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자유의 의미와 자유교육의 성격(김정래) 19 1. 들어가는 말 19 2. 자유교육과 제도로의 입문 21 3. 자유의 개념과 교육 26 4. 자유의 제한과 자유교육 36 5. 맺는 말 50
2장. 사회적 실제에의 입문으로서 교육과 교과의 정당화(황규호) 57 1. 서론 57 2. 허스트의 전기와 후기 사고의 검토 61 3. 후기 허스트의 이해를 위한 주요 쟁점의 검토 79 4. 맺는 말 95
3장. 교육목적으로서의 웰빙: 교육과정 철학적 함의(유재봉) 101 1. 서론 101 2. 웰빙에 관한 두 관점: 객관주의적 관점과 주관주의적 관점 103 3. 화이트의 웰빙 개념과 교육 109 4. 웰빙 교육의 의미와 한계 121
4장. 교육 논의에서 과학과 예술의 관련 방식 고찰(방진하) 131 1. 문제제기 131 2. 예비적 고찰: 선행 교육 연구에서 과학과 예술의 관련 방식 135 3. 교과로서 과학과 예술이 가진 가치 138 4. 논의: 인간다움의 의미-과학과 예술의 대화 144 5. 맺는 말 153
Ⅱ. 지식의 성격과 교육과정
5장. 지식과 교육과정 탐구를 위한 관점의 대전환: 이성중심주의에서 경험중심주의로의 전환(박철홍) 161 1. 이원론과 이성중심주의에 근거한 교육과 교육이론의 지배 161 2. 이성중심주의 지식관과 이원론적 형이상학 167 3. 상황적 교변작용과 경험 상황의 총체성 174 4. 지식의 총체성과 앎의 속성 180 5. 삶과 사고 전체를 응시하는 교육학 탐구를 지향하며 195
6장. ‘이론’의 두 가지 의미와 듀이 지식론을 보는 두 가지 관점(한기철) 207 1. 여는 말: 듀이 지식론에 대한 상반된 관점 207 2. ‘보는 지식’으로서의 이론 212 3. ‘언어적 지식’으로서의 이론 221 4. 이론과 실제의 고전적인 의미 230 5. 맺는 말: 지식교육의 항구적 기준 238
7장. 교육내용과 교사의 권위: 가다머 해석학의 관점(서용석) 243 1. 문제제기 243 2. 피터스: 전문지식의 권위자로서의 교사 249 3. 가다머: 탁월한 선입견의 소유자로서의 교사 256 4. 이해에서의 교사의 위치 265
8장. 콜링우드의 역사이론에 비추어 본 교과의 실제적 의의(고영준) 281 1. 교과의 실제적 의의는 무엇인가? 281 2. 역사학의 자율성 284 3. 역사학에 비추어 본 교과 298 4. 결론: 교육의 총체성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