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사상사(思想史)'란 무엇인가 ... 3
옮긴이의 말 ... 7
제1장 원시시대-인간의 사상적 출발 ... 15
제1절 원시시대의 자연과 사회-그 '사상상(思想像)' ... 20
제2절 원시시대 사상상(思想像)의 변화 ... 26
제2장 일본적 자연상(自然像)과 사회상(社會像)-아시아적 사유의 성립 ... 35
제1절 일본적 자연 = 신(神...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사상사(思想史)'란 무엇인가 ... 3
옮긴이의 말 ... 7
제1장 원시시대-인간의 사상적 출발 ... 15
제1절 원시시대의 자연과 사회-그 '사상상(思想像)' ... 20
제2절 원시시대 사상상(思想像)의 변화 ... 26
제2장 일본적 자연상(自然像)과 사회상(社會像)-아시아적 사유의 성립 ... 35
제1절 일본적 자연 = 신(神)들의 발생 ... 37
제2절 혈연적 사회 = 신들의 생성(生成) ... 47
제3절 아시아적 이데올로기의 성립 = = 신들의 편성(編成) ... 56
제3장 아시아적 사유의 전개·해체와 고대적 사유의 성립 ... 67
제1절 무(武)와 덕(德)-신도(神道)와 유교 ... 74
제2절 고대사회의 법원리-인간·사회 = 국가상(國家像) ... 85
제3절 고대사회의 종교원리-불교의 도입 ... 97
제4절 쇼토쿠(聖德) 태자의 17조 헌법 사상-고대적 사유의 출발 ... 107
제4장 고대적 사유의 전개 ... 117
제1절 일본 불교의 성립-천태(天台) ... 126
제2절 천태학(天台學)의 교리내용-일념삼천론(一念三千論)과 원융삼체론(圓融三諦論) ... 140
제3절 고대적 사유의 위기-불교의 주술화(呪術化) 진언(眞言) ... 153
제5장 고대적 사유의 해체 ... 165
제1절 불교의 하향침투-신란(新鸞)과 일향일규(一向一揆) ... 172
제2절 불교와 천황제 권력-니치렌(日蓮) ... 197
제3절 불교와 무사-에이사이(榮西)와 오산(五山) ... 216
제4절 불교의 혁신-도켄(道元)과 그 말류(末流) ... 241
제6장 봉건적 사유의 성립 ... 261
제1절 봉건적 의식의 형성-『어성패식목(御成敗式目)』 ... 263
제2절 봉건적 사유의 확립-일본주자학 = 하야시 라잔(林羅山) ... 275
제7장 봉건적 사유의 전개 ... 301
제1절 주자학의 규범주의화(規範主義化)와 에토스의 발견-일본양명학 = 나카에 토쥬(中江藤樹) ... 303
제2절 일본 양명학의 제양상-쿠마자와 반잔(態澤蕃山)과 오시오 헤이하치로(大籃平八郞) ... 327
제3절 봉건적 논리의 순화(純化)와 무(武) 범주-코카쿠(古學) = 야마가 소코(山○素行) ... 347
제8장 봉건적 사유의 해체 ... 373
제1절 『태평책(太平策)』강의-오규 소라이(荻生조徠) ... 381
제2절 『비본 타마쿠시게(秘本玉くしげ)』강의-모토오리 노리가나(本居宣長) ... 402
부록1. 一向一揆年表 ... 428
부록2. 日本思想史年表 ... 43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