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5 1부 의약 지식의 확산과 일상의 질병 관리 1장 여성의 필수 약재 : 경계를 넘나드는 다우기의 세계사 / 리전더 = 17 1. 중국 이야기 : 전통적인 진통제에서 여성의 필수 약재로 = 18 2. 동아시아의 경험 : 젠더화된 활용이 흐릿하게 나타난 향약 = 24 3. 현대 유럽 : 생의학에서 생산된 월경 조절 약 = 37 2장 송대『이견지』와 일상 속 의학 지식의 확산 / 최해별 = 40 1. 일상의 주요 질병 : 중독, 종기, 기생충 질환, 설사 = 44 2. 의학 지식의 변용과 의서의 한계 극복 = 50 3. 임상 서사의 중시와 오진에 대한 경계 = 58 4. 일상에서 온, 일상에 필요한 의학 지식 = 69 3장 메이지기 근대적 의약 담론의 성립과 ''뇌병''의 치료 / 김영수 = 79 1. 18∼19세기 일본의 서양 의학 수용과 ''뇌'' 담론의 성립 = 82 2. 뇌질환의 등장과 치료제 = 88 3. 근대의학의 발전과 뇌병 매약의 변화 = 96 2부 개인의 ''질병'' 경험과 건강관리 4장 중세 말 이탈리아에서의 불임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치료 / 남종국 = 109 1. 불임에 대한 교회의 인식 = 115 2. 불임에 대한 이탈리아 도시민의 인식 = 118 3. 불임을 치료하는 다양한 방법들 = 127 5장 중세 말 파리대학의 흑사병 예방법 : 치료와 훈육 사이 / 홍용진 = 147 1. 프랑스에서 집필된 흑사병 보고서들 = 151 2.『전염병 개요』의 구성과 내용 = 155 3.『전염병 개요』의 정치적ㆍ사회적 의미 = 161 6장 의료선교사 자녀의 건강, 질병, 그리고 죽음 : 로제타 S. 홀의 육아일기를 중심으로 / 이현주 = 171 1. 홀 가문의 한국 선교 = 173 2. 역사 사료로서의 홀 여사의 육아일기 = 176 3. 선교 여정과 아동 건강 = 180 4. 아동의 성장 발달과 건강관리 = 186 5. 선교지에서의 질병과 죽음의 경험 = 196 3부 국가의 질병 관리와 통제 7장 식민지기 한센병 환자를 둘러싼 죽음과 생존 / 김재형 = 211 1. 한센병으로 인한 가족 관계의 해체 : 자살과 살해 = 215 2. 생존을 위한 노력과 죽음 : 인육 섭취 = 225 3. 한센병 환자의 조직화와 한센병 시설에서의 죽음 = 239 8장 식민지 조선 노동자의 건강과 질병 : 조선총독부 체신국의 사례 검증 / 임채성 = 256 1. 체신업의 전개와 노동력 구성의 변용 = 259 2. 체신 노동자의 건강과 질병 = 267 3. 체신당국의 대책 : 공제조합과 촉탁의 그리고 체육 = 280 9장 제국의 흔적 지우기 : 패전 후 일본에서의 귀환자 검역 / 김정란 = 291 1. 제국의 붕괴 = 295 2. 귀환자 검역 = 304 참고문헌 = 322 찾아보기 = 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