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 3
서문 = 5
저자 소개 = 15
제1부 질적 탐구의 틀 구상하기 - 이론은 실천을 안내하고, 실천은 이론을 이끈다 = 1
제1장 질적 탐구의 특성, 적소, 가치, 결실 = 2
모듈 1 질적 탐구는 세상에 관한 우리의 이해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 4
모듈 2 무엇이 질적 자료를 질적인 것이 되게 하는가? = 22
모듈 3 연구방법 정하기 = 33
모듈 4 질적연구방법의 결실 = 57
적용과제 = 66
제2장 질적연구의 전략적 주제 = 67
모듈 5 질적연구 설계의 전략적 원리 = 71
모듈 6 자료수집과 현지조사에 대한 전략적 원리 = 81
모듈 7 질적자료의 분석과 결과보고의 전략적 원리 = 96
모듈 8 실천을 위한 질적연구 원리의 12가지 전략 통합하기 : 장 요약과 결론 = 114
적용과제 = 124
제3장 질적 탐구 프레임워크의 다양성 : 패러다임적, 철학적, 그리고 이론적 지향성 = 126
모듈 9 패러다임 논쟁의 이해 : 양적(Quants) 대 질적(Quals) = 128
모듈 10 질적연구 프레임워크 소개 = 142
모듈 11 문화기술지와 자문화기술지 = 146
모듈 12 실증주의, 후기 실증주의, 경험주의, 정초주의, 그리고 인식론 = 153
모듈 13 근거이론과 실재론 = 159
모듈 14 현상학과 발견적 탐구 = 169
모듈 15 사회적 구성주의, 구성주의,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내러티브 탐구 = 179
모듈 16 민속방법론, 기호학, 상징적 상호작용, 해석학 = 197
모듈 17 시스템 이론과 복잡성 이론 = 208
모듈 18 실용주의, 발생론적 질적탐구, 그리고 활용에 초점을 둔 평가 = 226
모듈 19 연구 프레임워크를 포괄하는 패턴과 주제 : 장 요약과 결론 = 235
적용과제 = 249
제4장 실용적이며 실행 가능한 질적연구 적용 = 250
모듈 20 실제적 목적, 구체적 질문, 실행 가능한 대답들 : 질을 조명하고 개선하기 = 253
모듈 21 프로그램 평가 적용 : 결과물 초점 = 262
모듈 22 특화된 질적 평가 적용 = 276
모듈 23 프로그램 모델과 변화이론, 그리고 질적 방법과 부합되는 평가 모델 평가하기 = 294
모듈 24 상호작용적이고 참여적인 질적 적용 = 314
모듈 25 민주적 평가, 원주민(토착민) 연구와 평가, 역량 구축과 문화적 능력 = 330
모듈 26 특별한 방법론적 적용 = 339
모듈 27 질적 방법의 활용에 대한 비전 : 요약 및 결론 = 351
적용과제 = 357
제2부 다양한 질적연구 설계 및 자료 수집 = 359
제5장 여러 가지 질적연구들을 설계하기 = 360
모듈 28 연구설계 생각하기 : 연구문제는 연구 목적으로 발생하고, 연구설계가 연구문제에 답한다 = 363
모듈 29 자료 수집 결정 = 378
모듈 30 목적적 표본선정과 사례 선택 : 전략과 옵션에 대한 개요 = 392
모듈 31 연구설계 전략으로서 단일 주요 사례 표본선정 = 403
모듈 32 비교에 초점을 둔 표본선정 옵션 = 411
모듈 33 집단 특성 표본선정 전략과 옵션 = 422
모듈 34 개념 또는 이론적 표본선정 전략과 옵션 = 431
모듈 35 도구를 사용한 다수사례 표본선정 = 443
모듈 36 현지조사 동안 순차적 그리고 발현 기반 표본선정 옵션들 = 448
모듈 37 분석에 초점을 둔 표본선정 = 455
모듈 38 혼합, 층화, 내포된(Nested) 목적적 표본선정 전략 = 460
모듈 39 풍부한 정보를 가진 사례 = 464
모듈 40 질적연구 설계를 위한 표본 크기 = 468
모듈 41 여러 가지 연구 방법들을 혼합한 설계(Mixed-Methods Designs) = 475
