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감사의 말 = 5
옮긴이의 말 = 6
1장 서론 : 대중고고학의 다양성과 불협화음 = 21
1. ''대중''이란 무엇인가? = 22
2. ''대중고고학''의 정의 = 24
3. 대중을 참여시키는 목적 = 28
4. 소통과 해석에서의 논점 = 32
5. 소통과 해석에서의 과제 = 37
6. 이해당사자들 = 38
7. 맺음말 = 43
참고문헌 = 44
1부 대중화 : 소통과 해석
2장 미국의 대중고고학 = 49
1. 머리말 : 미국의 대중고고학 = 50
2. 대중적 인식의 초기 발전 = 52
3. 고고유적을 위한 올바른 정책 : 루스벨트와 보존운동 = 55
4. 1930년대의 ''뉴딜''고고학 = 57
5. 문화자원관리의 발전 = 60
6. 철학과 방법론의 변화 = 72
7. 고고학과 문화자원관리 : 관리의 위기 = 74
8. 고고학에서의 종족성과 쟁점 = 84
9. 교육고고학의 출현 = 90
10. 미국의 대중고고학 : 과거, 현재, 미래 = 96
참고문헌 = 97
3장 북미 지역의 고고학과 대중교육 = 101
1. 현행 프로그램에 대한 검토 = 116
2. 맺음말 = 131
감사의 말 = 132
참고문헌 = 135
4장 대중을 박물관 고고학에 참여시키기 = 139
1. 머리말 = 140
2. 박물관의 힘 = 141
3. 고고학을 위한 봉사자로서의 고고학박물관 = 143
4. 대중으로의 시각 전환 = 144
5. 접근성과 포함의 문제 = 145
6. 디지털 접근성 = 147
7. 비공개 자료 = 150
8. 과거를 직접 체험하다 = 152
9. 대여 상자 = 154
10. 적극적 대외봉사활동과 포용 = 156
11. 고고학과 문화적 다양성 = 158
12. ''고고학의 예술'' = 160
13. 관찰 = 163
감사의 말 = 168
참고문헌 = 170
5장 고대 이집트의 발견 : 페트리박물관과 대중 = 173
1. 머리말 = 174
2. 청중과 질문 = 176
3. 아마추어와 ''대안적'' 이집트 = 176
4. 연구에 대하여 = 184
5. 연구 결과 = 187
6. 가장 인기 있는 시대 = 189
7. 가장 많은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생각과 이미지 = 191
8. 고대 이집트인의 피부색 = 193
9. 현대 이집트에 대한 느낌과 고대 이집트와의 관계 = 193
10. 고고학에 대한 느낌 = 196
11. 고대 이집트의 현대와의 관련성 = 199
12. 어린이와 교육 = 201
13. 맺음말 : 박물관을 위하여 = 202
참고문헌 = 206
6장 대중에게 고고학을 보여주기 : 현장에서의 통찰력 구축 = 209
1. 해석과 전시에 대한 구성주의적 접근 = 212
2. 표현 형식 = 217
3. 방문자의 구성 = 219
4. 구성주의 유적 = 221
5. 맺음말 = 224
참고문헌 = 226
7장 고고학과 영국 매체 = 229
1. 언론이 고고학을 보여주는 방식 = 230
2. 국가적ㆍ애국적 사업으로서의 고고학 = 234
3. ''사라진 문명'' = 238
4. 열정을 가진 교수로서의 고고학자 = 240
5. 언론 매체에 대한 다른 고정관념 = 241
6. 고고학은 어떻게 언론 매체를 이용하는가 = 245
참고문헌 = 249
8장 더 민주적인 고고학을 향하여? : 인터넷과 대중고고학의 실제 = 251
1. 머리말 = 252
2. 하나의 시각 : 레비 조던 농장의 인터넷 프로젝트 = 254
3. 누가 연결망에 있는가? 왜 우리는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 256
4. 용어의 명확화 = 260
5. 기술 외부의 쌍방향 소통 및 민주주의 : 레비 조던 웹사이트의 구조화 원칙과 전략 = 262
6. 기술 안에서의 쌍방향 소통 : 토론집단과 이메일, 피드백 방식 = 268
7. 맺음말 = 278
참고문헌 = 286
2부 공공의 이익? : 이해관계자들
9장 21세기 고고학과 권위 = 293
1. 머리말 : 국가와 고고학적 가치 = 295
2. 선택의 확대 = 297
3. 미래를 바라보며 = 300
4. 맺음말 = 305
감사의 말 = 306
참고문헌 = 309
10장 브라질의 대중고고학 = 311
1. 머리말 : 브라질 사회와 대중 = 312
2. 브라질고고학과 청중 = 315
감사의 말 = 320
참고문헌 = 321
11장 누구를 위한 고고학인가 : 고고학자 혹은 지역주민? = 325
1. 머리말 = 326
2. 고고학과 대중 : 현재 상황 = 328
3. 제안 방법 = 331
4. 맺음말 = 337
참고문헌 = 342
12장 대중고고학과 원주민 사회 = 345
1. ''토착''이란 무엇인가? = 346
2. 웨스턴아일스 : 토착사회? = 348
3. 웨스턴아일스의 대중고고학 = 350
4. 남부 마다가스카르의 토착사회 = 354
5. 남부 마다가스카르의 대중고고학 = 355
6. 토착고고학자와 지역고고학자 = 362
7. 맺음말 = 364
감사의 말 = 366
참고문헌 = 368
13장 거꾸로 보는 고고학 : 호주 원주민과 뉴사우스웨일스에 분포한 그들의 유체 = 369
1. 포트잭슨에서의 죽음 = 370
2. 다양한 확산 = 373
3. 반환의 범위 = 376
4. 재매장과 반환의 정신 = 379
5. 지역적 공간과 국가적 공간 = 380
6. ''진정한'' 호주 원주민과 ''진정한'' 대화 = 382
7. 장소를 소유하기 = 384
참고문헌 = 389
14장 불합리의 위안 : 대안고고학의 중요성과 타당성 = 391
1. 머리말 = 392
2. 대안고고학의 정의 = 393
3. 대안고고학의 몇 가지 주제 = 395
4. 대안고고학의 제시 방법 = 397
5. 대안고고학의 성장 = 402
6. 대안고고학을 반박하려는 시도 = 405
7. 대안고고학을 포용하려는 시도 = 410
8. 맺음말 = 412
참고문헌 = 413
15장 유물법과 동산문화재 관리제도 : 발전하는 대중고고학에서의 사례연구 = 417
1. 매장문화재에 관한 관습법 = 419
2. 금속탐지기의 사용 = 421
3.「유물법(Treasure Act)」 = 423
4.「유물법」에 대한 반대 이유 = 424
5. 동산문화재 관련 토론 문서 = 427
6. 스코틀랜드와 북아일랜드 = 428
7.「유물법」의 성과 = 429
8. 동산문화재 관리계획 = 433
9. 맺음말 = 440
참고문헌 = 444
16장 골동품 시장이 중국고고학 발전에 미친 영향 = 447
1. 초기 단계 : 고고학적 연구의 시작 = 449
2. 둘째 단계 : 고고학과 시장이 멀어지다 = 450
3. 셋째 단계 : 고고학과 오늘날의 골동품 시장 = 451
4. 맺음말 = 456
참고문헌 = 458
찾아보기 = 459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