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7
서론
1. 감금된 기억 = 15
2. 나의 주제 = 20
3. 각 장의 순서 = 27
1장 집중 돌봄
1. 이름을 기억하라 = 29
2. 기억과 돌봄 = 37
3. 윤리와 돌봄 = 42
4. 내 이웃은 누구인가? = 49
5. 체계적 애매성 = 54
2장 지속되는 과거
1. 공유기억 = 57
2. 공유기억의 의지주의 = 63
3. 기억의 기억 = 66
4. 집단적 기억과 신화 = 70
5. 생명을 불어넣기 = 71
6. 기억의 공동체들 = 75
7. 하나의 보편적 윤리 공동체 = 80
3장 핵심
1. 윤리적 평가 = 89
2. 기억과 죽음 = 95
3. 기억의 공동체에서 싹튼 희망 = 98
4. 답변의 도출 = 107
4장 회상된 감정
1. 일화적 기억 = 109
2. 부정적 정치 = 113
3. 상처에 모욕을 더하기 = 118
4. 시에서의 되살림과 회상 = 121
5. 모욕 유도하기 = 123
6. 트라우마 = 125
7. 감정 유지하기와 되살리기 = 127
8. 삶 되살리기 = 131
9. 기분과 감정 = 134
10. 감정의 수정주의적 역사 = 138
11. 염려와 돌봄의 교차점 = 140
12. 훈육되지 않은 감정의 무리들 = 143
5장 도덕적 증인
1. 도덕적 증인의 표지 = 145
2. 희망에 반하는 희망 = 149
3. 도덕적 증인의 도덕적 애매성 = 156
4. 진실과 진정성 = 159
5. 악을 폭로하기 = 162
6. 흥미로운 사례들 = 165
7. 대리인으로서의 증인 = 168
8. 증언과 증거 = 172
9. 도덕적 증인이라는 관념을 변호하며 = 174
10. 도덕적 증인인가 윤리적 증인인가? = 177
6장 용서하기와 망각하기
1. 인본주의적 방향설정 = 179
2. 용서하기와 망각하기의 계보학 = 180
3. 용서 : 죄를 지우기인가 감추기인가? = 184
4. 태도이자 의무로서의 용서 = 187
5. 선물로서의 용서 = 188
6. 되돌아가기 = 191
7. 망각하기가 의도적일 수 있는가? = 194
8. 용서 = 196
9. 이차 용서 = 198
참고문헌 = 203
옮긴이 해제 : 기억, 돌봄, 윤리의 관계 맺기 = 209
인명 찾아보기 = 241
사항 찾아보기 = 245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