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01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 개념, 담론, 관계 Ⅰ. 서론: 글로벌시대의 교육 변화 3 Ⅱ.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특징 4 1. 다문화교육의 개념적 이해 4 2. 다문화사회의 교육 지형 변화와 다문화교육 6 3. 다문화교육의 도전과 한계 9 Ⅲ. 세계시민교육의 개념과 특징 15 1. 글로벌화 맥락에서 시민성교육 논의의 변화 15 2. 세계시민교육의 특징과 최근 동향 19 3. 세계시민교육의 도전과 한계 23 Ⅳ.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조우: 교육적 함의와 쟁점 26 1.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개념적 근접성과 교수방법의 유사성 26 2.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통약 불가능한 특수성 28 3.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융합 31 Ⅴ. 결론: 담론적 연대와 향후 과제 34
Chapter 02 한국 성인의 다문화수용성 비판과 이주민에 대한 편향적 태도 Ⅰ. 서론: 문제 제기 43 Ⅱ. 한국의 다문화 논의의 특성과 한계 45 1. 취약한 사회적 자본과 낮은 수준의 사회통합 및 시민참여 45 2. 체류 외국인에 대한 불신과 다문화사회로의 불안한 전환 47 3. 한국형 다문화담론과 다문화교육의 특수성과 한계 51 Ⅲ. 성인 대상 다문화교육과 평생교육 논의와 쟁점 56 1. 일반 성인의 다문화의식과 평생교육 논의와 관계 56 2. 평생교육 차원의 다문화교육 정책 구조의 미미한 실체 59 Ⅳ. 한국인의 다문화의식과 다문화수용성 특성, 쟁점, 문제점 65 1. 한국 성인의 얕고 분절적인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 인식 퇴보 65 2. 특정 외국인·이주민집단에 대한 선호와 차별의 심화 68 3. 젊은 세대의 반다문화 의식 강화 71 4. 이주민과의 단순접촉이 아니라, 질적 상호작용이 관건 73 5. 외국인에의 위협의식 심화와 다문화교육의 미미한 참여 75 Ⅴ. 결론 및 시사점: 다문화교육의 방향 혁신 79
Chapter 03 세계시민성 관점에서 본 제주도 예멘 난민 사태와 다문화교육의 과제 Ⅰ. 서론: 흔들리는 세계와 한국 난민 97 Ⅱ. 예멘 난민과 다문화교육: 관계, 담론, 위치 101 1. 제주도 입국 예멘 난민과 난민을 둘러싼 논의 101 2. 난민과 인종차별, 그리고 다문화교육 107 Ⅲ. 이주자 성원권에 관한 세계시민성 논의와 쟁점 112 1. 근대적 시민권과 이주민 사이의 긴장 115 2. 이주민 수용국가와 다문화주의 시민권 116 3. 난민을 포괄하는 이주민의 정의로운 성원권 118 Ⅳ. 난민 논쟁과 한국 다문화교육의 한계 및 가능성 122 1. 예멘 난민 논의의 다층적 지형과 분열 122 2. 한국 다문화교육의 한계와 과제 127 Ⅴ. 결론: 다문화교육의 비전과 책무 환기 134
