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문 제1편 『주자가례』 제1장 『주자가례』의 문헌적 검토 1. 『주자가례』의 진위문제 2. 『주자가례』의 저술 과정과 동기 3. 『주자가례』의 판본 제2장 『주자가례』의 연원 1. 『주역』·『시경』 2. 삼례 3. 『논어』·『가어』·『가훈』·『개원례』 4. 북송 예서 제3장 『주자가례』의 구성과 내용 1. 「통례」 2. 「관례」 3. 「혼례」 4. 「상례」 5. 「제례」 제4장 『주자가례』의 특징 1. 형식의 특징 2. 내용의 특징
제Ⅱ편 『가례』의 한국 전래와 발전 제5장 『주자가례』와 성리학 1. 주자학과 『가례』의 전래 2. 고려 조정과 학계의 반응 3. 조선의 국가체제와 『가례』 4. 성리학의 심화와 『가례』 제6장 『주자가례』가 한국 예학에 미친 영향 1. 예학파의 형성 2. 예학파의 전개와 특색 3. 실학의 대두와 예학의 변천 제7장 이이의 「제의초」 1. 예서 『격몽요결』과 「제의초」 2. 『가례』의 「제례」와 「제의초」의 대비 3. 「제의초」 편찬의 원칙 4. 진성과 경종수족의 지향 제8장 김장생의 『가례집람』과 『상례비요』 1. 한국 예학의 종장 2. 『가례집람』 편찬정신 3. 『상례비요』에 나타난 특성 4. 한국적 가례의 대중화 선도 제9장 정구의 『오선생예설분류』 1. 학문 배경 2. 예학중심의 거경과 치용 3. 『오선생예설분류』의 편찬 동기와 과정 4. ‘왕사부동례’의 체제와 편차 제10장 이재의 『사례편람』과 정중기의 『가례집요』 1. 조선 사민의 사례 2. 이재의 『사례편람』 3. 정중기의 『가례집요』 제11장 이익의 『가례질서』 1. 예에 대한 실학적 관심 2. ‘서인가례’의 주창 3. 『가례질서』의 특성제
Ⅲ편 한국유학의 관혼상제 제12장 관례-사회적 존재로 나아가는 문 1. 성인 의식과 관례 2. 『의례』·『예기』의 관의 3. 관례의 변천 4. 종법과 사회 속의 자아 제13장 혼례-인륜의 바른 시작 1. 정시의 도리와 공동체 기초의 성화 2. 『사례편람』의 혼례 절차 3. 조선시대 ‘친영제 수용과 정착 제14장 상례의 의절과 상복-신종 1. 상례-그 신종의 절차 2. 상복의 기간과 원리 제15장 제례-보본추원 1. 사당의 연원과 변천과정 2. 가정의례의 통례로서의 사당 3. 한국의 제의의 시행과 ‘제의학’
부록 중국의 가훈과 한국 예학자의 가계 중국의 가훈과 조선 예학자의 가계 부록Ⅰ 중국의 가훈 제1장 안지추의 『안씨가훈』 1. 안지추의 가계와 시대 배경 2. 『안씨가훈』의 내용 3. 『안씨가훈』과 유학적 특징 제2장 사마광의 『가범』 1. 사마광의 예 의식과 『가범』 2. 『가범』의 체재와 내용 3. 『가범』의 내용 특성 제3장 원채의 『원씨세범』 1. 『원씨세범』의 특징 2. 『원씨세범』의 내용 3. 『원씨세범』과 사회 교화 제4장 증국번의 가훈 1. 증국번의 사상 배경과 학문성격 2. 학문의 목표와 방법 3. 팔자 팔본4. 증국번 가훈의 특징과 의의 부록Ⅱ 한국 예학자의 가계 제1장 이이의 동거계사 제2장 허목이 자손에게 내린 18조목의 훈계 제3장 권시가 두 아들에게 남긴 글 제4장 송시열이 출가하는 딸에게 준 경계의 글 제5장 홍여하가 아들에게 준 훈계 제6장 최석정이 아들에게 준 사덕의 잠언 제7장 이익이 자식에게 준 여덟 가지 가르침 제8장 박윤원이 딸에게 준 훈계 제9장 정약용이 두 아들에게 준 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