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5
감사의 글 = 12
서론 = 17
제1부 화폐와 경제
제1장 화폐적 생산경제 = 45
1. 실물적 분석과 화폐적 분석 = 45
2. 일반균형이론과 화폐 = 48
3. 화폐적 생산경제와 화폐적 분석 = 65
제2장 화폐 내생성의 의미 = 87
1. 수직주의자와 수평주의자 = 87
2. 내생성과 외생성의 의미론적 구분 = 90
3. 화폐 내생성의 종류 = 96
4. 경제의 작동방식과 화폐의 외생성/내생성 = 102
5. 주류경제학과 외생적/내생적 화폐 = 106
제3장 화폐 내생성 분석의 역사 = 117
1. 지금 논쟁 = 118
2. 통화학파-은행학파 논쟁 = 127
3. 마르크스 = 135
4. 빅셀 : 순수신용경제 = 141
5. 케인즈 :『화폐론』 = 154
제2부 포스트케인지언 내생화폐이론
제4장 포트폴리오 접근법 = 171
1.『래드클리프 보고서』: 실패한 반란 = 172
2. 민스키 : 월스트리트의 고슴도치 = 183
제5장 본원화폐 접근법 = 197
1. 로빈슨 : 내생화폐이론의 숨겨진 보석 = 198
2. 칼도 : 통화주의자와의 전쟁 = 204
3. 무어 : 급진적 내생화폐이론의 정점 = 217
제6장 수용주의와 구조주의 = 231
1. 수용주의의 전형화된 주장과 구조주의의 비판 = 232
2. 은행제도의 진화 = 239
3. 은행의 지급준비금 수요와 중앙은행의 수용 = 247
4. 대부 수요와 은행의 수용 = 254
5. 대부 이자율의 결정 = 257
6. 채무관리 = 262
7. 수용주의와 구조주의의 공통 명제 = 266
제7장 여러 가지 논점들 = 269
1. 유동성 선호이론 = 269
2. ''금융동기'' = 279
3. 승수이론 = 294
4. 화폐수요 = 306
제3부 비(非)포스트케인지언 접근법 : 비교와 비판
제8장 새케인지언 대 포스트케인지언 = 323
1. 새케인지언과 화폐 내생성 : 신용관점 = 324
2. 수용주의와 구조주의 = 328
3. 화폐 내생성 접근방식 : 둘 혹은 셋? = 349
4. 대부의 변화와 ''통화량''의 변화 = 354
5. 결론 = 358
제9장 새합의 모형 대 포스트케인지언 = 361
1. 새합의 모형, 내생화폐, 화폐정책 = 362
2. 새합의 모형 비판 = 368
3. 포스트케인지언, 이자율, 인플레인션 = 380
제10장 화폐 내생성의 여러 경로 : 모형 분석 = 395
1. 외생성과 내생성의 구분 = 396
2. 모형 = 399
3. 화폐 내생성 경로 분류 = 408
4. 결론 = 428
결론 = 431
참고문헌 = 439
찾아보기 = 465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