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 서문 = 13 감사의 말 = 23 재출간본 저자 서문[트랜스액션 출판사 판 서문] = 25 엘모 로퍼의 서문 = 40 1955년 저자 서문 = 48 Part 1 미디어 효과발생 과정에서 인간의 역할 1부 매스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어떻게 볼 것인가? 1장 미디어와 대중의 관계 = 63 2장 인간의 역할 = 79 2부 설득과정에서 사회규범과 네트워크의 역할 : 매스 미디어 연구에서 소집단 연구의 함의 3장 소집단 연구와 매스 미디어 연구의 융합은 왜 필요한가? = 92 4장 규범과 소집단 : 의견과 태도의 공유 = 97 5장 집단이 개인 의견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 매스 미디어 연구에서의 함의 = 115 6장 대인관계 네트워크 : 집단내 커뮤니케이션 = 130 7장 집단과 외부세계 : 매스 미디어 연구에서 집단 연구가 필요한 이유 = 165 Part 2 미 중서부 지역공동체를 통해 본 일상의 영향력 흐름 1부 대인관계 영향력 1장 영향력의 기준 = 187 2장 연구방법 = 199 2부 대인관계 영향력의 효과 3장 영향력 연구에서 효과분석의 위치 = 214 4장 다양한 영향력 발생과정에 대한 탐색 및 평가 = 219 5장 다양한 영향력의 효과평가 = 229 6장 다양한 영향력의 역할과 그 결과 = 240 7장 추가적인 기술적 문제들 = 253 8장 효과의 유형 = 263 3부 대인관계 영향력의 흐름 9장 영향력 흐름의 기술 = 276 10장 일상소비 분야 의견지도자 = 290 11장 패션 분야 의견지도자 = 304 12장 공공이슈 분야 의견지도자 = 329 13장 영화관람 분야 의견지도자 = 357 14장 커뮤니케이션의 2단계 흐름 = 370 15장 영향력과 영향력 전파자 요약 = 383 4부 기술적 분석내용 별첨자료 및 연구과정에 대한 보충설명 별첨 A 연구대상 도시 선택 = 398 별첨 B 설문지 안내 = 405 별첨 C 추적 인터뷰 진행 및 결과분석 = 423 별첨 D 지수 구성(대중소설 소비지수 구성방식에 대한 보충설명 포함) = 444 참고문헌 = 458 찾아보기 = 4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