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 5
프롤로그 : 정조와 그의 시대를 이해하는 또 하나의 창, 궁중회화 = 15
Ⅰ 정조대 궁중화원제도의 변화 = 23
1장 도화서와 차비대령화원 = 26
1. 정조 이전의 화원제도 변천과 정조의 도화서 개혁 = 26
2. 정조대 도화서와 차비대령화원제의 비교 = 45
2장 정조대 차비대령화원의 업무와 운영 = 57
1. 차비대령화원의 업무 = 57
2. 차비대령화원의 세대 분석 = 74
3. 차비대령화원제도의 실상과 한계 = 88
Ⅱ 어진과 신하 초상의 제작 = 95
3장 어진의 제작과 진전의 운영 = 98
1. 정조 이전의 전통 : 숙종ㆍ영조 연간을 중심으로 = 98
2. 영조 어진의 처리와 모사 = 108
3. 정조 어진의 제작과 봉안 = 120
4장 신하 초상의 열람과 제작 = 141
1. 정조의 어진 도사 시 제작된 신하 초상 = 141
2. 정조가 하사한 신하 초상과 화상찬 : 덴리대학 도서관 소장《초상화첩》 = 149
Ⅲ 사적도를 통한 왕실 행적의 역사화 = 173
5장 정조의 단종사적 정비와《월중도》 = 176
1.《월중도》의 내용과 제작 시기 = 177
2. 정조의 단종 유적 정비와《월중도》: 기억의 재건 = 191
3.『장릉사보』와《월중도》: 기록과 재현을 통한 공식화 = 196
4. 추모의 정치학과《월중도》 = 200
6장 정조의 사도세자 추숭 작업과 사적도 = 202
1. 왕실 사적 전통과 경모궁ㆍ현륭원 의궤도설 = 204
2. 다른 전통의 시작과 사도세자의〈장조태봉도〉 = 220
3. 기억의 수집을 통한 사적의 발명과〈영괴대도〉 = 226
Ⅳ 궁중 계병을 통한 세자의 위상 강화 = 241
7장 문효세자 탄생과 사도세자 존호 추상 :《진하도》(1783) = 244
1. 1783년 사도세자의 존호 추상과 진하례 = 247
2. 진하례의 의례와 재현 = 253
3. 관아 배경의 의미 = 258
4. 제작과 분급 방식 = 261
8장 문효세자의 원자 추대 :《문효세자보양청계병》(1784) = 265
1. 문효세자 탄생 시 정국 동향 = 268
2. 원자 보양관의 임명과 상견례의 진행 = 271
3. 서문과 연시를 통해 본 제작 동기 = 275
4. 보양관 상견례의 의례와 재현 : 사제관계에서 군신관계로 = 281
5. 배경 공간의 상징성 : 왕실과 백성에까지 미치다 = 288
9장 문효세자의 책봉 :《문효세자책례계병》(1784) = 296
1. 정조대 시강원 위상 강화 = 297
2. 좌목과 제작 주체 분석 = 300
3.〈인정전선책도〉와 선책의 = 304
4.〈중희당수책도〉와 수책의 = 312
10장 세자궁의 친림도정 :《을사친정계병》(1785) = 322
1. 정조 이전의 친정도 전통 = 324
2. 정조대 인사제도의 변화 = 340
3. 좌목과 제작 주체 분석 = 343
4. 행례 장면과 친림도정 = 347
5. 창덕궁 중희당과 세자 = 354
Ⅴ《화성원행도병》을 통한 화성 행차의 시각화 = 365
11장《화성원행도병》의 제작과 분급 = 368
1.《화성원행도병》의 명칭 = 369
2. 제작 기관과 화원 = 371
3. 분급과 수용 = 377
4.《화성원행도병》이본 비교 = 385
12장《화성원행도병》의 내용과 의미 = 396
1. 전체 구성과 의미 = 396
2. 연향도 전통과 혁신 :〈봉수당진찬도〉와〈낙남헌양로연도〉 = 400
3. 문풍의 존숭과 진작 :〈화성성묘전배도〉와〈낙남헌방방도〉 = 413
4. 군대를 통한 훈련과 통합 :〈서장대야조도〉와〈득중정어사도〉 = 424
5. 백성을 위한 행차 :〈환어행렬도〉와〈한강주교환어도〉 = 434
에필로그 : 궁중회화를 통해 이루어낸 국정 운영의 시각화 = 449
부록 = 460
표 1. 1783년 11월부터 1800년 5월까지 편찬된 의궤에 기록된 화원 명단 = 460
표 2. 숙종∼정조 연간 현왕(現王) 어진에 대한 의례와 출처 = 461
표 3. 단종 관련 서적 편찬 = 462
표 4.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의 복권과 상존호 = 463
본문의 주 = 466
참고문헌 = 565
찾아보기 = 589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