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내면서 = 5 서장 = 12 1장 홍무제의 말은 어떻게 고려에 전달되었나 1. 홍무제의 말과 한중관계 = 28 2. 조서 : 황제 명의의 최고 권위 문서 = 37 3. 수조 : 황제가 손수 쓴 조서 = 43 4. 자문 : 황제의 말을 인용한 관문서 = 49 5. 선유성지 : 황제의 발언록 = 57 6. 구선 : 구두 메시지 = 66 7. 황제의 말을 제도에 가둘 수 있을까? = 74 2장 영락제의 말과 글은 어떻게 달랐을까 1. 영락제 재위 기간의 조선-명 관계 = 80 2. 건문ㆍ영락 연간 황제의 명령이 전달되는 경로 = 86 3. 글로 옮긴 영락제의 말 = 93 4. 글로 옮기지 않은 황제의 말 = 105 5. 황제의 명령에 응하는 조선의 태도 = 117 6. 조선-명 관계의 두 층위 = 123 3장 선덕제의 말을 명나라 기록은 어떻게 조작했을까 1. 성군? 아니면 암군? = 130 2. 홍희제의 말과 글 = 140 3. 선덕제의 글 : 칙서에 담긴 공적인 외교 = 143 4. 선덕제의 말 : 구두 메시지에 담긴 사적 외교 = 150 5. 서울과 북경에 남아있는 정반대의 기록 = 161 6. 서울과 북경에서 바라본 선덕제의 두 얼굴 = 168 4장 정통제의 등극과 반전 1. 조선-명 관계는 언제 안정되었나? = 174 2. 외교의 전면에 선 황제와 환관들 = 184 3. 외교 현장에서 황제의 퇴장 = 200 4. 대조선 외교는 황제의 개인 비즈니스 = 213 맺음말 = 216 주 = 220 참고문헌 = 255 찾아보기 = 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