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 5
제1부 고구려사의 전개 = 13
제1장 고구려 초기의 천도에 관한 약간의 논의 = 15
1. 머리말 = 15
2. 집안 지역으로 천도한 시기 = 16
1) 고구려 초기의 천도 관련 기사 = 16
2) 유리왕대 천도설 검토 = 21
3) 산상왕대 천도설 검토 = 27
3. 국내 위나암성과 흘승골성 = 35
1) 오녀산성과 주변 지역 = 35
2) 졸본과 흘승골성 = 40
4. 맺음말 = 45
제2장 광개토왕릉비의 정복전쟁 기사와 평양 천도 = 47
1. 머리말 = 47
2. 광개토왕의 정복활동 = 48
1) 64성 1400촌의 실체 = 48
2) 영락 5년조의 기사의 함의(含意) = 54
3. 정복전쟁 서술과 평양 천도의 연관성 = 60
4. 맺음말 = 63
제3장 중국 남북조와의 조공ㆍ책봉관계를 통해서 본 고구려국의 성격 = 65
1. 머리말 = 65
2. 피책봉 관작과 지방정권론 = 66
3. 속국론 = 80
4. 자주국론 = 88
5. 맺음말 = 95
제4장 고구려 유민사 연구 - 요동ㆍ당 내지 및 돌궐 방면의 집단을 중심으로 = 99
1. 머리말 = 99
2. 요동지역의 유민 = 102
3. 당 내지에 옮겨진 유민 = 121
1) 관내ㆍ농우도 방면의 고구려인 = 121
2) 영주 지방의 유민 = 131
4. 돌궐 방면의 유민 = 138
5. 맺음말 = 149
제2부 발해사 연구 = 153
제1장 발해국의 주민 구성과 발해인의 족원(族源) = 155
1. 머리말 = 155
2. 요ㆍ금대의 발해인과 여진인의 존재 양태 = 157
3. 발해국의 주민 구성 = 173
1) 철리부(鐵利府)와 남해부(南海府) 지역의 예 = 173
2) 토인(土人)과 말갈 = 180
4. 발해인의 족원 = 185
1) 발해국의 주민이 된 집단들 = 185
2) 발해 왕실의 출자 = 191
(1) 기존의 설들 = 191
(2) 별종(別種)의 성격 = 197
(3) 걸사비우 집단과 대조영 집단 = 202
3) 발해인의 귀속의식 = 208
5. 발해국의 성격에 관한 인접국인의 인식 = 223
6. 맺음말 = 234
제2장 대(對)발해 일본국서에서 언급한《고려구기(高麗舊記)》에 대하여 = 237
1. 머리말 = 237
2.《고려구기》에 담긴 내용 = 238
3. 고구려와 왜국의 교섭 = 243
4. 금마저 고구려와 일본의 관계 = 253
5. 일본의 고구려 번국관蕃國觀 형성 = 258
6. 맺음말 - 긴밀한 우호관계와 상이한 과거 인식 = 263
제3장《삼국사기》에 등장하는 말갈의 실체 = 271
1. 머리말 = 271
2. 말갈(靺鞨)과 동예(東濊) = 273
1) 백제본기의 ''말갈'' = 273
2) 신라본기의 ''말갈'' = 281
3. 삼국통일전쟁기의 말갈 = 283
4. 부여ㆍ옥저ㆍ동예와 예맥말갈론 = 296
5. 예(濊)를 말갈로 개서(改書)한 시기와 그 배경 = 301
1) 말갈로 개서한 시기 = 301
2) 신라와 고려의 북경(北境)에 인접한 철리(鐵利)ㆍ달고(達姑)ㆍ흑수(黑水) = 306
6. 맺음말 = 318
제4장 발해 박씨에 대하여 - 신라와 발해 간 교섭의 한 사례 연구 = 321
참고문헌 = 336
찾아보기 = 342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