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 지식사회의 위기와 지식이론의 요청 지식이란 무엇인가

 지식사회의 위기
''실재''로서의 지식 요청
 자연현상에 관한 지식과 사회현상에 관한 지식의 차이
지식의 인식론적 차원과 존재론적 차원
인식론적·존재론적 오류의 극복

2 구(舊)교육사회학과 신(新)교육사회학 사이의 논쟁 재생산을 넘어

 구교육사회학과 신교육사회학 사이의 논쟁
자유인문주의 교육 과 직업주의 교육 사이의 논쟁
진보주의 교육을 둘러싼 논쟁
구성주의자와 실 증주의자, 그리고 사실주의자 사이의 논쟁

3 뒤르켐의 지식사회학 뒤르켐 이론의 재부상

사회적 현상으로서의 교육과 도덕
 과학·사회·지식과 교 육의 문제
 근대성의 복잡성과 사회질서의 개체성 요청
기계적 연대와 유기적 연대
 거룩한 실재와 세속적 실재
 뒤르켐의 세속적 합리주의
 뒤르켐의 지식사 회학
 뒤르켐 이론에 대한 평가

4 바실 번스타인의 교육과정사회학 번스타인 이론의 독특성

 뒤르켐 이론의 새로운 해석
 번스타인의 사회학과 비 판적 사실주의
 지식의 순일성, 권역, 포괄적 유형 그리고 3학4과의 뒤집기
 재 생산을 넘어선 지식의 재맥락화
 경계선의 설정과 권력의 목소리
 지식의 분류 화와 얼개화
 수직적·수평적 담론과 위계적·수평적 지식구조
 지식의 강한 문 법과 약한 문가시적?비가시적 교수
 전통적 교수학과 진보적 교수학의 접점
 번스타인 이론에 대한 평가

5 마이클 FD 영의 지식이론과 교육과정 비판 마이클 FD 영의 학문적 전환

비고츠키의 지식이론 수용
 보수적·도구적·포스 트모던 교육과정 논의에 대한 비판
 진리의 요청과 진실성의 목소리
 지식의 사 회적 사실주의 접근
''사실''로서의 교육과정과 ''실천''으로서의 교육과정
사회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사실주의의 공통점과 차이점
 지식 및 교육과정의 절연과 혼 종
 지식의 분류 및 교수의 통제 그리고 코드
미래를 위한 대안적 교육과정
''힘 있는 사람의 지식''에서 ''정의로운 힘을 가진 지식''으로
''힘을 가진 지식''이 이끄는 학교
 마이클 FD 영 이론에 대한 평가

6 지식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사회적 사실주의 접근 포스트모더니즘과 구성주의의 인식론적 오류

 사회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사실 주의의 관계/ 이론적 지식과 일상적 지식의 구별
지식 및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 적·사회적 사실주의 접근
''비판적'' 사실주의와 ''사회적'' 사실주의의 융합

7 교육과정 이론의 위기와 교육과정정책의 방향 교육과정 이론의 위기

 교육철학과 교육과정
 갈등하는 교육과정 그리고 모순의 발생
 교육과정을 개념화·이론화하기
 우리는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우리 는 어떤 유형의 교육과정을 필요로 하는가?
지식의 생산·획득 및 혁신을 위한 교육과정 정책의 전망과 과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