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역동(Dynamics) : 하천 습지의 생태환경
제1장 개념 정의 분류
1. 습지와 하천의 정의 = 3
1.1 습지의 정의 = 3
1.2 하천의 정의 = 5
2. 습지의 분류 = 9
2.1 습지분류체계 = 9
2.2 하천 습지의 특성 구분 = 12
3. 습지의 경계 설정 = 15
3.1 경계 설정 요소 = 15
3.2 습지식물로 습지경계 인식 = 18
4. 습지의 기능과 중요성 = 20
4.1 하천 습지의 기능 = 20
4.2 가치와 중요성 = 23
5. 습지와 하천의 분포 = 26
5.1 주요 습지의 분포 = 26
5.2 세계와 한반도의 주요 하천 분포 = 29
제2장 하천지형 하천작용 한반도 지형
1. 지형 형성과 공간 구조 = 33
1.1 하천의 발달 = 33
1.2 물길 구조 = 35
2. 유역경관과 단위지형 = 40
2.1 경관 수준의 유역적 접근 = 40
2.2 물길과 유출량의 평형 = 50
2.3 지형단위 수준의 횡단면적 접근 = 54
3. 하천작용과 퇴적물 이동 = 63
3.1 하천작용과 물리적 특성 = 63
3.2 퇴적물 이동과 충적지형의 발달 = 68
3.3 하천 횡구조물에 의한 퇴적물 이동의 변화 = 70
4. 충적지형의 발달과 특성 = 74
5. 우리나라의 하천지형 = 81
5.1 지질 및 지형 특성 = 81
5.2 우리나라의 하천 구분과 주요 특성 = 86
제3장 기후 수문 토양
1. 기후 = 91
1.1 기후 영향 = 91
1.2 한반도 기후 특성 = 93
2. 물의 순환과 흐름, 토양수 = 103
2.1 물의 특성과 순환 = 103
2.2 유량과 물흐름 = 107
2.3 토양에서 식물의 물흡수와 물순환 = 119
3. 기온과 수온 = 126
4. 퇴적물과 토양 환경 = 130
제4장 화학 생물
1. 식물의 필수 영양염류와 영향 물질 = 143
1.1 식물의 필수 영양염류 = 143
1.2 기타 영향 물질 = 150
2. 탄소, 질소, 인, 황의 순환 = 152
2.1 탄소 순환 = 152
2.2 질소 순환 = 154
2.3 인 순환 = 158
2.4 황 순환 = 160
2.5 인과 질소, 부영양화와 물질순환 = 161
3. 수환경과 수질 = 168
3.1 수환경 특성 = 168
3.2 pH(수소이온농도) = 170
3.3 산소와 이산화탄소 = 174
3.4 염분도, 조도와 부유물질 = 177
4. 생물 생태적 과정 = 180
4.1 영양단계의 물질순환과 에너지 흐름 = 180
4.2 유기물 분해의 생물적 과정과 물속 생물다양성 = 183
제5장 인간 영향 현명한 이용
1. 산업화와 도시 발달 = 189
1.1 습지 소실과 하천 개량 = 189
1.2 도시화와 댐 건설, 기후변화 = 194
2. 수질 오염과 생태환경 개선 = 200
2.1 수질오염과 홍수유출량 변화 = 200
2.2 수질 개선 = 204
3. 습지의 생태문화와 현명한 이용 = 207
3.1 하천과 습지의 생태문화 = 207
3.2 습지의 현명한 이용 = 209
제2부 적응(Adaptation) : 식물과 식물사회 특성
제6장 환경에 대응한 식물적응 반응 발달
1. 습지식물의 정의와 분류, 특성 = 215
1.1 습지식물의 정의와 분류 = 215
1.2 습지식물의 유형별 특성 = 219
2. 식물 지리와 공간 분포 = 225
2.1 식물의 지리 분포 = 225
2.2 식물의 공간 분포 유형 = 227
3. 습지식물의 진화와 적응 = 230
3.1 습지식물의 진화와 생태학적 반응 = 230
3.2 생물다양성과 자원경쟁 = 237
4. 수문과 습지토양에서의 식물 적응 = 247
4.1 수환경에서의 식물 적응 = 247
4.2 침수토양에서 식물 적응 = 260
4.3 생활형 적응 = 274
4.4 식물 기관의 형태적 적응 = 278
5. 식물의 번식과 산포 전략 = 282
5.1 식물의 번식 방법 = 282
5.2 산포와 개체군 유지 = 295
6. 천이적 변화 = 300
7. 식물학적 관점에서의 습지 유형화 = 312
7.1 식물상을 고려한 습지분류 = 312
7.2 습지유형별 특성 = 314
제7장 식물종 식물사회
1. 하천, 호소의 식물과 수변림 = 321
1.1 하천과 호소의 식물 = 321
1.2 수변림의 정의와 분류 = 326
1.3 수변림의 기능과 특성 = 331
2. 유역 경관별 식물 및 식물사회 = 335
2.1 유역별 분포 특성 = 335
2.2. 하천 습지의 식물사회 체계 = 342
3. 목본 식물사회 = 349
3.1 버드나무류림 = 349
3.2 경목림 또는 기타 연목림 = 373
4. 초본 식물사회 = 383
4.1 다년생 초본식물 = 383
4.2 일이년생 초본식물 = 397
4.3 수중식물 = 403
5. 보호식물과 귀화식물 = 414
5.1 멸종위기야생생물과 중요 식물 = 414
5.2 귀화식물 = 423
참고문헌 = 434
부록(우리나라 습지식물 목록) = 480
찾아보기(색인) = 502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