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범례
1부 총론(總論)
1장 총통방제
1. 총통방제의 정의 | 2. 총통방제의 특징과 장점 | 3. 총통복진법 | 4. 처방을 구성하는 방법
2장 육부와 오장의 생리병리와 방제
1. 육부와 오장의 생리병리 체계 | 2. 육부의 생리병리와 기본방제 | 3. 오장의 생리병리와 기본방제
3장 방제(方劑) 공부
1. 그동안 방제를 공부해 온 과정 | 2. 방제 공부의 시작
4장 오장육부 처방에 대한 기본적인 개론
1. 고방과 후세방의 중요한 오장육부 기본방제 및 장부처방 | 2. 육부를 소통시키는 침 처방과 한약 처방에 대한 기본적인 개론 | 3. 오장의 병리를 조절하는 침 처방과 한약 처방에 대한 기본적인 개론 | 4. 기본적인 가감의 원칙
5장 총통진단과 치료
1. 어떻게 해야 한약 처방을 잘할 것인가? | 2. 총통침법과 총통방제의 공통점과 차이점 | 3. 총통진단과 치료에 대한 간단한 소개
2부 각론(各論): 육부(六腑)
1장 소장(小腸)
1. 소장경락유주 | 2. 소장생리 | 3. 소장의 병리상황 | 4. 소장의 병리와 총통기본처방 | 5. 소장의 기본방제 | 6. 소장의 총통활용처방
2장 방광(膀胱)
1. 방광경락유주 | 2. 방광의 생리 | 3. 방광의 병리상황 | 4. 방광의 병리와 총통기본처방 | 5. 방광의 기본방제 | 6. 방광의 총통활용처방
3장 담낭(膽囊)
1. 담경락유주 | 2. 담의 생리 | 3. 담의 병리상황 | 4. 담의 병리와 총통기본처방 | 5. 담의 기본방제 | 6. 담의 총통활용처방
4장 삼초(三焦)
1. 삼초경락유주 | 2. 삼초의 생리 | 3. 삼초의 병리상황 | 4. 삼초의 병리와 총통기본처방 | 5. 삼초의 기본방제 | 6. 삼초의 총통활용처방
5장 위장(胃腸)
1. 위장경락유주 | 2. 위장의 생리 | 3. 위장의 병리상황 | 4. 위장의 병리와 총통기본처방 | 5. 위장의 기본방제 | 6. 위장의 총통활용처방
6장 대장(大腸)
1. 대장경락유주 | 2. 대장의 생리 | 3. 대장의 병리상황 | 4. 대장의 병리와 총통기본처방 | 5. 대장의 기본방제 | 6. 대장의 총통활용처방
3부 각론(各論): 오장(五臟)
1장 간장(肝臟)
1. 간경락유주 | 2. 간의 오행특성(五行特性)과 오장생리(五臟生理) | 3. 간의 병리상황 | 4. 간의 병리와 총통기본처방 | 5. 간의 기본방제와 총통방제 | 6. 간의 총통활용처방 | 7. 간의 임상사례
2장 심장(心臟)
1. 심경락유주 | 2. 심장의 오행특성(五行特性)과 오장생리(五臟生理) | 3. 심장의 병리상황 | 4. 심장의 병리와 총통기본처방 | 5. 심장의 기본방제와 총통방제
3장 심포(心包)
1. 심포경락유주 | 2. 심포의 오행특성(五行特性)과 오장생리(五臟生理) | 3. 심포의 병리상황 | 4. 심포의 병리와 총통기본처방 | 5. 심포의 기본방제와 총통방제 | 6. 심장/심포의 총통활용처방 | 7. 심장·심포 임상사례
4장 비장(脾臟)
1. 비장경락유주 | 2. 비장의 오행특성(五行特性)과 오장생리(五臟生理) | 3. 비장의 병리상황 | 4. 비장의 병리와 총통기본처방 | 5. 비장의 기본방제와 총통방제 | 6. 비장의 총통활용처방 | 7. 비장의 임상사례
5장 폐장(肺臟)
1. 폐경락유주 | 2. 폐의 오행특성(五行特性)과 오장생리(五臟生理) | 3. 폐의 병리상황 | 4. 폐의 병리와 총통기본방제 | 5. 폐의 기본방제와 총통방제 | 6. 폐의 총통활용처방 | 7. 폐의 임상사례
6장 신장(腎臟)
1. 신장경락유주 | 2. 신장의 오행특성(五行特性)과 오장생리(五臟生理) | 3. 신장의 병리상황 | 4. 신장의 병리와 총통기본방제 | 5. 신장의 기본방제와 총통방제 | 6. 신장의 총통활용처방 | 7. 신장의 임상사례
맺음말
참고 문헌
색인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