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3판에 부쳐
지난 머리말
일러두기

제Ⅰ부 정신병리학의 기본 개념

제1장 정신병리학의 발전
1. 정신병리학의 역사적 배경
2. 여러 정신병리학의 탐구 방식의 차이
3. 정신병리학의 필요성
4. 한국의 정신병리학

제2장 정상과 이상, 정신증상과 증후군
1. 정신의학에서 정상과 이상
2. 정신증상과 증후군

제3장 정신질환의 경과
1. 병의 시작
2. 경과의 모습
3. 병상과 삽화
4. 주기성과 순환
5. 장기간의 성과(long-term outcome)
6. 진행
7. 결함, 잔류상태 및 만성
8. 예후
9. 기타

제4장 성격, 인격과 체질
1. 성격과 인격
2. 인격
3. 기질
4. 성격
5. 병전(病前) 성격
6. 성격과 심인(心因) 반응
7. 성격과 신체 건강
8. 성격의 발달과 붕괴
9. 인격의 이상(異常)
10. 체질
11. 변질

제5장 표정과 행동의 이상
1. 표정
2. 태도
3. 행동의 변화와 행위의 이상
4. 실행증
5. 개인생활의 행동 이상

제6장 신체의 이상과 정신 장애
1. 신체와 정신
2. 외인성(外因性), 내인성, 심인성
3. 정신신체 장애

제7장 가정과 사회
1. 가정의 구조와 정신병리
2. 사회와 정신병리

제Ⅱ부 정신증상학 각론

제8장 의식의 장애
1. 의식이란
2. 의식 장애의 객관적 표지
3. 의식 장애의 진단
4. 의식 장애의 종류

제9장 지각(知覺)의 장애
1. 감각 왜곡(sensory distortion)
2. 지각 성격의 이상
3. 잘못된 지각(妄覺, false perception)
4. 실인(증)(失認症, agnosia)

제10장 사고(思考)의 장애
1. 사고의 정의
2. 사고의 장애

제11장 언어와 말하기의 이상
1. 언어와 사고
2. 언어 기능과 관련된 기본 용어
3. 사고와 언어 장애의 역사
4. 언어 이상의 분석
5. 의사소통의 장애
6. 치매와 언어 이상
7. 자폐증의 언어 특성

제12장 감정의 장애
1. 감정의 의미
2. 감정과 관련된 용어
3. 감정의 이상
4. 기분 장애

제13장 기억의 장애
1. 기억의 기능
2. 기억의 종류
3. 기억의 장애

제14장 지능의 이상
1. 지능이란
2. 지능 장애

제15장 자아(自我)체험의 이상
1. 자아와 자기
2. 신체에 대한 인식과 자기
3. 간주관성과 마음의 가설

제16장 신체 인식의 장애
1. 건강염려증
2. 해리와 히스테리(전환 장애)
3. 신체 혐오
4. 섭식 장애와 신체상의 이상
5. 신체상(身體像)의 문화특이성 장애

제17장 통증의 정신병리
1. 통증이란
2. 급성 통증과 만성 통증
3. 만성 통증의 중요성과 대상 질환
4. 통증과 연관된 정신 장애
5. 기질성 통증과 비기질성 통증
6. 통증 적응과 대처

제18장 의지 ㆍ 욕동의 장애
1. 의지 ㆍ 욕동 관련용어
2. 의지 ㆍ 욕동의 이상

제Ⅲ부 정신 장애 진단 분류와 정신병리학의 과제

제19장 정신 장애 진단 분류체계의 변천
1. 18세기 이전
2. 정신증후학의 기반 확립
3. 20세기의 흐름
4. 정신분석 및 역동정신의학의 영향
5. 기계론(機械論) ㆍ 국소론(局所論)
6. 현대

제20장 정신병리학의 쟁점 및 향후 과제
1. 정신질환에 대한 생물학적 연구 결과
2. 정신병리학에서의 난제(難題)
3. 정신병리학의 향후 과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