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교실 수업의 기본 원리 1 교사는 교실 상황을 통합적으로 조정ㆍ운영하는 전문가다 = 15 2 핵심 내용을, 기능을 고려하여, 적절하고 적당하게 제시해야 한다 = 23 3 설명은 간결하고 쉽게, 단계별로 구성해야 한다 = 31 4 학습자가 적당히 괴로워할수록 수업의 질이 올라간다 = 39 5 학습자의 다양한 질문은 충분히 예측 가능하다 = 47 6 학습자에게 의미 있는 예문에도 수준이 있다 = 56 7 교육 효과 없는 질문은 할 필요가 없다 = 63 Ⅱ. 목표 표현의 교수 원리 1 목표 표현의 도입부터 학습자의 정보와 상황을 고려한다 = 73 2 목표 표현(문형)과 어휘는 종합적으로 구성한다 = 84 3 ''V/A-어미''보다는 선행절과 후행절의 연결 관계에 더 주목한다 = 92 4 형태 입력은 기본형부터 단계적으로 제시한다 = 99 5 목표 표현만큼 연계 표현도 중요하다 = 107 6 목표 표현에 힘주어서, 실제 상황과 함께 제시한다 = 115 Ⅲ. 기능 영역별 교수 원리 1 기능 영역은 통합의 관점에서 영역별로 초점화되어야 한다 = 127 2 듣기는 정보의 즉각적 해석 과정이다 = 133 3 말하기는 정보의 직접 제공 과정이다 = 141 4 읽기는 정보의 주관적 해석 과정이다 = 148 5 쓰기는 정보의 문서화 과정이다 = 155 Ⅳ. 연습 활동의 교수 원리 1 연습과 활동은 학습자의 몫이다 = 165 2 직접적이고 쉬운 것부터 순서대로 진행한다 = 171 3〈보기〉는 최대한 간단하게, 목표 표현을 강조한다 = 177 4 학습자의 실제 상황과 연계되도록 한다 = 181 5 학습자 입장에서 미리 해보는 ''리허설''이 필요하다 = 187 6 연습 활동 유형별 학습자 단계별 조정이 중요하다 = 192 7 모든 학습자가, 적절한 수준에서, 참여하도록 유도한다 = 198 Ⅴ. 교육 자료 활용의 원리 1 ''확실성'', ''타당성'', ''통일성'', ''연계성'' 모든 교육 자료의 원칙이다 = 207 2 교재를 절대적으로, 완전히 믿을 필요는 없다 = 213 3 백 마디의 말보다 한 장의 시각 자료가 더 좋다 = 219 4 어휘 카드와 문형 카드는 여전히 가장 효율적인 교육 자료다 = 224 5 판서는 가장 즉각적이고 직시적인 교육 보조 자료다 = 228 6 학습자의 수행 평가를 고려하여 제작-활용한다 = 233 Ⅵ. 교사 수업 발화의 원리 1 세심한 교사 언어가 수업을 역동적으로 만들어 준다 = 241 2 또박또박, 어색하지 않게 표준어를 표준 발음으로 말한다 = 247 3 쉬운 것은 신속하게, 어려운 것은 천천히 말한다 = 254 4 틀리기 쉬운, 틀리면서 하게 되는 표현을 고려해서 말한다 = 261 5 ''몸짓언어''에도 수준이 있다 = 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