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작가와 작품

1장 / 송완순의 아동문학론
Ⅰ. 머리말
Ⅱ. 송완순과 아동문학론의 전개 양상
1. 송완순의 문단 활동과 필명
2. 송완순의 아동문학론과 전개 양상
Ⅲ. 맺음말

2장 / 김춘강의 아동문학
Ⅰ. 머리말
Ⅱ. 김춘강의 삶과 아동문학
1. 김춘강의 삶과 이력
2. 소년문예단체의 조직과 활동
Ⅲ. 김춘강의 아동문학 작품과 의미
1. 김춘강의 아동문학 작품
2. 김춘강 아동문학 작품의 의미
Ⅳ. 맺음말


3장 / 황순원의 아동문학
Ⅰ. 머리말
Ⅱ. 황순원과 아동문학 활동
1. 황순원의 등단작 시비
2. 황순원의 필명
3. 황순원의 아동문학 작품연보
4. 황순원 작품에 대한 표절 논란과 당대의 평가
Ⅲ. 맺음말

4장 / 황순원의 소년소설 「추억」
Ⅰ. 머리말
Ⅱ. 황순원의 발굴 작품과 소년소설 「추억」
1. 황순원의 발굴 작품과 등단작 시비
2. 소년소설 「추억」과 표절
3. 소년소설 「추억」의 의미와 문학사적 평가
Ⅲ. 맺음말

5장 / 유재형의 아동문학
Ⅰ. 머리말
Ⅱ. 유재형의 활동과 아동문학
1. 유재형의 활동
2. 유재형의 아동문학
Ⅲ. 맺음말

6장 / 김기주의 <조선신동요선집>
Ⅰ. 머리말
Ⅱ. <조선신동요선집>의 양상과 의의
1. <조선신동요선집>의 발간 경위와 수록 작품
2. <조선신동요선집>의 의의와 한계
Ⅲ. 맺음말

7장 / 연성흠의 동화구연론
Ⅰ. 머리말
Ⅱ. 연성흠과 동화구연론
1. 연성흠의 동화구연 활동
2. 연성흠의 「동화구연 방법의 그 이론과 실제」의 원천과 번역 양상
3. 연성흠의 동화구연론 번역과 의미
Ⅲ. 맺음말

8장 / 엄필진의 <조선동요집>
Ⅰ. 머리말
Ⅱ. <조선동요집>의 채록과 의미
1. <조선동요집> 수록 전래동요의 채록자
2. <조선동요집> 수록 작품의 성격
3. <조선동요집>의 아동문학사적 의미
Ⅲ. 맺음말

제2부 아동문학과 매체

1장 / <신소년>의 발간 배경
Ⅰ. 머리말
Ⅱ. <신소년>을 만든 사람과 계급주의
1. <신소년>의 발행인과 편집인
2. 신명균과 이중건
3. 신명균과 이상대
4. <신소년>의 계급주의적 경향
Ⅲ. 맺음말

2장 / 한국 근대 아동문학과 <아이생활>
Ⅰ. 머리말
Ⅱ. 한국 근대 아동문학의 전개 양상과 <아이생활>1
1. 아동문학 매체의 출현과 <아이생활>
2. <아이생활>의 필자와 독자
3. <아이생활>의 민족주의적 측면과 친일의 길
Ⅲ. 맺음말

참고문헌 / 출처 / 찾아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