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내며 = 4 제1장 여성과 근대, 그리고 유교 = 11 1. 개화의 창에 비친 근대 여성 = 13 2. 근대의 눈에 비친 조선 여성 = 24 제2장 유교 여성 규범의 지속과 변형 = 33 1. 남녀유별의 계승 : 덕성과 역할의 젠더 = 35 1) 남녀유별의 원리와 역사 = 35 2) 품성과 덕성의 젠더 : 강유남녀론(剛柔男女論) = 47 3) 역할과 노동의 젠더 : 내외지분론(內外之分論) = 59 2. 남녀유별의 변형 : 도덕의 재구성 = 71 1) 신분층의 확대와 여성 인물의 재배치 = 71 2) 유교 여성 규범의 수용과 균열 = 85 3) 여성의 영역 및 인식의 확장 = 96 제3장 섹슈얼리티의 전통과 근대 = 107 1. 개항기 성 담론의 지형 = 109 1) 유교 성규범의 강화 = 109 2) 성 인식의 변화 = 118 2. 개가 담론으로 본 여성의 성(性) = 127 1) 개가 금지의 원리와 역사 = 127 2) 개가 허용의 논리와 성(性) = 135 3. 열녀 담론으로 본 여성의 성(性) = 150 1) 열녀의 지속과 정절 의식의 강화 = 150 2) 열녀 비판과 열녀 변형 = 162 제4장 혼인과 가족의 담론 = 177 1. 혼인의 전통과 근대 = 179 1) 유교 혼인의 계승과 변형 = 179 2) 구습 혼인 비판 = 189 2. 가족의 전통과 근대 = 206 1) 유교 가족의 지속과 근대 비판 = 206 2) 구 가족 비판과 근대적 재구성 = 215 맺음말 = 233 주석 = 243 참고문헌 = 243 찾아보기 =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