모듈 42 질적 설계 장의 요약과 결론 : 연구방법 선택 및 결정 = 483
적용과제 = 488
제6장 현지조사 전략과 관찰 방법 = 489
모듈 43 직접 관찰의 힘 = 492
모듈 44 다양한 관찰 방법 = 504
모듈 45 관찰 및 현장방문 기간의 다양성 : 단기 정찰에서부터 다년간의 종단 연구까지 = 518
모듈 46 관찰 초점의 다양성 및 현지조사의 다양성에 영향을 주는 차원들 = 533
모듈 47 무엇을 관찰할 것인가 : 감응 개념 = 537
모듈 48 관찰 대상과 관찰 방법의 통합 = 547
모듈 49 비간섭적 관찰 방법과 지표 : 문서 및 자료보관서 조사 = 566
모듈 50 자신을 관찰하기 : 성찰에 대한 성찰과 창의성, 그리고 현지조사 주요 범주의 검토 = 576
모듈 51 현지조사 수행 : 자료 수집 과정 = 584
모듈 52 현지조사의 주요 단계 : 연구 현장으로의 진입 = 595
모듈 53 현지조사의 일상화 : 연구의 두 번째 단계의 역동성 = 605
모듈 54 현지조사의 종료 = 614
모듈 55 관찰자와 관찰 대상 : 통합, 분리 그리고 반응성 = 622
모듈 56 요약 및 결론 : 현지조사의 지침 = 630
적용과제 = 637
제7장 질적 면담 = 638
모듈 57 면담 사회 : 다양한 적용 사례 = 641
모듈 58 면담의 주요 접근법 및 유형 분류 = 655
모듈 59 질문 선택과 숙련된 질문공식 = 672
모듈 60 유대감형성, 중립성, 면담 관계 = 695
모듈 61 집단 면담과 간문화적 면담 = 724
모듈 62 질적연구 과제의 창의적 형태 = 739
모듈 63 질적 면담에서 윤리적 문제와 어려움 = 756
모듈 64 면담에 대한 개인적인 성찰, 장 요약 및 결론 = 768
적용과제 = 787
제3부 분석, 해석, 보고 = 789
제8장 질적 분석과 해석 = 790
모듈 65 질적 분석을 위한 단단한 토대 만들기 : 기초다지기 = 792
모듈 66 상세한 기술과 사례연구 : 질적 분석의 기초 = 810
모듈 67 질적 분석 접근법 : 패턴과 주제 파악하기 = 822
모듈 68 분석에 대한 지적 그리고 실무적 작업 = 842
모듈 69 논리적 분석과 매트릭스 분석, 그리고 질적연구의 종합 = 852
모듈 70 연구결과 해석하기, 내용적 중요성 결정하기, 현상학적 본질을 설명하기, 그리고 해석학적 해석 = 868
모듈 71 질적 분석을 통한 인과 설명 = 885
모듈 72 새로운 연구 방향 : 기여 분석, 참여 분석, 그리고 질적 조건법적 서술 = 907
모듈 73 시각적 자료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결과를 작성하고 보고하기 = 919
모듈 74 특별한 분석과 결과보고의 쟁점들 : 혼합방법, 초점을 둔 의사소통, 원칙중심 결과보고 사례와 창의성 = 941
모듈 75 요약과 결론, 그리고 사례연구 생각해보기 = 955
적용과제 = 981
제9장 질적연구의 질과 신빙성 향상시키기 = 983
모듈 76 신빙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분석 과정 : 자료를 체계적으로 조직하고 의문 제기하기 = 985
모듈 77 신빙성 향상을 위한 삼각검증법 4가지 절차 = 996
모듈 78 질적연구의 질을 판단하기 위한 대안적이고 경쟁적인 준거 : 1편 = 1020
모듈 79 대안적이고 경쟁적인 준거들 : 2편 = 1034
모듈 80 연구자의 신빙성 = 1055
모듈 81 일반화, 외삽법, 전이 가능성, 원리, 그리고 학습한 교훈 = 1069
모듈 82 과학철학의 논쟁점을 통해 질적연구의 신빙성과 유용성 향상시키기 = 1086
적용과제 = 1114
참고문헌 = 1116
찾아보기 = 115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