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01 국제스포츠행정 개관 CHAPTER 01 국제스포츠행정 현상 = 3 1.1 국제스포츠행정의 개념 = 5 1.2 국제스포츠행정 연구의 필요성 = 6 CHAPTER 02 국제스포츠행정 이론 = 11 2.1 글로벌 거버넌스 = 13 2.2 소프트파워 = 16 2.3 자원의존 이론 = 19 2.4 이해관계자 이론 = 22 PART 02 글로벌 올림픽 거버넌스의 구조와 과정 CHAPTER 03 국제올림픽시스템의 공진화 = 33 3.1 이론적 배경 : 조직 자원의 다각화와 시스템의 공진화 = 35 3.2 이념의 운동화(movementization) : 올림피즘 운동 = 39 3.3 운동의 조직화(organization) : 전통적 올림픽 시스템과 국가 = 45 3.4 조직의 제도화(institutionalization) : 확장된 올림픽시스템과 시장 = 50 3.5 제도의 정당화(legitimation) : 사회에 의해 규제된 올림픽시스템 = 55 3.6 이익의 다원화(multipliacation) : 총체적 올림픽시스템과 다중이해관계자 = 64 3.7 국제올림픽시스템의 트릴레마(Trilemma) : 관료제화, 상업화, 정치화 간 균형잡기? = 76 CHAPTER 04 글로벌 스포츠이벤트 개최권 배분의 동학 = 85 4.1 글로벌 스포츠이벤트 개최권 배분 메커니즘 = 87 4.2 글로벌 스포츠이벤트 유치의 성공요인 = 91 4.3 글로벌 스포츠이벤트 개최권의 국가별 배분 패턴 = 97 4.4 글로벌 스포츠이벤트 개최권 배분결과와 국가지표 간 상관성 = 114 4.5 올림픽 개최권 배분의 영향요인 : 소프트파워 가설 검증 = 126 CHAPTER 05 스포츠이벤트 유치 전략과 한국 스포츠 규제 = 155 5.1 스포츠이벤트 유치 전략의 개념 및 국가별 다양성 = 157 5.2 한국 스포츠 규제와 ''팔 길이'' 원칙 = 174 CHAPTER 06 스포츠이벤트 개최의 성과 : 강원도 사례 = 203 6.1 스포츠이벤트 개최 성과의 측정지표 탐색 = 205 6.2 스포츠이벤트 및 일반이벤트ㆍ축제 개최의 효율성 비교 분석 = 234 참고문헌 =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