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2판 서문 = 7 이 책을 쓴 이유 = 8 1부 문제 1장 민주화 이후 한국 사회의 자화상 1. 참여와 대표의 위기 = 19 2. 보수적 민주주의의 사회적 결과 = 27 3.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 35 2부 보수적 민주주의의 기원 2장 국가 형성과 조숙한 민주주의 1. 민중 동원의 사회와 강력한 국가의 탄생 = 49 2. 이념적 양극화에 따른 정치적 대립 축의 전치 = 56 3. 권력의 중앙 집중화와 관료 국가 = 59 4. 이념적으로 협애한 정당 체제의 형성 = 62 5. 한국의 ''세자리즘''과 일본의 ''55년 체제'' = 66 6. 조숙한 민주주의의 효과 = 71 7. 냉전 반공주의와 한국 민주주의 = 78 3장 권위주의적 산업화와 운동에 의한 민주화 1. 박정희식 발전 모델의 특성은 무엇인가? = 82 2. 박정희 정권의 사회적 지지 세력은 누구인가? = 101 3. 민주주의를 위한 공간을 여는 문제 = 106 4장 민주화 이행의 보수적 종결과 지역 정당 체제 1. 한국에서의 민주화 이행의 특징 = 117 2. ''협약''에 의한 민주화와 지역 정당 체제의 형성 = 129 3. 민주화가 보수적으로 종결된 이유 = 142 3부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 구조와 변화 5장 민주화 이후의 국가 1. 민주화 이후 강력한 국가, 무력한 정부의 문제 = 155 2. 무력한 정부와 관료제의 문제 = 168 3. 민주화와 대통령제의 문제 = 174 4. 민주화와 중앙집권화의 문제 = 187 6장 민주화 이후의 시장 1. 민주화와 시장의 개혁 = 194 2. 민주화는 권위주의 시장구조를 변화시켰는가? = 201 3. IMF 세계화와 경제개혁 = 208 7장 민주화 이후의 시민사회 1. 한국의 시민사회는 어떤 맥락에서 어떤 내용으로 형성되었나 = 219 2. ''국가에 반하는 시민사회'' 테제에 관하여 = 225 3. ''시민사회 대 시민사회'' 테제의 제기 = 231 4. 시민사회의 약화와 한국 민주주의 = 238 4부 결론 8장 민주주의의 민주화 1. 보수적 민주화 = 247 2. 갈등의 억압과 대안의 배제 = 251 3. 갈등의 사유화에서 갈등의 사회화로 = 254 4. 유권자 편성 구조의 변화와 경직된 정당 체제 = 258 5. 신자유주의적 민주주의로의 쇠퇴 = 263 6. 슈퍼 재벌의 등장과 민주주의의 변형 = 266 7. 제도 문제, 다른 수단에 의한 정치, 그리고 헌정주의 = 269 8. 민주주의도 능력 있는 정부를 필요로 하는 이유 = 275 9. 자유주의와 공화주의에 관하여 = 281 인명 찾아보기 = 290 용어 찾아보기 = 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