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총론 : 역사인식, 교과서, 그리고 역사정치 = 5
1부 교과서와 정치환경
고대사파동, 식민지 이후의 식민주의 / 이정빈
Ⅰ. 고대사파동의 재연, 성찰의 필요성 = 27
Ⅱ. 유사 역사학의 식민주의 인식과 국수주의 = 32
Ⅲ. 역사학계의 식민주의ㆍ국수주의 비판과 성찰 = 41
Ⅳ. 한국고대사학의 탈식민 모색과 과제 = 52
역사교과서의 국수적 한국사 체계와 역사정책 성찰 / 이정빈
Ⅰ. 머리말 = 61
Ⅱ. 현행 역사교과서의 한국사 체계와 민족서사 = 63
Ⅲ. 국수적 한국사 체계의 계보와 계보적 인식 = 71
Ⅳ. 원초적 민족 이해의 고착과 현행 교육과정 = 80
Ⅴ. 맺음말 = 89
정치적 무기로서의 역사, 역사전쟁의 다섯 국면 / 김정인
Ⅰ. 머리말 = 95
Ⅱ. 민주화 전후, 민족-민중사학의 대중화 = 97
Ⅲ. 과거사 청산과 뉴라이트 담론의 등장 = 102
Ⅳ. 보수정권의 회귀와 자유민주주의 파동 = 106
Ⅴ. 종북 담론과 역사교과서 국정화 강행 = 111
Ⅵ. 촛불시민혁명과 ''반일종족주의'' 현상 = 115
Ⅶ. 맺음말 = 119
역사부정 현상과 학교 역사교육의 과제 / 김육훈
Ⅰ. 머리말 = 123
Ⅱ. 역사부정의 개념 : 기원과 동학 = 126
Ⅲ. 역사부정 현상의 교육적 의미와 역사교육의 방향 전환 = 139
Ⅳ. 역사부정과 부인문화 너머의 역사교육 : 변화를 만들어낸 한 사례 = 149
Ⅴ. 맺음말 = 156
2부 역사교육 현장의 대안모색
평화 지향 역사교육을 위한 독일의 사례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중등 Ⅱ 역사 핵심교수계획(2014) / 정용숙
Ⅰ. 역사교육의 평화교육의 만남 = 165
Ⅱ. 역량중심 개정안의 새로움과 문제점 = 170
Ⅲ. 내용영역 분석 : ''근대의 평화조약과 평화체제'' = 174
Ⅳ. 수업 모델 : ''평화는 만들 수 있는가?'' = 178
Ⅴ. 연구와 교육의 대화를 위하여 = 185
2015 교육과정 이후 역사교육을 위한 상상력 / 김육훈
Ⅰ. 머리말 = 193
Ⅱ. 역사 갈등과 갈등극복을 위한 역사교육 탐색 = 195
Ⅲ. 학교 역사교육의 현주소와 변화를 위한 모색들 = 202
Ⅳ. 2015 이후 역사교육정책과 교육과정개정 방향 = 214
Ⅴ. 맺음말 = 221
논쟁성을 살리는 역사교과서 서술 체제 탐색 / 김육훈
Ⅰ. 머리말 : 아직도 교과서인가 = 227
Ⅱ. ''논쟁성을 살리는 역사교육''을 어떻게 개념화할까? = 230
Ⅲ. 논쟁성을 살리는 역사교과서 서술 체제의 가능성 = 240
Ⅳ. 맺음말 = 264
3ㆍ1운동 사례를 통해 본 역사교과서의 시각과 구성에서의 변화 가능성 모색 / 김정인
Ⅰ. 머리말 = 269
Ⅱ. 한국사 교과서의 3ㆍ1운동 서술의 시각과 구성에 대한 검토 = 274
Ⅲ. 민주주의적 시각과 주제사적 구성에 따른 3ㆍ1운동 연구 사례 = 293
Ⅳ. 맺음말 = 299
이행기 정의의 관점에서 본 과거사 청산에 관한 서술 :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 김정인
Ⅰ. 머리말 = 303
Ⅱ. 이행기 정의로서의 과거사 청산 = 307
Ⅲ. 이행기 정의의 관점에서 본 교과서의 과거사 청산 서술 = 312
Ⅳ. 맺음말 = 342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