 새로움|과거 관료제와 사대부|한국과 일본의 주자학 수용과 비수용 동아시아 국제 교역 체제 조공 체제의 재확립|정화의 남해 원정|북방 지역의 동정 류큐 왕국의 성립과 번영
2장 생산·생활 혁명 집약도작의 보급 동아시아 도작의 특징|중국의 집약도작 확립 과정|한국과 일본의 집약도작의 길 생활혁명과 문화교류의 양상 옷감 혁명|전통적 생활양식의 성립|문화교류의 여러 양상
3장 16세기 유동하는 동아시아 유럽 세력의 등장과 은의 비등 조선과 일본의 은|포르투갈의 동아시아 무역 참여|아메리카 대륙의 은과 스페인 동아시아 사회의 유동화 16세기 명의 화폐경제와 양명학|조선 사회의 계층화 현상|일본의 센고쿠 시대 도요토미 정권의 조선 침략과 동아시아 왜구와 도요토미 정권|임진·정유왜란=분로쿠·게이초의 역=만력조선역 동아시아의 구조 변동
4장 17세기 해금의 시대로 화이변태 만주족의 대두|명·청 교체와 동아시아의 변동|화기와 동아시아 대변동 화이변태 동아시아 삼국의 국가체제 국가 틀의 강화|국경의 획정|다민족 국가로서의 중국 경제적 아우타르키 청의 무역 체제|청의 조공 체제|조일 국교 회복과 조선통신사 도쿠가와 정권의 네 개의 창구|자급자족적 경제 체제|문화적 교류의 심화
5장 전통사회의 성숙 사대부, 양반, 무사 사대부와 양반|도쿠가와 일본의 무사|동아시아 전통사회의 특질 종족, 문중, 이에 부계 혈연 원리의 강화|가족·친족 결합의 확산 도시와 농촌 인구 동태|촌락의 변모|도시의 발전|화폐제도와 화폐경제의 침투 새로운 사상의 영위와 문화 기반의 확대 주자학의 지배와 그에 대한 비판|천주교와 서학의 영향 새로운 사상 조류와 문제점|문화기반의 확대 류큐와 베트남의 ‘중국화’ 류큐와 베트남의 위치|일본 지배하의 류큐와 ‘중국화’|베트남의 동아시아화?
6장 변화의 징조와 근대로의 전망 사회 불안의 증대와 민중 반란 백련교의 반란과 지방 세력|천변지이와 민중 반란 살며시 다가오는 서양 근대로의 전망
2부_주제사: 동아시아의 새로운 이해
1장 동아시아 연구사 동아시아 연구의 특수한 위치 한국 연구 - 내재적 발전론의 함정 일본 연구 - 이데올로기로서의 일본 봉건제론 중국 연구 - 전제국가론
2장 정치 이노베이션 중국의 정치 이노베이션: 집권적 국가체제와 주자학 이데올로기 정치 이노베이션을 파악하는 틀|과거제도의 확립과 집권적 국가체제 주자학의 탄생과 명대 국가교학의 확립 한국과 일본의 정치 이노베이션 역사적 전개|한국의 정치 이노베이션|중국과 조선의 과거제도 비교 중국의 서리와 조선의 향리|일본의 막번체제와 이노베이션의 한계 조선과 일본의 유교 수용 비교 : 『소학』 수용을 중심으로
3장 동아시아 족보 비교 신분제와 가족?친족 조직의 결절점, 족보 중국에서의 족보 편찬과 그 의미|동아시아 각 지역의 족보|조선의 족보
4장 동아시아 경제혁명과 집약도작 동아시아 집약도작의 위치 농업생산력의 파악 방법|현대 세계의 농업과 동아시아의 위치|도작의 여러 형태 중국의 집약도작 확립 화북의 전작에서 강남의 도작으로|화북 건지농법의 유산|명대 이후의 델타 개발 조선·일본으로의 집약도작 전파 조선의 전작형 도작의 전통과 극복|일본의 대개발과 도작사회화 전작에 대한 평가 동아시아의 농서 동아시아 농서의 원천으로서 중국 농서|관찬 농서 중심의 한국 농서 농서의 후발 주자 일본
5장 한반도의 도작 전개 15세기의 도작법과 『농사직설』 도작 전개의 역사 연구와 그 현황|15세기의 수전과 한전 비율 조선 최고의 농서, 『농사직설』|직파법 주체의 도작|건경법와 묘종법 『농가월령』의 도작법 고상안과 『농가월령』의 무대|묘종법의 위험 회피책|시비 기술의 발전 묘종법의 보급-17세기 이후 『농가월령』 도작법의 전국화|『산림경제』와 묘종법의 전국 확산 묘종법의 우월함과 ‘번답’ 현상 근대로의 전망: 건전직파법의 재평가
6장 소농사회의 형성과 국가의 토지 파악 방식의 변화 국가의 토지 파악 전통 한국의 토지 파악 방식의 변화 신라·고려 시대의 토지 파악|조선 전기 국가의 토지 파악|전환기로서 16세기 17세기 양전 방식의 변화|특권적 토지 소유의 해체 중국과 일본의 토지 파악 방식의 변화 중국의 토지 파악 방식|일본의 토지 파악 방식|결부·세무·석고 국가 토지 파악의 새로운 단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