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제1부 성찰
제1장 학문의 길 = 23
1.1 고유한 세계 = 24
1.2 학문공동체 = 29
1.3 학문적 지식 = 33
1.4 학문의 발전 = 36
1.5 학문적 언어 = 38
1.6 분과학문 = 42
1.7 학문의 응용 = 45
제2장 엇나간 "교육학" = 49
2.1 유령학문 = 50
2.2 태생적 변고 = 52
2.3 이류잡학의 실태 = 56
2.4 학교체제의 정당화 = 58
2.5 맹신의 재생산 = 61
2.6 사이비교육학 = 64
2.7 퇴출의 위기 = 68
제3장 교육관의 난맥상 = 71
3.1 교육과 교육관 = 72
3.2 관습적 교육관 = 73
3.3 용병학문적 교육관 = 77
3.4 결과위주의 교육관 = 80
3.5 과학주의적 교육관 = 84
3.6 잡다한 교육관 = 87
3.7 의미의 공백과 산포 = 91
제4장 교육용어의 해체 = 95
4.1 기호로서 언어 = 96
4.2 통상적 담론과 비통상적 담론 = 98
4.3 중구난방의 교육담론 = 101
4.4 소통의 역설 = 103
4.5 "교육학"의 숙정 = 105
4.6 용어해체의 방법 = 107
4.7 상이한 교육관의 용어해체 = 110
4.8 교육용어의 재건과제 = 118
제5장 교육학의 정상화 = 121
5.1 명실상부의 원칙 = 122
5.2 자율적인 개념체제의 구성 = 126
5.3 합당한 방법의 선택 = 131
5.4 신생학문공동체의 형성 = 136
제6장 교육현상의 교육학적 환원 = 145
6.1 무지의 자각 = 146
6.2 교육의 양태 = 148
6.3 교육외재의 배제 = 151
6.4 교육내재의 탐색 = 160
6.5 교육내재의 구성 = 162
제2부 숙고
제7장 교육본위론 = 169
7.1 생활세계의 복합성 = 170
7.2 세 가지의 삶 = 174
7.3 본위의 개념 = 181
7.4 이론의 구성작업 = 186
7.5 논의의 새 지평 = 189
제8장 교육의 소재 = 195
8.1 품위의 일반적 속성 = 196
8.2 품위의 종류와 수준 = 198
8.3 동체이품 = 201
8.4 이체이품 = 205
8.5 품위의 표현과 해석 = 209
8.6 품위의 생성과 공유의 애로 = 216
8.7 품위의 차이와 교육 = 220
8.8 품위와 교육의 양태 = 226
제9장 교육의 수레바퀴 = 229
9.1 교육의 내용 = 230
9.2 협동교육의 구조 = 232
9.3 제반 요소의 설명 = 236
9.4 내재율의 보충과 수정 = 249
제10장 교육본위의 인간 = 253
10.1 다차원의 인간 = 254
10.2 세속적 인간 = 257
10.3 수도적 인간 = 259
10.4 교육적 인간 = 264
10.5 교육열정 = 267
10.6 교육과정의 향유 = 273
10.7 과실의 교육적 활용 = 276
10.8 교육적 공생 = 279
10.9 교육적 관계 = 281
10.10 교육공동체 = 287
10.11 교육적 진화 = 290
10.12 교육적 생애 = 297
10.13 교육전문가 = 301
제11장 교육본위의 활동 = 305
11.1 활동의 다양성 = 306
11.2 교육활동의 맥락 = 308
11.3 교육활동의 종류 = 328
11.4 교육적 활동 = 348
제12장 교육본위의 가치 = 371
12.1 가치론과 가치 = 372
12.2 가치의 종류 = 375
12.3 오래된 가치도착 = 381
12.4 교육의 내재적 가치 = 388
12.5 본위의 선택 = 395
12.6 교육의 목적 = 399
12.7 교육발전 = 402
제13장 메타교육의 양태 = 409
13.1 교육발전의 자율조정장치 = 410
13.2 교육의 품위 = 415
13.3 교육의 반성적 실천 = 418
13.4 교육의 교육적인 문제해결 = 421
13.5 교육의 내재가치의 증득 = 424
13.6 교육어의 증득 = 429
13.7 일반과 특수의 구분 = 433
제14장 교육의 환경 = 437
14.1 호혜의 원칙 = 438
14.2 수도계와의 공존 = 444
14.3 정치계와의 공존 = 451
14.4 법률과의 공존 = 461
14.5 경제와의 공존 = 468
14.6 사회와의 공존 = 478
14.7 문화와의 공존 = 489
14.8 종교와의 공존 = 499
14.9 교육에 우호적인 여건의 조성 = 510
14.10 교육의 우호적인 기능의 홍보 = 516
제3부 적용
제15장 교육본위의 생활공간 = 525
15.1 재조명의 대상 = 526
15.2 가정교육의 양태 = 533
15.3 직장교육의 양태 = 556
15.4 가상공간의 교육양태 = 583
15.5 교육공간의 확장 = 606
제16장 학교∩교육의 내실화 = 613
16.1 관점의 전환 = 614
16.2 학교의 교육외재와 교육내재 = 621
16.3 학교∩교육의 향방과 과제 = 681
16.4 학교의 메타교육 = 687
16.5 학교∩교육의 여건 = 695
16.6 학교∩교육의 기능 = 705
제17장 교육본위의 평가 = 717
17.1 사이비교육평가 = 718
17.2 교육평가의 제자리 = 724
17.3 새로운 교육평론 = 733
17.4 품위의 평가 = 739
제18장 교육본위의 인식론 = 753
18.1 인식론의 문제 = 754
18.2 교육적 해법 = 768
18.3 학문의 교육적 진화 = 782
18.4 "교과교육"의 재고 = 802
18.5 교육학교육의 과제 = 811
용어 색인 = 827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