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서문 목차 제 1 부 논어의 성립에 대한 제설 (1) 한(漢)이 일어났을 때에도 논어는 존재했을까? (2) 제노이하간구편삼십편(齊魯二河間九篇三十篇)의 성격 (3) 학통의 전수에 대한 견해 (4) “齊魯二河間九篇三十篇” 및 “失齊魯河間九篇本三十篇”에대한 해석 (5) ‘논어’라는 서명의 유래 (6) 기타 제 2 부 논어의 성립 53 제1장 편의 제목[篇目]과 장 배열[章次] 제2장 장의 성립 경위 1) 공자와 관련된 장 ● 논어에서의 공자에 대한 일반적 호칭 ● 아무런 설명도 없이 “자왈(子曰)……”이라고 되어 있는 장의 성립 경위 ● 특정한 때라든가 장소에 대한 설명을 곁들이며 “자왈(子曰)……”이라고 한 문장의 성립 경위 ● 공문 밖에서 일어난 일인데도 공문 안에서 일어난 일인 것처럼표기[子曰]한 문장의 성립 경위 ● “공자왈(孔子曰)……”이라고 되어 있는 문장의 성립 경위 ● “자(子)……”라고 되어 있는 문장의 성립 경위 ● “공자왈(孔子曰)”과 “자왈(子曰)”이 동시에 나타나는 문장의 성립 경위 ● 공자의 이름이 자(字)[仲尼]로 표기된 문장의 성립 경위 ● 공자의 이름이 ‘명(名)’[丘]으로 표기된 문장의 성립 경위 ● 공자를 ‘부자(夫子)’로 표기한 문장의 성립 경위 2) 직제자와 관련된 장 ● 논어에서의 직제자에 대한 일반적 호칭 ● 직제자의 이름을 ‘별명’으로 표기한 문장의 성립 경위 ● 직제자의 이름을 일인칭[名]으로 표기한 문장의 성립 경위 ● 자(字)를 넣어야 할 곳에 ‘명(名)’을 사용한 문장의 성립 경위 ● 직제자를 ‘○자(○子)’로 표기한 문장의 성립 경위 ● 직제자들의 말과 직제자 상호 간의 대화를 기록한 문장들에 대한 이해 ※ 「자장」의 성립 경위 분석 3) 기타의 장의 성립 경위 ● 특정 역사적 사건과 관련되어 있는 문장들의 성립 경위 ● 설화체로 된 문장의 성립 경위 ● 공자의 언행록과 무관한 것처럼 보이는 문장의 성립 경위 4) 종합 제3장 문체(文體)의 일관성 제4장 장 연관(聯關) 1) 개관 2) 「학이」에 보이는 장 연관 3) 「위정」에 보이는 장 연관 4) 기타의 편에 보이는 장 연관 5) 「술이」의 구조 분석 제 3 부 삼논에 대하여 제1장 삼논의 성립과 유래 제2장 제논의 기록과 노논의 기록 1) 호칭으로 구분 2) 직제자를 ‘모자(某子)’로 칭한 장 3) 노나라 출신 제자들 중에는 평생을 노나라에서 산 제자들이 많다. 4) 자로(子路)가 나오는 장은 특히 유의해야 한다. 5) “공자(孔子)”라는 호칭이 사용된 장은 대부분 ‘제논’에서 취한 것이다. 6) 공자의 덕목이 병렬·나열되어 있거나 조건이 함께 부가되어 기록된장은 제나라에서 성립한 것이다. 7) 공문 후학의 활동으로 구분하는 법 8) 고대의 성현이 등장하는 장은 거의 대부분 제나라에서 성립한 것이다. 9) 방언으로 구분하는 법 제 4 부 자(子)로 호칭된 제자들 제1장 증자(曾子) 제2장 유자(有子) 제3장 염자(冉子) 제4장 민자(閔子) 제5장 요약 ● 부론 공자 몰후 노나라에서의 유학의 전개 제 5 부 공자 몰후의 유학의 전파 1) 위나라[衛] 2) 진나라[陳] 3) 유학의 남방[楚] 전파 4) 위나라[魏] 5) 제나라[齊] * 공자연표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