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감사의 말 = 5
한국어판 서문 = 8
1 삶은 장소에서 일어난다 : 서론 = 17
현상으로서의 장소와 개념으로서의 장소 근거 짓기 = 21
이 책의 개요 = 26
2 장소의 현상학을 위한 예비 논의 : 원리, 개념, 방법 = 31
현상학 기술하기 = 33
실감되는 신체와 환경적 체화 = 43
장소와 현상학적 방법 = 47
3 장소를 전체론적으로 이해하기 : 분석적 관계성과 동반상승적 관계성 = 51
장소 연구에 대한 개념적 접근 = 55
4 전체성 풀어내기 : 속함, 전진적 점근, 체계론 = 69
전체성에 대한 보토프트의 이해 = 70
함께 속함 = 73
베넷의 전진적 점근 = 75
베넷의 체계론 = 78
단자(單子) = 85
양자(兩子) = 89
5 장소의 단자 = 94
장소의 단자의 면모들 = 95
장소 단자와 실감되는 장소 잡기 = 100
실감되는 장소 잡기의 양상들 = 105
장소와 실감되는 장소 잡기의 혼합 = 106
6 장소의 양자 = 111
1. 운동과 정지 = 112
2. 내부성과 외부성 = 117
3. 상례와 이-례 = 122
4. 장소의 내향적 면모와 외향적 면모 = 127
5. 고향세계와 이방세계 = 133
7 삼자 이해하기 : 관계, 해소, 과정 = 139
삼자, 셋임, 관계 = 140
삼자의 세 가지 추동력 = 142
삼자의 세 가지 위치와 그 결과로 나오는 여섯 가지 삼자 = 146
1. 상호작용의 삼자(1-3-2) = 148
2. 정체성의 삼자(2-3-1) = 153
3. 확장의 삼자(1-2-3) = 157
4. 집중의 삼자(2-1-3) = 160
5. 질서의 삼자(3-1-2) = 163
6. 자유의 삼자(3-2-1) = 165
삼자에 관한 몇 가지 요점 = 167
8 세 가지 장소 추동력과 여섯 가지 장소 삼자 = 170
세 장소 추동력 식별하고 정당화하기 = 171
수용적 추동력으로서 환경적 총체(EE) = 175
확언적 추동력으로서 장소-내-사람(PP) = 178
화해적 추동력으로서 공유 현전(CP) = 180
여섯 가지 장소 삼자 = 185
9 장소 상호작용의 삼자(1-3-2 또는 PP-CP-EE) = 189
장소 상호작용의 삼자 = 190
장소 상호작용의 유형 = 195
사람-사람 상호작용의 유형론 = 198
사람-장소 상호작용에 대한 로플랜드의 유형론 = 201
상호작용 삼자 해독하기 = 203
연쇄로서의 상호작용 삼자 = 206
연계로서의 상호작용 삼자 = 208
10 장소 정체성의 삼자(2-3-1 또는 EE-CP-PP) = 212
장소 정체성의 삼자 = 214
가옥과의 강렬한 동일시 = 219
집과의 강렬한 동일시 = 222
장소 정체성의 실패 = 225
장소 상호작용과 장소 정체성을 함께 고려하기 = 229
상호작용과 정체성의 상호의존 = 234
11 장소 해방의 삼자(3-2-1 또는 CP-EE-PP) = 236
장소 해방의 삼자 = 238
장소 해방 체험하기 = 245
장소 해방, 그리고 장소 사건의 연쇄 = 247
장소 해방, 환경적 총체, 장소-내-사람 = 251
참신성, 장소, 가능성 = 254
12 장소 실현의 삼자(3-1-2 또는 CP-PP-EE) = 257
장소 실현의 예 = 258
비자기의식적 장소 실현으로서 상가주택 = 263
자기의식적 장소 실현으로서 맥도널드 = 269
13 장소 증진의 삼자 (2-1-3 또는 EE-PP-CP) = 275
장소 증진의 예 = 276
삶을 조직화하는 건축 = 280
플라자와 공원에 생기를 주는 설계 = 284
생활세계를 조직화하는 위상학 = 289
장소 발레를 지지하는 환경적 총체 = 294
14 장소 창조의 삼자(1-2-3 또는 PP-EE-CP) = 299
장소 창조의 예 = 301
장소와 사람에 조현된 풍력발전 터빈 상상하기 = 305
침식된 풍경을 치유하기 = 308
이집트 마을을 설계하고 건설하기 = 313
전체성을 이해하고 만들기 = 319
도시의 현상을 발견하기 = 323
15 여섯 가지 장소 과정 통합하기 = 329
장소 강화와 장소 약화로서 여섯 가지 장소 과정 = 330
사건과 장소 튜브로서 여섯 가지 장소 과정 = 333
장소, 협력적 관계성, 장소 돌보기 = 341
장소, 장소 만들기, 협력적 관계성 = 343
16 삶은 장소에서 일어난다 : 비판, 염려, 장소의 미래 = 346
본질주의적 개념으로서의 장소, 실감되는 장소 잡기, 장소 과정 = 348
장소, 실감되는 장소 잡기, 환경적 결정론 = 351
차이와 분쟁의 현장으로서의 장소 = 356
배제로서의 장소, 또는 세계화된 네트워크의 변동하는 접속점으로서 장소 = 364
장소, 체험적 자리 잡기, 장소 정의 = 369
후기 : 체험 대 인식, 실감 대 개념 = 375
체험하기 대 인식하기 = 377
생활세계 구조로서의 삼자 = 380
전진적 이해 = 383
예측불가능성과 경이로서의 장소 = 386
참고문헌 = 389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