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4
Ⅰ. 서론 = 11
1. 연구 동향과 연구 목적 = 13
2. 연구 내용과 연구 방법 = 23
Ⅱ. 국내외 정세와 위기의식 = 31
1. 국내 정세와 숙종의 왕권 강화 = 33
1) 숙종 초, 예송논쟁(禮訟論爭) 처리와 경신환국(庚申換局) = 33
2) 경신환국 이후, 왕실 추숭 사업과 두 차례의 환국 = 36
3) 숙종 30년 이후, 노ㆍ소론의 갈등과 왕권의 재확립 = 39
2. 청 정세와 숙종의 위기의식 = 44
1) 전기(1673∼1683), 삼번(三藩)의 난(亂)에 대한 위기의식 = 44
2) 중기(1684∼1697), 청(淸)과 러시아ㆍ몽골간의 전쟁에 대한 위기의식 = 58
3) 후기(1700∼1720), 황당선(荒唐船)과 청 해적에 대한 불안감 = 73
Ⅲ. 개성부(開城府) 군사력의 강화와 민심 위무(慰撫) = 83
1. 대흥산성(大興山城)의 축성과 군영(軍營) 정비 = 86
1) 대흥산성의 축성 = 86
2) 개성 유수(開城留守) 중심의 군문(軍門) 일원화 = 96
3) 속오수미(束伍收米) 타파와 독진화(獨鎭化) = 102
2. 개성 행차와 민심 위무 = 110
1) 후릉(厚陵)ㆍ제릉(齊陵)으로의 행차 = 111
2) 개성에서의 행사와 조치 = 115
3) 위무를 통한 소통의 정치 = 122
Ⅳ. 강화도(江華島) 방어시설의 정비와 숙종 어진(御眞)의 봉안(奉安) = 129
1. 수비체제 및 방어시설의 강화 = 132
1) 수군방어체제의 개편과 진보(墩臺) 축조 = 132
2) 교통로 보강과 강화 외성(外城)ㆍ문수산성(文殊山城)의 축성 = 142
3) 강화 내성(內城) 축성과 수비체제 강화 = 152
2. 숙종 어진의 강화도 봉안과 그 의미 = 158
1) 진전(眞殿) 제도의 수복과 어진 제작 = 158
2) 어진 봉안 의례의 정비 = 164
3) 어진을 통한 이미지 정치 = 168
Ⅴ. 남한산성(南漢山城) 방어시설의 재정비와 유공자 포상 = 175
1. 남한산성 군사력의 재정비 = 178
1) 군병 확보와 군비(軍備) 강화 = 178
2) 봉암(蜂巖)ㆍ한봉성(汗峯城)의 구축과 무기 보강 = 182
3) 봉암ㆍ신남성(新南城)의 구축과 묘사봉안소(廟社奉安所) 영건 = 188
2. 남한산성 행차와 병자호란(丙子胡亂) 유공자 포상 = 199
1) 영릉(寧陵)과 남한산성 행차 = 199
2) 병자호란에 대한 감회와 조치 = 203
3) 유공자 포상을 통한 기억의 정치 = 208
Ⅵ. 북한산성(北漢山城)의 축성과 수도권 방어체제의 확립 = 213
1. 북한산성의 축성 = 216
1) 북한산성의 축성 논의 = 216
2) 북한산성 축성과 도성 연결 = 218
2. 북한산성 행차와 사수 의지 = 241
1) 북한산성 행차의 결정 = 241
2) 북한산성 사수의 의지 = 245
3. 수도권 방어체제 확립의 의미 = 251
Ⅶ. 결론 = 259
부록 : 숙종대 국내외정세와 보장 지역 군사적 정비 = 272
참고문헌 = 278
찾아보기 = 292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