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제1부 선사
 서설: 고고학과 선사

 제1장 세계 선사 이해의 기초
1 “태초에…”
2 선사·고고학·세계 선사
3 인류 선사의 주요 진전들
4 순환적 시간과 직선적 시간
5 문헌기록·구비역사·고고학
6 세계 선사의 연구
7 문화
8 문화 역사·시간·공간과 민족지적 현재의 신화
9 문화 과정과 과거 생활양식
10 문화 변동의 메커니즘들
11 적응으로서의 문화
12 문화 전통과 문화 변동
13 무형의 것들: 이데올로기와 상호작용

제2부 최초 인류의 세계
 서설: 모든 것의 시작

 제2장 인류의 기원
1 대빙하시대
2 초기 영장류의 진화와 적응
3 인류 진화의 화석 증거
4 갖가지 오스트랄로피테쿠스군
5 초기 호모
6 최초의 인간은 어떤 존재였는가?
7 최초의 도구제작자 인간
8 사냥꾼이었나 아니면 약취꾼이었나?
9 최초 인간의 정신세계
10 언어의 발달
11 최초의 사회조직

제3장 인류의 조상, 아프리카 밖으로 나가다
1 빙하시대에 관한 배경 지식
2 아프리카의 호모 에렉투스
3 동남아시아의 호모 에렉투스
4 유라시아와 유럽의 호미닌들
5 호모 에렉투스의 생활양식
6 네안데르탈인
7 초기 호모 사피엔스
8 연속인가, 대체인가 아니면 그 사이의 어떤 것인가?
9 분자생물학과 우리의 기원
10 호모 사피엔스가 아프리카 밖으로 퍼지다

제3부 현대 세계의 탄생
 서설: 현대인, 이주, 농민

 제4장 인류의 대확산
1 빙하시대 말기의 세계
2 동남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의 인간 거주 개시
3 빙하시대 말기의 유럽: 크로마뇽인
4 유라시아의 수렵채집민
5 동아시아
6 동북 시베리아의 초기 인간 거주
7 최초의 아메리카인
8 클로비스인

제5장 식량생산의 기원
1 충적세
2 수렵채집 사회의 변화
3 수렵채집 사회의 복합도
4 농경의 기원에 관한 이론들
5 자료 수집의 혁명
6 다인(多因) 이론들
7 식량생산의 결과들
8 영양과 초기 식량생산

제6장 최초의 농민들
1 동물의 순화
2 밀과 보리의 순화
3 서남아시아의 농민
4 이집트와 아프리카의 초기 농민
5 유럽의 농민
6 아시아의 초기 농경
7 아메리카의 초기 농경

제7장 군장과 군장 사회
1 호혜성과 ‘대인(大人)’
2 태평양의 군장과 항해가들
3 미국 서남부
4 북미 동부의 토루축조족

제4부 초기 문명들의 세계
 서설: 구대륙 문명들

 제8장 국가조직 사회
1 국가조직 사회란 어떤 사회인가?
2 도시
3 국가의 기원에 관한 이론들
4 사회 접근법: 세 부문의 권력
5 분파성과 이데올로기
6 변화의 주역으로서의 인간들
7 문명의 몰락

제9장 메소포타미아와 동지중해 세계
1 기원
2 수메르 문명
3 아카드인과 바빌로니아인
4 히타이트인과 해상 교역자들
5 미노아인과 미케네인
6 해상족과 페니키아인
7 아시리아인과 바빌로니아인

제10장 이집트와 아프리카
1 선왕조시대 이집트: 고대의 독점 게임?
2 왕조 이집트 문명
3 이집트와 아프리카 중심주의
4 누비아: 쿠시의 땅
5 메로에와 악숨
6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7 서아프리카 고대 왕국들
8 동아프리카 해안지대: 돌 읍들과 이슬람
9 황금과 상아: 마풍구브웨와 대짐바브웨

제11장 남·동·동남아시아
1 남아시아: 인더스 문명
2 인더스 문명 이후의 남아시아
3 중국 문명의 기원
4 전사 군주들
5 동남아시아 문명

제5부 아메리카 대륙의 산업화 이전 국가들
 서설: 메조아메리카 국가와 안데스 국가들

 제12장 저지대 메조아메리카
1 초창기: 저지대의 선고전기 사람들
2 올멕
3 마야 문명의 기원
4 고전기 마야 문명
5 고전기 마야의 몰락
6 후고전기 마야 문명

제13장 고지대 메조아메리카
1 고지대 문명의 흥기: 와하카 계곡
2 몬테 알반
3 멕시코 계곡: 테오티와칸
4 톨텍
5 아스텍 문명

제14장 안데스 문명
1 안데스 문명의 해양 토대
2 해안 토대
3 초기 지평 문화와 차빈 데 완타르
4 초창기
5 모체 국가
6 중기 지평 문화: 티와나쿠와 와리
7 후기 중간기: 시칸과 치무
8 후기 지평 문화: 잉카 국가
9 스페인의 잉카 정복

제15장 에필로그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