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말소리의 세계 = 5
제1장 언어와 말소리
1. 음성과 음향 = 29
2. 말소리의 특성 = 30
3. 말소리의 생성 과정 = 32
3.1 발동 = 32
3.2 발성 = 32
3.3 조음 = 34
4. 조음 기관 = 35
제2장 자연 언어 말소리의 분류
1. 자음과 모음의 구분 = 38
2. 자음의 분류 = 40
2.1. 기류 기제에 의한 분류 = 40
2.2 성문 상태에 의한 분류 = 42
2.3 조음 위치에 따른 분류 = 48
2.4 조음 방법에 따른 분류 = 54
2.5 장애음의 음성적 유표성 = 64
2.5.1 조음 방법에서의 유표성 = 65
2.5.2 조음 위치에서의 유표성 = 69
3. 모음의 분류 = 71
3.1 단모음의 분류 = 72
3.1.1 모음의 높이 = 72
3.1.2 모음의 앞뒤 위치 = 74
3.1.3 입술의 둥근 정도 = 75
3.2 모음 공간과 기본 모음, 일반 모음 = 78
3.2.1 모음 공간과 기본 모음 = 78
3.2.2 모음 공간과 일반 모음 = 82
3.2 장모음과 비모음 = 84
3.2.1 장모음 = 85
3.2.2 비모음 = 87
제3장 자연 언어 자음 체계의 보편성 평가 내용과 기준
1. 음성적 보편성 = 90
1.1 음성적 보편성의 내용 = 90
1.1.1 자음 전체의 구성 = 91
1.1.2 장애음의 구성 = 92
1.1.3 공명음의 구성 = 95
1.1.4 정치성과 복잡성 = 98
1.2 자음 체계의 음성적 보편성 평가 내용과 기준 = 100
1.2.1 자음 체계의 음성적 보편성 평가 내용 = 100
1.2.2 자음 체계의 음성적 보편성 평가 기준 = 101
2. 음운적 보편성 = 110
2.1 음운적 보편성의 원리 = 111
2.1.1 자질의 분절음 결정 원리 = 111
2.1.2 자질 경제성 원리 = 112
2.1.3 유표적 자질 회피 원리 = 116
2.1.4 활성화 원리 = 117
2.1.5 음운적 강화의 원리 = 120
2.2 자음 체계의 음운적 보편성 평가 내용과 기준 = 121
2.2.1 자질 경제성 원리 = 121
2.2.2 유표적 자질 회피 원리 = 121
2.2.3 활성화 원리 = 122
2.2.4 음운적 강화의 원리 = 123
제4장 주요 언어 자음 체계의 보편성 분석
0. 분석 모형 = 125
1. 인도ㆍ유럽 어족 = 134
1.1 게르만 어군 = 134
[1] 독일어 = 134
[2] 영어 = 144
[3] 네덜란드어 = 153
1.2 이탈리아 어군 = 163
[4] 이탈리아어 = 163
[5] 프랑스어 = 172
[6] 스페인어 = 181
[7] 포르투갈어 = 190
[8] 루마니아어 = 199
1.3 슬라브 어군 = 208
[9] 러시아어 = 208
[10] 폴란드어 = 218
[11] 체코어 = 228
[12] 세르비아ㆍ크로아티아어 = 237
1.4 인도ㆍ이란 어군 = 246
[13] 힌디ㆍ우르두어 = 246
[14] 페르시아어 = 256
2. 우랄 어족 = 265
[15] 헝가리어 = 265
[16] 핀란드어 = 274
3. 알타이 어족 = 283
[17] 터키어 = 283
[18] 몽골어 = 292
4. 중국ㆍ티베트 어족 = 301
[19] 중국어 = 301
[20] 버마어 = 311
5. 타이ㆍ카다이 어족 = 320
[21] 타이어 = 320
[22] 크메르어 = 329
6. 오스트로네시아 어족 = 338
[23] 말레이어 = 338
[24] 타갈로그어 = 347
7. 아프리카ㆍ아시아 어족 = 356
[25] 아랍어 = 356
[26] 히브리어 = 365
[27] 하우사어 = 374
8. 니제르ㆍ콩고 어족 = 384
[28] 스와힐리어 = 384
9. 고립 어족 = 394
[29] 한국어 = 394
[30] 일본어 = 404
제5장 자연 언어 모음 체계의 보편성 평가 내용과 기준
1. 모음 목록의 크기에 따른 보편성 = 415
2. 모음 구성에 따른 보편성 = 417
2.1 단계성에 따른 보편성 = 421
2.2 균형성과 대칭성에 따른 보편성 = 422
3. 모음의 음성적 자질에 따른 보편성 = 424
3.1 저설성에 따른 보편성 = 425
3.2 전설성에 따른 보편성 = 426
3.3 원순성에 따른 보편성 = 428
4. 모음의 분포에 따른 보편성 = 430
4.1 기저 음소의 설정 = 431
4.1.1 주변부 모음과 기저 음소 = 433
4.1.2 중앙부 모음과 기저 음소 = 436
4.2 모음 분포 분석 기제의 적용 = 439
5. 장모음과 비모음 = 440
5.1 장모음과 모음 체계 = 442
5.2 비모음과 모음 체계 = 444
제6장 주요 언어 모음 체계의 보편성 분석
0. 분석 모형 = 446
1. 인도ㆍ유럽 어족 = 449
1.1 게르만 어군 = 449
[1] 독일어 = 449
[2] 영어 = 454
[3] 네덜란드어 = 458
1.2 이탈리아 어군 = 463
[4] 이탈리아어 = 463
[5] 프랑스어 = 467
[6] 스페인어 = 475
[7] 포르투갈어 = 479
[8] 루마니아어 = 487
1.3 슬라브 어군 = 491
[9] 러시아어 = 491
[10] 폴란드어 = 495
[11] 체코어 = 502
[12] 세르비아ㆍ크로아티아어 = 506
1.4 인도ㆍ이란 어군 = 510
[13] 힌디ㆍ우르두어 = 510
[14] 페르시아어 = 514
2. 우랄 어족 = 518
[15] 헝가리어 = 518
[16] 핀란드어 = 522
3. 알타이 어족 = 526
[17] 터키어 = 526
[18] 몽골어 = 531
4. 중국ㆍ티베트 어족 = 535
[19] 중국어 = 535
[20] 버마어 = 539
5. 타이ㆍ카다이 어족 = 550
[21] 타이어 = 550
[22] 크메르어 = 554
6. 오스트로네시아 어족 = 563
[23] 말레이어 = 563
[24] 타갈로그어 = 567
7. 아프리카ㆍ아시아 어족 = 575
[25] 아랍어 = 575
[26] 히브리어 = 579
[27] 하우사어 = 583
8. 니제르ㆍ콩고 어족 = 587
[28] 스와힐리어 = 587
9. 고립 어족 = 591
[29] 한국어 = 591
[30] 일본어 = 595
제7장 맺음말
참고문헌 = 609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