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_ 5
서문_ 11
1 도입: 사회적 지식을 연구하는 접근법 19
사회적 판단의 영역들 _ 22
사회적 이해 또는 사회적 통제 _ 24
2 구조와 발달 33
상호작용, 구성 및 구조 _ 35
단계, 발달의 동시성-비동시성, 평형화 _ 47
지식의 영역과 부분적 구조 _ 56
연구 방법 _ 57
3 사회적 경험과 사회적 지식 79
도덕성과 사회 인습 _ 81
사회적 상호작용 _ 94
4 사회적 판단의 차원들 113
준거 판단, 정당화 범주, 사회적 사건 _ 116
준거 판단 연구 _ 123
준거 판단, 정당화 범주 및 문제의 친숙도 _ 137
영역 구분의 비연속성 혹은 연속성 _ 146
5 규칙과 금지 157
사회적 규칙 개념에 관한 연구 _ 169
사회적 규칙 개념의 체계적 특징 _ 203
6 사회적 인습 개념의 발달과 영역 조정 205
긍정과 부정: 사회적 인습 개념 안의 평형과 비평형 _ 208
긍정-부정 그리고 발달 변화 _ 229
영역 조합 _ 233
7 도덕 판단의 발달 271
자극으로 사용된 사건 및 이슈의 분류 _ 272
도덕 판단의 발달 분석 _ 280
타율적 정향의 요소 _ 282
타율이 자율에 선행하는가? _ 297
타율성에 대한 분석의 수정 _ 311
도덕 판단 안에서 연령 관련 변화 _ 319
8 도덕 발달에 대한 비인지적 접근: 내면화와 생물학적 결정론 325
초자아 형성 _ 336
행동주의적 내면화 접근법 _ 348
9 사회적 판단과 행동: 영역 조정 371
도덕적 판단과 행동의 관계 연구 _ 374
판단과 행동 사이의 일치와 불일치 _ 382
판단 영역과 행동 영역 _ 396
10 결론: 상호작용, 발달, 합리성 415
사회적 영역에서 합리성과 비합리성 _ 422
사회적 지식의 범주들 _ 435
참고문헌 _ 443
찾아보기_ 465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