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제1부 | 총론
 제1장_한국 수필문학의 현황과 문제점
 제2장_비허구산문, 범칭 수필의 장르적 성격

제2부 | 대표 수필가와 수필집
 제3장_한국 근대수필과 이은상-<탐라기행한라산>, <노방초>, <야화집>의 비허구산문의 특성 고찰
 제4장_혼돈의 해방공간을 헤집고 나오는 생명 예찬-김진섭론
 제5장_한 유미주의자의 연둣빛 생리-이양하론
 제6장_해방과 건국의 간극, 인천에 떠오른 생명파의 서정-김동석 수필집 <해변의 시>와 문예지 <상아탑>을 중심으로
 제7장_글과 술의 반생, 그 천의무봉한 문장의 성채-양주동의 <문․주반생기>
제8장_일탈-변영로 수필집 <명정사십년>과 <수주수상록>의 문학적 성취고찰

제3부 | 납․월북 수필가
 제9장_최초의 근대수필 앤솔로지 <수필기행집>
제10장_이념 대립기 한 지식인의 내면풍경 <다여집>-박승극론
 제11장_서정수필과 서정시의 문학적 영역-신선문학전집 <조선문학독본>의 수필의 ‘독본’ 문제
 제12장_기행 <반도산하>의 장소표상의 의미와 문학사적 자리
 제13장_문예론수필과 고완이란 이름의 과거회귀-이태준의 수필집 <무서록>에 나타나는 세 특징
 제14장_인민공화국으로 간 이데올로그들의 서정백서-3인 수필집 <토끼와 시계와 회심곡>론
 제15장_인연을 따라 구업을 버리고, 운명에 따라 새 일을 한다-해방공간과 춘원수필집 <돌벼개>
제16장_시인의 조국, 현해탄 횡단의 사상-정지용의 <문학독본> 소재 교토 배경 수필을 중심으로
 제17장_외연에서 파고드는 적멸의 서정세계-김기림 수필집 <바다와 육체>의 작가의식과 글쓰기 형식
 제18장_기행수필과 서사적 교술-<고투 사십년>과 <최근세계일주기>를 중심으로
 제19장_여기로서 글쓰기, <근원수필>의 몇 가지 문학적 성취

보론_재만조선인 수필집 <만주조선문예선>의 수필문학의 자리

참고문헌
찾아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