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을 대신하여 = 5 프롤로그 : 조선어구어한글문장체 시가를 향한 길 제1장 말의 노래, 노래의 시 = 17 반시대적, 반시적(反詩的) 고찰 = 17 제2장 문자의 심급 = 26 자명성 위로 떠오르는 것 = 26 논제 1. 문자시의 자명성과 노래의 망각 = 32 논제 2. 서구 상징주의시의 모방과 자유시라는 환각 = 34 논제 3. ''조선말 문자''로 문학하기(''쓰기'') = 37 논제 4. ''언문일치''의 관점과 시가양식의 조선어구어한글문장체의 쓰기화 = 43 논제 5. 시양식에 대한 진화론적 관점의 문제 = 59 제1부 노래체 양식의 판과 개념들의 장 별의 전설 - 노래하는 시(인)들의 시대 = 67 제1장 근대시 양식의 원형과 시의 주권 = 69 1. 전통 시가양식으로부터 원형 구(構)하기 = 69 2. 정형시체와 전통 시가양식의 계승 = 77 3. 문자화 - 근대 인쇄리터러시와 시의 스크라이빙(Scribing) = 86 4. 스크라이빙 차원의 중층적 매트릭스 = 89 5. 근대시 텍스트의 실재(實在) = 94 제2장 노래와 말의 프랙탈적 관계 = 103 1. ''말의 음악''을 향한 시가양식의 최종심급 = 103 2. ''예술ㆍ음악''의 신개념의 수용과 ''넷재넓이''로서의 조선어 음악의 극치론 = 120 3. 음악언어와 시언어의 본질적인 대화적 관계 = 126 4. 청각적인 것의 우위성과 시가양식의 소통 전략 = 150 제3장 소리 혹은 노래의 무한선율과 낭영의 공동체 = 159 1. ''소리''와 ''문자'', ''노래''와 ''시'' 사이 = 159 2. ''노래''로부터 신시를 구(構)하기 = 173 3. 신시의 조건 - 조선어구어한글문장체의 낭영성 = 177 4. 낭영성, 연행성, 수행성의 공동체 = 190 5. 낭영의 축제와 시인들의 목뽑기 = 197 6. 시가양식론과 노래의 증언 = 227 7. ''노래체 양식''을 표식하는 용어 및 개념들 = 256 8. 장르 및 양식을 설명하는 용어 및 개념들 = 296 제2부 조선어구어한글문장체 시가의 ''쓰기'', 기사법(記寫法), 그리고 스크라이빙(Scribing) 제1장 한글문장체 ''쓰기''의 조건과 인쇄리터러시의 문자 기사법 = 383 1. 노래의 기사법(記寫法)과 인쇄리터러시(print literacy)의 문제 = 383 2. 노래(시가)의 ''문자화''를 향한 여정 = 413 3. 언문일치와 기사법(記寫法)(스크라이빙) = 428 4. 언문일치와 조선어구어한글문장체 ''쓰기''의 단계 = 441 5. 유암의 조선어구어한글문장체 시에 대한 신시담당층 및 주요한의 오마주 = 502 6. 조선어구어한글문장체의 중요성을 지적한 자료들 = 510 제2장 ''문자''에 남긴 말 혹은 목소리 1. 조선어 구어의 ''쓰기(말의 문자화)''와 인쇄리터러시의 대중화 = 524 2. 개행, 단구의 효과와 자유시체를 향한 길 = 569 3. 문장부호 - 문자에 남겨진 목소리 = 573 4. 실제 문장부호의 쓰임, 스크라이빙의 실재 = 586 제3부 양식과 인간 말하는 시, 노래하는 시인 1. 최남선, 우리 시의 새 격조와 새 형식을 찾기 위한 여정 = 628 2. 노래와 ''-노라체'' 혹은 문자시와 ''-다체'' = 666 3. 한자어와, 상징(주의)의 두 흐름 = 709 4. 부재하는 악보, 침묵하는 노래 - 초창시대 ''시극''의 존재론 = 765 5. 조선어의 음악, 발화를 위한 음성단체의 조직 = 797 제4부 마무리 근대시와 ''조선어구어한글문장체''라는 통화(通貨) = 813 용어ㆍ개념어 정리 = 818 참고문헌 = 821 용어 및 인명 찾아보기 = 826 작품 및 서지 찾아보기 = 8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