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김현승 신앙시의 초월성 연구 : 바르트의 신학적 관점으로
Ⅰ. 서론 = 15
1. 문제제기 및 연구사 검토 = 15
2. 연구의 시각 = 18
Ⅱ. 인간의 언어에서 신의 언어로의 초월 = 25
Ⅲ. 인간의 불완전성에서 신의 완전성으로의 초월 = 33
Ⅳ. 인간의 지상에서 신의 천상으로의 초월 = 40
Ⅴ. 결론 = 46
2. 김수영 시에 나타난 자연존재에 관한 연구 : 하이데거의 존재론의 관점으로
Ⅰ. 서론 = 51
1. 문제제기 및 연구사 검토 = 51
2. 연구의 시각 = 54
Ⅱ. ''꽃''이란 자연존재의 상징 : 실존적 존재의 의미 = 58
Ⅲ. ''뿌리''란 자연존재의 상징 : 역사적 존재의 의미 = 65
Ⅳ. ''풀''이란 자연존재의 상징 : 실존적 존재와 역사적 존재의 만남 = 74
Ⅴ. 결론 = 77
3. 이상과 김춘수, 내재와 초월 : 키르케고르의 신학적 관점으로
Ⅰ. 서론 = 85
1. 문제제기 및 연구사 검토 = 85
2. 연구의 시각 = 90
Ⅱ. 절망에 대하여 = 95
Ⅲ. 불안에 대하여 = 104
Ⅳ. 사랑에 대하여 = 110
Ⅴ. 결론 : 이상과 김춘수, 내재와 초월 = 119
4. 보들레르와 김춘수 시에서 고통의 치유로서의 인공낙원
Ⅰ. 서론 = 127
1. 문제제기 = 127
2. 연구사 검토 = 138
3. 연구의 시각 = 141
Ⅱ. 보들레르의 시에서 고통에 대한 치유로서의 인공낙원의 의미 = 148
1. 고통의 기원으로서의 유소년기의 외상 체험 = 148
2. 고통의 양상으로서의 반복강박과 죽음충동 = 153
3. 고통의 치유로서의 승화 : 무로부터의 창조로서의 인공낙원 = 162
Ⅲ. 김춘수 문학에서의 고통의 기억과 상처의 치유 = 168
1. 고통의 기원으로서의 유소년기의 외상 체험 = 168
2. 고통의 양상으로서의 반복강박과 죽음충동 = 170
3. 고통의 치유로서의 승화 : 무로부터의 창조로서의 인공낙원 = 175
Ⅳ. 결론을 대신하여: 보들레르와 김춘수의 고통의 치유로서의 인공낙원 비교 = 178
5. 이데아로서의 ''꽃'' 그리고 ''책'' : 김춘수 시론에서의 말라르메 시론의 전유
Ⅰ. 서론 = 186
1. 연구사 검토 = 186
2. 연구의 시각 = 192
Ⅱ. 플라톤주의로서의 상징주의 = 196
Ⅲ. 이데아로서의 ''꽃'' = 204
Ⅳ. 이데아로서의 ''책'' = 214
Ⅴ. 결론 = 219
6. 순수시 시론을 넘어 : 김춘수 시론에서의 발레리 시론의 전유
Ⅰ. 서론 = 226
Ⅱ. 플라토니즘으로서의 프랑스 상징주의 = 229
Ⅲ. 발레리의 순수시 시론의 형성과 특징 = 233
Ⅳ. 김춘수 시론에서의 발레리의 순수시 시론의 전유 = 244
Ⅴ. 결론 = 252
7. 발레리와 김춘수의 신화시 비교 연구 : 카시러의 신화론의 관점으로
Ⅰ. 서론 = 260
1. 문제제기 및 연구사 검토 = 260
2. 연구의 시각 = 264
Ⅱ. 근본감정인 신성함의 구현으로서의 신화시 = 271
1. 발레리의 경우 :「나르시스는 말한다」와「나르시스 단장들」 = 271
2. 김춘수의 경우 :「나르시스의 노래」 = 279
Ⅲ. 세계를 형성하는 정신적 힘으로서의 신화시 = 281
1. 발레리의 경우 :「젊은 파르크」 = 281
2. 김춘수의 경우 :「처용단장」 = 288
Ⅳ. ''순수 존재''로서의 신을 현현하는 신화시 = 293
1. 발레리의 경우 :「해변의 묘지」 = 293
2. 김춘수의 경우 :「신화의 계절」과「밝안제」 = 299
Ⅴ. 결론 = 303
8. 말라르메와 김구용의 ''반수신''에 나타난 위선에 관한 비교 연구 : 칸트의 윤리학의 관점을 중심으로
Ⅰ. 서론 = 312
1. 문제제기 및 연구사 검토 = 312
2. 연구의 시각 = 320
Ⅱ. 말라르메와 김구용의 반수신의 공통점 = 327
1. 동물성 우위의 상징으로서의 반인반수의 신 = 327
2. 이성으로부터의 도피와 본능의 지배 = 332
Ⅲ. 말라르메와 김구용의 반수신의 차이점 = 337
1. 말라르메의 ''사랑''의 화신 대 김구용의 ''증오''의 화신 = 337
2. 말라르메의 ''영육''의 테마 대 김구용의 ''전쟁과 평화''의 테마 = 349
Ⅳ. 결론 = 356
9. 데카르트의 코기토, 그 너머 : 김구용 시론에서의 발레리 시론의 전유
Ⅰ. 서론 = 363
1. 문제제기 및 연구사 검토 = 363
2. 연구의 시각 = 367
Ⅱ. 데카르트의 코기토에 대하여 : 폴 발레리의 경우 = 372
Ⅲ. 데카르트의 코기토, 그 너머에 대하여 : 김구용의 경우 = 388
Ⅳ. 결론 = 399
10. 박재삼 시조시집「내 사랑은」연구 : 정신분석학적 치유의 관점으로
Ⅰ. 서론 = 406
1. 문제제기 및 연구사 검토 = 406
2. 연구의 시각 = 409
Ⅱ. 박재삼의 시조시집「내 사랑은」이전 시집의 경우 = 416
Ⅲ. 박재삼의 시조시집「내 사랑은」과 이후 시집의 경우 = 421
Ⅳ. 결론 = 433
11. 허영자 시의 ''여성-되기'' : 들뢰즈의 생성의 존재론의 관점으로
Ⅰ. 서론 = 439
1. 연구사 검토 = 439
2. 연구의 시각 = 442
Ⅱ. ''자수''의 미학에 나타난 ''여성-되기'' : 리좀적 글쓰기의 창조성 = 447
Ⅲ. ''관능''의 미학에 나타난 ''여성-되기'' : 매저키즘의 사랑 = 461
Ⅳ. 결론 = 469
12. 김경주의 철학시 연구
Ⅰ. 서론 = 476
1. 문제제기 및 연구사 검토 = 476
2. 연구의 시각 = 478
Ⅱ. 김경주의「파이돈」의 경우 : 플라톤의 영혼불멸론과 이데아론의 전유 = 487
Ⅲ. 김경주의「오르페우스에게서 온 한 통의 엽서」의 경우 : 플라톤으로부터 헤겔로 = 493
Ⅳ. 김경주의「정신현상학에 부쳐 횔덜린이 헤겔에게 보내는 마지막 편지」의 경우 : 헤겔의「정신현상학」전유 = 499
Ⅴ. 결론 = 509
보론
1. 원죄와 속죄 : 최문자 시인론 = 515
2. 영원의 시인 : 오세영 시인론 = 528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