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말 : 세계화의 단서를 안경에서 찾다 = 5 1부 유리, 동서양 교류의 기원 : 안경 출현 이전의 세계 1장 유리의 흔적들 = 33 중국 사료로 본 이슬람 유리의 계승 = 33 이국적이면서 신비로운 유리 제품들 = 36 아랍의 유리 제작 기술이 뛰어난 이유 = 39 랑간 혹은 파리의 연관성 = 43 ''파리''와 ''브릴러'', 어원의 유사성 = 47 2장 혁신을 가져온 장거리 교역 시스템 = 51 7세기 이전의 교역 네트워크 = 51 7∼10세기 무렵의 교역 네트워크 = 57 교역 네트워크의 재편 = 60 이슬람의 교역 방식과 특별한 관행 = 64 장거리 교역의 핵심 상품 = 68 3장 중국인, 인도양과 만나다 = 72 〈사해화이총도(四海華夷總圖)〉와 교역 네트워크의 중심 = 72 유리구슬의 유통으로 본 장거리 교역 방식 = 75 새로운 상품들의 부상 = 79 장건의 출사로 시작된 인도양 활동 = 82 송대의 광학 이론과 오목경 = 86 11∼13세기 유리 기술의 전파 = 91 소결 = 96 2부 기술과 정보의 이동으로 연결된 세계 : 안경의 변화 1장 안경의 기원과 광학 기술의 발전 = 101 안경의 기원에 관한 논쟁들 = 101 고대의 광학 이론과 알하젠의 업적 = 106 동아시아 사료로 보는 안경의 기록 = 109 광학의 진전인가, 수공업의 성취인가? = 112 2장 유라시아 교통의 발달과 상품의 교환 = 117 원대에 이미 안경은 유입되었다 = 117 원대의 성취, 역참 제도 = 121 인도양의 선박들 = 124 몬순의 이용과 항해 방법 = 126 마선과 아랍 상인들의 항해 = 129 복잡한 상품 네트워크 = 132 교역 네트워크의 확장과 장거리 무역 = 135 3장 사람, 정보, 상품의 이동 = 139 14세기 아랍의 안경 제조 = 139 남인도의 도시들 = 141 서역인 = 144 교역 네트워크가 가져온 선물 = 151 소결 = 156 3부 시스템이 만들어 낸 안경의 시대 : 안경의 유입 1장 안경 유입의 단서들 = 161 명대의 안경 전파에 관한 기록 = 161 안경이라는 명칭의 유래 = 166 15세기 무렵 전파된 안경의 형태 = 171 서역식 안경 = 177 2장 안경을 조공한 나라들 = 181 조공의 주요 물품이 되다 = 181 사마르칸트 = 182 합밀 = 190 천방국 = 192 말라카의 안경 = 195 통일적 공간의 유라시아 = 199 3장 유라시아 교역 네트워크의 회복 = 205 14세기 중반 이후의 교역 네트워크 = 205 명의 견벽청야 정책 = 208 명의 조공 체제 = 213 두 제국의 화해 = 216 정화 함대의 출항 = 220 진성의 출사 = 224 호르무즈 = 228 소결 = 233 4부 호기심에서 시작된 견문의 확장 : 안경의 보급과 확산 1장 유럽 안경의 유입 = 239 명 전기에 보급된 안경은 유럽에서 왔을까? = 239 유럽의 안경 제조업과 상업도시 = 242 대항해시대와 유럽 안경의 직접 도입 = 248 2장 중국의 안경 제작과 보급 = 252 광동과 복건의 안경 제작 = 252 강남 대도시의 안경 제작 = 256 북경의 안경 문화 = 260 3장 호시의 확대와 안경의 소비 = 264 안경 보급에서 보이는 호시의 단서 = 264 호시의 활성화 = 266 광동의 시박 = 271 북로남왜 = 274 호시의 확대와 포르투갈인 = 278 소결 = 281 5부 필수품에서 기호품으로 : 안경의 소비와 문화 1장 중국의 수정안경 제작 = 287 두 가지 안경의 유행 = 287 수정안경과 유리안경 = 289 다양한 안경 종류와 제조법 = 292 안경 보급의 변화 = 297 황제들의 안경 = 300 2장 근시경의 유행 = 307 오목렌즈의 도입 = 307 근시경이 가져온 변화 = 309 과거 응시에서 필수품이 되다 = 312 여전히 우위에 있었던 서양 안경 = 315 유럽식 안경 스타일의 유행 = 318 3장 동아시아의 안경 전파와 장거리 교역 방식의 쇠락 = 320 광동의 해관제도 = 320 북경에서 조선으로 온 안경 = 326 조선의 안경 전파 = 331 조선인이 이해한 안경 = 335 일본의 안경 전파와 문화 = 340 중국의 안경 제작 기술 = 347 유럽의 안경 제작 기술과 문화 = 350 소결 = 354 나가는 말 : ''보는'' 도구에서 ''상상''의 도구로 = 358 감사의 말 = 363 주 = 366 참고문헌 = 400 찾아보기 = 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