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Ⅰ편. 백제의 칠지도와 동성왕 인물화상경 제1장. 백제 전지왕 ‘奉元四年’명 칠지도와 그 사상적 배경 1. 머리말 2. 연호 ‘奉元’과 칠지도명의 석문 (1) ‘奉元四年十一月十六日’의 석독 (2) 명문의 구성과 석문 3. 길상구설의 문제와 전지왕의 연호 제정 4. 칠지도 제작의 사상적 배경 (1) ‘周 正月 冬至’와 ‘丙午 正陽’ (2) 칠지도 도상에 투영된 ‘奇生’의 원리 (3) ‘百練銕七支刀’와 전륜성왕의 이념 5. 맺음말
제2장. 백제 동성왕 인물화상경(‘隅田八幡鏡’)과 사마 1. 머리말 2. 명문의 석독과 석문 (1) 명문의 석독 (2) 명문의 문장 구성과 석문 3. 동경 제작의 주체와 동경의 성격 (1) 기년의 표기방식과 제작 주체 (2) 장봉(長奉)의 동(同, 銅) 200두()와 그 성격 4. 동성왕 13년(491) 동경의 제작과 그 배경 5. 동경의 대왕-사마와 웅진기 백제 왕실 계보의 복원 6. 맺음말
제2장. 「신라촌락문서」의 인구통계와 그 작성 시기 1. 머리말 2. 공연과 계연, 9등연 (1) 공연 (2) 계연과 9등연 3. 문서의 인구 통계와 그 작성과정 (1) 문서의 구조와 인구통계의 정합성 (2) 문서의 작성 과정 4. 문서의 작성 시기 (1) 695년설의 몇 가지 문제 (2) 이두의 용법으로 본 문서의 작성 시기 5.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