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5
제1장 의상과 그의 화엄사상에 관한 연구 현황과 전망
1. 의상과 그의 화엄사상에 관한 연구 성과
1) 의상의 생애와 저작 활동 ... 13
2) 의상의 화엄사상 ... 17
3) 의상 敎學과 전제왕권과의 관계 ... 23
4) 신라 화엄사상과 의상 교학의 위치 ... 28
5)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5
제1장 의상과 그의 화엄사상에 관한 연구 현황과 전망
1. 의상과 그의 화엄사상에 관한 연구 성과
1) 의상의 생애와 저작 활동 ... 13
2) 의상의 화엄사상 ... 17
3) 의상 敎學과 전제왕권과의 관계 ... 23
4) 신라 화엄사상과 의상 교학의 위치 ... 28
5) 화엄종의 교파와 南·北岳의 분열 ... 33
2. 의상과 그의 화엄사상에 관한 연구의 전망
1) 연구 방법론의 검토 ... 37
2) 의상과 그의 화엄사상 연구에서 밝혀야 할 문제 ... 40
제2장 의상의 생애와 저술
1. 의상의 생애와 정치적 입장
1) 생애 ... 49
가) 출가와 수도 ... 49
나) 입당과 수학 ... 56
다) 귀국과 흥교 ... 64
2) 정치적 입장 ... 73
2. 의상의 저술
1) 華嚴-乘法界圖의 작성과 그 구성 ... 82
가) 법계도의 작성 ... 82
나) 圖印의 구성 ... 88
2) 法界圖記와 白花道場發願文 ... 97
가) 『법계도기』의 내용 ... 97
나) 白花道場發願文 ... 101
3) 현전하지 않는 저술 ... 104
4) 의상 저술의 성격 ... 111
제3장 의상의 화엄사상
1. 의상의 六朝圓融 사상
1) 六朝差別의 설정 ... 115
2) 육상의 내용 ... 121
가) 總·別相 ... 121
나) 同·異相 ... 125
다) 成·壞相 ... 130
3) 六相總入說 ... 134
4) 圓融無碍 사상 ... 142
2. 의상의 中道實際 사상
1) 融會的 中觀의 전개 ... 152
2) 海印三昧의 설정 ... 157
3) 중도실제 사상 ... 164
가) 無住·無性 ... 164
나) 舊來不動 ... 170
4) 중도실제 사상의 사회적 성격 ... 179
제4장 의상 화엄사상의 체계와 논리
1. 의상의 橫盡法界觀
1) 法界緣起의 논리 ... 185
2) 황진법계관 ... 191
3) 황진법계관의 불교사적 의미 ... 198
2. 의상 화엄사상의 융섭 논리
1) 근본적인 (一)의 강조 ... 202
2) 法界圖의 中 卽門 ... 209
3) 중·즉문의 이해 방향 ... 217
4) 性起論的 입장 ... 222
제5장 의상의 실천신앙
1. 의상의 觀音信仰과 淨土
1) 관음신앙의 내용 ... 229
2) 실천적 화엄수행의 강조 ... 234
3) 정토신앙의 수용과 그 의미 ... 239
가) 정토신앙의 수용 ... 239
나) 그 사회적 의미 ... 244
2. 의상계 화엄종의 (孝善雙美) 신앙
1) 신라 중대의 孝와 善의 문제 ... 249
2) 효선쌍미신앙의 성립 ... 254
가) 在家佛者의 孝行 ... 254
나) 出家者의 효행 ... 258
3) 의상계 화엄종과의 관계 ... 261
4) 그 사회적 의의 ... 267
제6장 의상계 화엄사상의 전개
1. 의상의 門徒
1) 華嚴十刹과 十大弟子의 문제 ... 273
2) 문도와 그 활동 ... 279
가) 表訓 ... 279
나) 神琳 ... 285
다) 智通 ... 294
라) 道身 ... 300
3) 신라 불교계에서의 비중 ... 305
2. 의상계 화엄종의 분열과 數錢論의 전승
1) 南·北岳派의 분열 ... 311
2) 의상의 수전론과 그 전승 ... 318
가) 의상의 수전론 ... 318
나) 南岳派의 계승 ... 325
3) 남·북악파 화엄사상의 차이 ... 331
제7장 의상 화엄사상의 역사적 의의
1. 의상 화엄사상의 불교 사상사적 위치
1) 의상 화엄사상의 특징 ... 339
2) 의상과 당대 불교계와의 관계 ... 344
가) 法藏 敎學과의 관계 ... 344
나) 元曉 敎學과의 관계 ... 350
3) 한국 불교사에서의 위치 ... 356
2. 의상 화엄사상의 사회적 성격
1) 전제왕권과 의상과의 관계 ... 361
2) 性起論的 화엄사상의 사회적 기능 ... 368
3) 신라 중대 전제개혁의 성격 ... 375
4) 의상의 고민과 구도적 수행의 강조 ... 380
제8장 결론 ... 389
찾아보기 ... 41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