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편 산업안전관리론(안전보건관리) Chapter 01 안전보건관리 조직 1. 안전관리 조직의 기본 유형 3가지 종류 1-2 2. Line형(直系형, 系線형) 조직의 특징 1-2 3. Staff형(참모식) 조직 1-3 4. Line-Staff 혼형(직계·참모식) 조직 1-4 5. 안전보건관리의 4-cycle(pdca) 1-5 6. 안전 조직의 책임 및 업무 내용 1-6 7. 안전 조직을 구성할 때 고려해야 하는 사항 중 가장 중요한 것 4가지 1-9 8. 안전 조직을 유효하게 활용하기 위한 안전 평가 시에 활용되는 분석 방법의 3가지 기본 유형 1-10 9. 안전보건 진단을 받아 안전보건 개선계획 수립·시행명령을 할 수 있는 사업장 1-10 10. 안전 관리자 등의 증원·교체 임명 명령 1-10 •출제예상문제 1-11 Chapter 02 안전보건관리 계획수립 및 운용 1. 사고 예방 원리 1-18 2. 안전의 정의 1-19 3. 사고와 재해 1-20 4. 안전의 의의 1-21 5. 산업 재해 발생 과정 1-21 •출제예상문제 1-27 Chapter 03 산업재해 발생 및 재해 조사분석 1. 재해 조사의 목적 1-31 2. 재해 조사 방법 1-31 3. 재해 조사 시의 유의 사항 1-32 4. 재해 발생 시 처리 순서 7단계 1-32 5. 재해발생 시 긴급처리내용 5가지 1-32 6. 재해 조사 시 잠재 재해 요인 적출요령 7가지 1-32 7. 재해 사례 연구 순서(Accident Analysis and Control) 1-33 8. 직접 원인 1-33 9. 관리적 원인 1-35 10. 재해 분석 모델 1-36 11. 재해 발생의 일반적인 경향 1-37 12. 재해 원인 분석 방법 1-37 13. 재해 손실비(Accident Cost) 1-38 14. 연천인율 1-40 15. 빈도율(F.R.=Frequency Rate of Injury) 1-40 16. 강도율(Severity Rate of Injury) 1-41 17. 종합 재해 지수(F.S.I=Frequency Severity Indicator) 1-42 18. Safe-T-Score 1-42 19. 재해 발생률의 국제 비교 1-43 20. 안전활동률 1-45 •출제예상문제 1-46 Chapter 04 안전 점검·인증 및 진단 1. 안전 점검의 정의 1-53 2. 안전 점검의 의의(목적) 1-53 3. 안전 점검의 종류 1-54 4. 안전 점검의 대상 1-54 5. 안전 점검 및 진단의 순서 1-55 6. 안전 점검 시 유의사항 6가지 1-55 7. 점검 방법에 의한 점검 1-55 8. 체크리스트 작성 시 유의 사항 1-56 9. 체크리스트에 포함하여야 하는 사항 1-56 10. 점검시의 재해 방지 대책(안전 대책) 1-56 11. 안전인증 대상기계 또는 설비 1-57 12. 자율안전확인 대상기계 또는 설비 1-58 13.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인증이 면제되는 대상 1-59 14. 안전인증 제품에 표시해야 할 사항 1-59 15. 자율안전 확인 제품에 표시해야 할 사항 1-59 •출제예상문제 1-60
제2편 안전보건교육 및 산업심리 Chapter 01 안전보건교육 1. 인간에 대한 기본적 안전 대책 2-2 2. 교육의 3요소(형식적 교육의 3요소) 2-2 3. 안전교육의 기본 방향 2-2 4. 안전교육의 3단계 2-3 5. 교육 추진 순서(안전교육 추진 순서 5단계) 2-3 6. 학습성과 설정시 유의하여야 할 사항 2-4 7. 강의계획의 4단계 2-4 8. 학습목적의 포함 사항 2-4 9. 전개 과정의 4가지 사항 2-5 10. 학습지도의 원리(학습지도 이론) 2-5 11. 안전보건교육 교육대상별 교육내용 2-5 12. 지도 교육의 8원칙(교육지도 8원칙) 2-8 13. 하버드학파의 5단계 교수법 2-8 14. 듀이의 사고 과정의 5단계 2-9 15. 교시법의 4단계 2-9 16. 의사전달 방법의 2가지 2-9 17. 강의법(Lecture Method) 2-10 18. 토의법(Group Discussion Method) 2-10 19. TWI(Training Within Industry, 산업 내 초급 관리자 훈련)교육내용 2-10 20. MTP 2-11 21. ATT 2-11 22. CCS 2-11 23. OJT와 OffJT 2-12 24. 수업방법 2-12 25. 단계법에 의한 교육의 4단계 2-13 26. 안전태도교육의 기본과정 2-13 27. 교육계획 2-14 28. 교육효과 2-14 29. 학습평가 방법 2-15 30. 학습평가의 기본적인 기준 4가지 2-15 31. 안전교육 추진 시 유의사항 2-15 32. 무재해 운동 2-16 •출제예상문제 2-25 Chapter 02 산업심리 1. 인간의 행동법칙 2-36 2. 인간의 심리 특성과 안전 2-37 3. 안전사고의 요인 2-39 4. 주의력과 부주의 2-40 5. 착시 2-42 6. 안전심리 2-44 7. 동기이론 2-46 8. 집단기능과 인간관계 2-47 9. 직업적성 및 적성의 분류(적성 요인) 2-49 10. 피로의 증상 및 대책 2-51 •출제예상문제 2-55
제3편 보호구 및 안전보건표지 Chapter 01 안전 보호구 1. 보호구의 특성 3-2 2. 보호구를 사용할 때의 유의사항 3-3 3. 안전 보호구를 선택할 때의 유의사항 3-3 4. 보호구의 구비 조건 및 보관 방법 3-4 5. 안전인증 기관의 확인사항 3-4 Chapter 02 보호구의 종류와 용도 1. 안전모 3-5 2. 보호안경 3-7 3. 안면보호구 3-9 4. 안전화 3-11 5. 안전대 3-13 6. 호흡용 보호구 3-15 7. 손보호장갑 3-16 8. 작업 복장 3-16 9. 방음 보호구의 종류 및 등급 3-17 10. 안전인증 및 자율안전확인 안전검사 3-18 Chapter 03 안전보건표지 1. 목적 3-19 2. 색채가 재해에 미치는 영향 3-20 3. 색채의 이용 3-20 4. 안전보건표지의 종류 3-21 5. 인정 요건 3-23 •출제예상문제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