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 부 도시는 무엇으로 움직이는가 제 1 장 도시란 무엇인가 도시, 유기체인가, 구조물인가 _ 3 도시의 미래, 유토피아일까, 디스토피아일까 _ 7 제 2 장 도시의 흥망성쇠 도시의 흥망성쇠 _ 13 도시의 경쟁력 _ 19 러스트 벨트와 선 벨트 _ 20 뉴욕의 성장과 쇠퇴, 그리고 부활 _ 22 피츠버그의 쇠퇴와 부활 _ 27 전자산업의 메카 구미의 성장과 쇠퇴 _ 29 방갈로르가 주는 교훈 _ 30 다시 창조도시를 생각한다 _ 34 도시발전, 인재가 핵심 _ 37 포드주의 vs. 포스트 포드주의 _ 38
제 2 부 도시 부문별 현상과 전망, 그리고 방향 제 3 장 도시공간의 변화와 미래 도시공간의 변화와 과제: 회고와 성찰 _ 43 주택정책 vs. 공간정책 _ 47 도시재생, 새로운 길을 찾아야 _ 49 디지털 전환과 도시공간의 미래 _ 50 초고령사회, 도시공간의 미래 _ 52 1인 가구 증가와 도시공간의 미래 _ 53 인구감소와 도시의 스폰지화 _ 54 왜 ‘15분 도시’인가: 카를로스 모레노(Carlos Moreno)의 생각 _ 55 제 4 장 주택의 진화와 주거공간의 미래 주택의 진화 _ 59 아파트의 진화는 계속된다 _ 61 ‘홈 오피스’ 시대의 도래 _ 62 ‘홈 오피스’ 시대 주택의 변화 _ 63 ‘홈 오피스’ 시대, 도시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 _ 65 집 안으로 들어온 소매점, 영화관, 책방, 만화방 _ 66 주택, 공유경제를 만나다 _ 68 주택 재개발에 대한 세 가지 우려 _ 70 제 5 장 상업·유통·업무 공간의 변화와 미래 재래시장과 골목상권의 쇠퇴 _ 73 백화점, 복합문화공간으로 변신하다 _ 75 전자상거래의 확대가 가져올 소매점과 물류의 미래 _ 79 식생활 문화의 변화와 식당의 미래 _ 80 농수산물 도매시장은 존속할까 _ 81 상업공간의 입지 변화는 계속될까 _ 86 공유오피스가 불러온 업무공간의 진화 _ 95 제 6 장 산업공간의 변화 왜 산업 클러스터인가 _ 99 테헤란밸리는 어떻게 스타트업의 요람이 되었는가 _ 101 구로공단의 변신과 서울디지털산업단지의 탄생 _ 103 생산과 유통의 결합체 동대문 의류산업 클러스터 _ 105 실리콘밸리와 판교밸리 _ 116 제 7 장 젠트리피케이션 젠트리피케이션, 어떻게 볼 것인가 _ 121 홍대 거리의 시대적 변화 _ 123 이태원의 과거와 현재 _ 128 대구 김광석 길과 방천시장의 과거와 현재 _ 129 황리단길과 경리단길 _ 134 젠트리피케이션은 왜, 그리고 어떤 곳에서 많이 발생하는가 _ 139 제 8 장 교통정책, 어떻게 변해야 하나 교통정책 목표 변해야 _ 141 ‘속도’ 패러다임의 대체와 새로운 성과척도 _ 142 교통정책에서 토지이용의 중요성 _ 144 교통 인프라 공급에 앞서 수요관리를 _ 145 탄소중립도시, 교통정책 패러다임 변해야 _ 146 대중교통 활성화가 필요하다 _ 148 광역교통, 환승 인프라가 중요 _ 150 블록 단위 주차장 확충해야 _ 158 이면도로 정비, 어떻게 해야 하나 _ 163 지방 중소도시의 버스교통, 어떻게 할 것인가 _ 164 지방 중소도시 버스교통에서 공공의 역할 _ 166 교통계획, 빅데이터 활용 확대해야 _ 169 제 9 장 모빌리티 혁신의 미래 모빌리티 혁신의 미래 _ 173 자율주행차와 도시의 미래 _ 175 자율주행차가 가져올 파급효과 _ 176 도심항공교통(UAM)이 상용화되려면 _ 178 공유교통의 현주소 _ 181 공유교통의 미래 _ 186 MaaS는 희망의 등대가 될 수 있을까 _ 187 제10장 도시,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야 지역발전과 공항의 역할 _ 191 지방공항의 새로운 기회요인 _ 192 물류특화공항의 가능성 검토해야 _ 193 지방공항의 성공조건 _ 198 공항 경제권 만들어야 _ 199 도시에 문화의 옷을 입혀야 _ 206 산업관광자원 개발해야 _ 213 수도권 vs. 지방도시 _ 218 지방도시, 스스로 역량 키워야 _ 220 지역균형발전,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개편해야 _ 221
제 3 부 도시의 미래, 어디로 갈 것인가 제11장 도시의 진화 도시계획 사조의 변천: 공중위생개선 운동에서 도시미화운동까지 _ 227 에베네저 하워드(Ebenezer Howard)의 전원도시 구상 _ 233 20세기 도시, 용도지역제를 갖추다 _ 235 20세기 도시의 실패, 뉴어바니즘을 만나다 _ 237 도시의 번영은 계속될 것인가 _ 240 도시, 대마불사(大馬不死)일까 _ 243 왜 도시의 회복력이 중요한가 _ 245 제12장 도시의 미래,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 도시의 변화를 이끄는 힘: 기술과 자본, 그리고 인재 _ 249 인터넷과 네트워킹, 도시의 새로운 변화를 이끌다 _ 255 시장 vs. 계획 _ 258 탄소중립, 도시는 어떻게 변화해야 하나 _ 265 디지털 전환, 도시는 어떻게 변화해야 하나 _ 266 인구구조 변화, 도시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 _ 267 코로나 팬데믹이 바꾼 도시 _ 268 미래의 팬데믹, 어떻게 대비해야 하나 _ 270 새로운 산업공간, 도시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 _ 272 도시공간, 획일성에서 다양성으로 _ 274 축소도시, 어떻게 만들까 _ 277 메가시티 vs. 15분 도시 _ 278 제13장 미래의 도시, 어떻게 만들까 도시계획, 긴 호흡과 짧은 호흡이 함께 해야 _ 281 도시개발사업, 계획적 관리가 필요하다 _ 284 교통영향평가, 제도적 틀은 살리면서 운영의 묘를 기해야 _ 286 광역계획기구(MPO) 필요하다 _ 287 성장거점도시 육성해야: 앨버트 허쉬만(Albert O. Hirschman)의 생각 _ 289 공공투자, 국가 백년대계를 생각해야 _ 292 계획가를 키워야 _ 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