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제1부 동아시아 서원 제도의 기원과 변화
고ㆍ중세 한국 사학(私學)의 전통이 서원 출현에 이르기까지 / 이광우 = 3
Ⅰ. 머리말 = 3
Ⅱ. 고대 중앙집권적 국가의 성립과 사학(私學)의 자취 = 6
Ⅲ. 중세 사학(私學)의 발전과 전개 = 18
Ⅳ. 맺음말 = 37
16세기 한국 서원의 출현과 정비 / 이병훈 = 43
Ⅰ. 머리말 = 43
Ⅱ. 16세기 서원의 출현 배경 = 44
Ⅲ. 초창기 서원의 건립과 정비 = 52
Ⅳ. 맺음말 = 76
당대(唐代) 서원의 형성에 대한 재검토 - 존재 양태와 배경을 중심으로 / 류준형 = 79
Ⅰ. 머리말 = 79
Ⅱ. ''서원(書院)'' 명칭의 출현과 그 실의(實意) = 84
Ⅲ. 서원의 존재 형태와 발전 양상 = 91
Ⅳ. 독서 강학의 풍조와 서원 = 102
Ⅴ. 맺음말 = 110
백록동서원의 설립 배경과 중국 서원의 변화 - 송ㆍ원ㆍ명ㆍ청을 중심으로 / 등홍파ㆍ조위 = 115
Ⅰ. 서론 = 115
Ⅱ. 남송 : 중국 서원 발전의 새로운 출발점 = 117
Ⅲ. 원대 서원의 관학화 및 발전 = 135
Ⅳ. 명대 서원의 양면 : 번영ㆍ다양화와 금제ㆍ억압 = 145
Ⅴ. 청대 서원의 궤적 : 자성ㆍ획일ㆍ변혁 = 161
Ⅵ. 결론 = 175
일본과 베트남의 서원연구 현황과 제언 / 이우진 = 181
Ⅰ. 서론 = 181
Ⅱ. 일본ㆍ베트남 서원 비교연구를 위한 전제 = 184
Ⅲ. 일본ㆍ베트남 서원의 선행 연구 검토 = 189
Ⅳ. 결론과 제언 = 201
제2부 한중 서원 의례의 유형과 특징
중국 서원 의례의 유형과 특징 / 란갑운 = 209
Ⅰ. 고대 학례에서 유래한 중국 서원 의례 = 209
Ⅱ. 중국 서원 의례의 주요 유형과 구체적인 예절 분석 = 213
Ⅲ. 중국 서원 예절의 기본 특징 = 236
한국 서원 의례의 유형과 특징 / 한재훈 = 247
Ⅰ. 여는 말 = 247
Ⅱ. 한국 서원의 ''강학'' 의례 = 248
Ⅲ. 한국 서원의 ''향사'' 의례 = 257
Ⅳ. 한국 서원 의례로서 ''향음주례'' = 265
Ⅴ. 맺는 말 = 275
조선 지식인, 서원의 향사의례를 지내다 / 임근실 = 279
Ⅰ. 들어가며 = 279
Ⅱ. 남인계 서원의 향사의례 = 283
Ⅲ. 서인계 서원의 향사의례 = 299
Ⅳ. 나오며 = 311
조선 서원의 강학 의례와 교육적 의미 / 김자운 = 315
Ⅰ. 서론 = 315
Ⅱ. ''서원 강학''의 범주 문제와 ''강학 의례'' = 317
Ⅲ. 조선 서원의 강학 이념 = 323
Ⅳ. 조선 서원의 강학 의례 = 327
Ⅴ. 결론 = 345
서원의 특수 의례 종류와 실제 - 추향례(追享禮)ㆍ치제례(致祭禮)ㆍ사액례(賜額禮)를 중심으로 / 채광수
Ⅰ. 머리말 = 351
Ⅱ. 추향례 - 도연서원을 중심으로 = 353
Ⅲ. 치제례 - 도산서원을 중심으로 = 360
Ⅳ. 사액례 - 옥동ㆍ옥산서원을 중심으로 = 369
Ⅴ. 맺음말 = 374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