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4
들어가기 = 10
제1절 중화의 철학 = 19
1.1. ''중화(中和)''란 무엇인가? = 20
개관 : 인간의 4대 행위와 기쁨ㆍ재미ㆍ미ㆍ선 = 21
중화와 재미의 관계 = 25
균형으로서의 ''중(中)''의 개념 = 27
비례적 조화로서의 ''화(和)''의 개념 = 37
중도(中道)와 중도(中度)로서의 ''중'' 개념 = 47
1.2. 존재론적 ''중화'' 이념 = 56
공자의 존재론적ㆍ우주론적 중화 개념 = 56
플라톤의 우주론적 중도 개념 = 59
제2절 중화와 4대 교감적 평가감각 = 67
2.1. 내감의 변별력과 공감과의 연계 = 68
중화에 대한 내감적 직관과 변별 = 68
공리적ㆍ유희적ㆍ예술적ㆍ도덕적 공감 = 70
2.2. 단순쾌감과 교감쾌감 = 74
감각과 감정의 중화 = 74
공리적 정체성과 생존도덕 = 80
제3절 유희적 중화로서의 재미와 게임의 이해 = 95
3.1. 유희와 재미 = 96
유희는 생명력과 심신능력의 자유분방한 표출 = 97
재미는 유희의 중화성에 대한 느낌 = 102
어린이들의 유희행위로서 ''난장판놀이''와 ''날뛰기놀이'' = 107
발전된 유희로서의 ''흉내(미메시스)''와 ''내기'' = 108
언어적 유희로서의 유머ㆍ위트와 유희적 정체성 = 113
최고 형태의 유희로서 ''게임'' = 116
공리적 유희로서 ''도박'' = 120
3.2. 유희의 신경과학과 동물행태학 = 125
자악 팽크셉의 유희체계이론 = 125
템플 그랜딘의 동물ㆍ아동유희론 = 145
3.3. 유희와 재미의 이론들 : 플라톤에서 가다머까지 = 154
플라톤의 놀이와 재미의 개념 = 154
아리스토텔레스의 공리적 유희이론과 오류들 = 161
호이징거의 유희 개념과 이론적 모호성 = 166
로제 카이와의 유희 개념과 이론적 난점들 = 171
가다머의 재미없는 유희이론 = 178
3.4. 재미의 공감과 유희적 행복감 = 190
재미와 인생의 행복 = 190
유희의 보편적 활용 : 유희, 세상을 지배하다 = 196
맺음말 = 206
참고문헌 = 209
저자약력 = 213
찾아보기 = 216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