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1장 | 주변 환경에 맞추어 진화한 생물

 소나무
 왜 한국인은 하필 소나무를 좋아할까
 소나무가 꿋꿋한 진짜 이유
 무지갯빛 솔잎이 자라난다면
“소나무 같은 정치인” 대신 “잣나무 같은 정치인”
피톤치드는 정말 우리 몸에 이로울까
 소나무의 미래를 바꾼 작은 실벌레

철쭉
 한반도 철쭉에 러시아 학자의 이름이 붙은 사연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꽃나무
 진달래와 철쭉을 구분하는 방법
 두 얼굴을 가진 철쭉의 무기, 그레야노톡신

고양이
 사람이 고양이를 길들인 이유
 고양이 시대의 시작
 아파트의 밤 고양이
 검은 고양이와 마녀의 관계

황조롱이
 매의 눈으로 무엇이든 본다
 도시에 사는 황조롱이의 먹이
 황조롱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이유
 사랑스러운 황조롱이의 모습

2장 | 같이 살고 싶지 않지만 사실은 동거 중

 빨간집모기
 사람이 모기를 이긴 것일까
 모기가 선택한 두 가지 삶의 방식
 모기 날갯소리의 비밀
 모기가 계절을 극복하는 방법
 모기는 정말 쓸모없는 곤충일까

애집개미
 가장 빠른 길을 찾는 현명한 방법
 작지만 위대한 애집개미
 개미는 화학자

집먼지진드기
0.3mm짜리 동물의 일생
0.3mm짜리 동물의 사랑
0.3mm짜리 동물 때문에 골치 아픈 사람들

지의류
 변신 합체 생물, 지의류
 내디딜 땅을 만들어 가는 생물
 시간을 복원하는 마법사
 도시에서 사라지고 다시 피어나고
 미래를 지배할 지의류
 지의류는 노화를 막을 수 있을까

3장 | 보이지 않는 것들이 만든 세계

 곰팡이
 죽은 것은 흙으로, 흙은 다시 새것으로
 인류를 구한 곰팡이
 곰팡이 포자가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

아메바
 세균 농사를 짓는 아메바
 서로 다른 두 생물이 하나로 합쳐진 이유
 가시아메바는 어떻게 우리 곁으로 찾아올까

미구균
 세균이 사는 아파트
 지구 밖의 우주정거장까지 진출한 미구균
 로봇을 움직이고 자동차를 달리게 하는 기술

코로나바이러스
 바이러스와 인류의 전쟁
 꼬리에 꼬리를 물고 퍼져 나가는 활동 방식
 코로나19의 탄생
 왕관을 쓴 바이러스
 사람들이 바이러스를 이용하는 방법
 아파트를 짓는 코로나19 바이러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