Chapter 04 브렉시트 시대 영국의 세계시민교육 위축과 제약 Ⅰ. 서론: 브렉시트의 충격과 교육 147 Ⅱ 세계시민교육과 브렉시트의 관계성 논의 149 1. 세계시민교육의 이해: 확장성, 포괄성, 탈경계성 149 2. 브렉시트와 세계시민교육의 조우: 담론의 흔들림, 불협화음, 가능성 151 Ⅲ. 브렉시트가 미친 사회적 영향과 세계시민교육의 위축 154 1. 브렉시트와 영국사회 균열 문제: 지역별, 연령별, 교육수준별 격차 154 2. 반(反) 이민정서 강세와 사회통합의 흔들림 문제: 정서적 태도 159 3. 지구촌 공동체 의식의 약화와 움츠려든 시민연대 문제: 행위 측면 160 4. 브렉시트로 인한 세계시민교육의 제약과 도전 165 Ⅳ. 브렉시대 이후 세계시민교육의 방향과 시사점 168 1. 세계시민교육은 이론적 표상이 아니라 삶의 내용이자 경험 168 2. 시민사회의 개방과 폐쇄라는 딜레마: 세계시민교육의 재구성 169 3. 흔들림 속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세계시민교육의 위상 171 Ⅴ. 결론: 유동하는 시대의 세계시민교육의 길 172
Chapter 05 인종 및 반(反)차별 담론에서 분석한 영국 레스터(Leicester)의 다문화교육 Ⅰ. 서론: 문제 제기 181 Ⅱ. 이론적 배경 186 1. 반(反)인종주의 교육 이론에 대한 비판적 이해 186 2. 반(反)인종주의 교육의 적용에 따른 문제 188 Ⅲ. 레스터(Leicester) 시(市) 교육 사례분석 192 1. 사례연구 지역으로서의 영국 레스터 시(市)의 특성 192 2. 이주민의 주변화와 영국의 다문화정책 194 3. 레스터 시(市)의 인종 및 반(反)차별 관련 평생교육: 정책 및 교육 프로그램 196 Ⅳ. 결론: 다문화교육의 개혁적 좌표 203
Chapter 06 유엔 글로벌 교육의제의 내용과 교육담론의 쟁점: 세계시민교육에의 시사점 Ⅰ. 서론: 변화하는 세계와 교육의제 215 Ⅱ. 글로벌 교육의제의 개념과 최신 동향 이해 217 1. 글로벌 교육의제의 의미 분석: 표상(表象)과 실제 217 2. 글로벌 교육의제를 인식하는 맥락: 연계성, 포괄성, 중장기성 221 Ⅲ. 글로벌 교육의제의 내용 비교 분석 223 1. 2000년의 교육의제와 Post 2015 교육의제의 비교 223 2. 주요 국제회의에서 논의된 글로벌 교육의제 내용 분석 226 Ⅳ. 글로벌 교육의제를 둘러싼 담론과 쟁점 분석 235 1. 아동의 ‘교육 접근성’ 강화에서 학습자의 ‘학습 성과’로 초점 이동 235 2. 글로벌 교육의제의 모호성과 탈맥락성으로 인한 실천 한계 236 3. 무상 교육의제 논쟁과 고등학교 교육 보편화 논쟁 : 야심찬 선언인가, 당위적 실현인가 238 4. 데이터 기반의 글로벌 교육의제 분석에의 도전: 지표, 모니터링 241 Ⅴ. 결론: 세계시민 관점에서 다시 읽는 교육의제 245
Chapter 07 글로벌 교육의제에 반영된 학습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Ⅰ. 문제 제기: 왜 학습이 중요한가 259 Ⅱ. 이론적 배경 261 1. 국제교육개발 의제에서 주체와 학습의 문제 261 2. 국제교육개발협력에서 학습의 중요성과 그 위치 267 Ⅲ. 주요 글로벌교육회의에 반영된 학습 논의 특성과 분석 269 1. 1990년 태국 좀티엔 세계교육회의(1990-2000) 269 2. 2000년 세네갈 다카르 세계교육포럼(2000-2015) 271 3. 2015년 인천세계교육포럼(2015-2030) 274 Ⅳ. 글로벌 의제에서의 학습과 학습 성과를 둘러싼 쟁점 279 1. 양질의 교육이 가지는 모호성: 학습자 중심주의의 재조명 필요 279 2. 학습 성과와 기준 문제 : 평가 몰입주의, PISA-D 모순, 선진국 중심의 평가 가버넌스 282 Ⅴ. 결론: 지구촌의 교육 형평성 제고를 위한 방향 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