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 머리에 ... 5
저자 서문 ... 9
제1부 신화와 학문(서구문화의 분열)
제1장 흴덜린 문학에 나타난 실체론적 기반 ... 15
1. 하나이면서 자체내 相異한 것(병렬, 종속, 종합) ... 16
2. 형상과 본질(주체와 객체) ... 18
3. 신성한 것 ... 20
4. 신화적 세계체험과의 親密與否...
더보기
목차 전체
책 머리에 ... 5
저자 서문 ... 9
제1부 신화와 학문(서구문화의 분열)
제1장 흴덜린 문학에 나타난 실체론적 기반 ... 15
1. 하나이면서 자체내 相異한 것(병렬, 종속, 종합) ... 16
2. 형상과 본질(주체와 객체) ... 18
3. 신성한 것 ... 20
4. 신화적 세계체험과의 親密與否 ... 21
5. 시간 ... 24
제2장 자연과학의 실체론적 기반과 역사적 토대 및 모호성 ... 26
1. 데카르트 ... 27
2. 뉴턴 ... 29
3. 아인슈타인 ... 32
4. 보어와 아인슈타인 ... 40
5. 맺음말 ... 46
제3장 신화해석사 ... 48
1. 신화의 우의적 해석과 합리-역사적 해석 ... 50
2. (言語의 病)으로서 신화해석 ... 52
3. 문학과 미적 허구로서 신화해석 ... 53
4. 신화의 祭儀社會學的 해석 ... 56
5. 신화의 심리학적 해석 ... 61
6. 신화의 선험적 해석 ... 66
7. 신화의 구조주의적 해석 ... 73
8. 신화의 상징적, 낭만적 해석 ... 80
9. 신성한 것의 경험으로서 신화해석 ... 88
10. 비평의 재조명 ... 100
11. 연구 전망 ... 108
제2부 희랍신화의 사고체계와 경험체계
제4장 학문적 실체론의 윤곽 ... 121
1. 자연과학의 실체론적 기반 ... 125
2. 심리학의 실체론적 기반 ... 128
3. 사회학의 실체론적 기반 ... 131
4. 연구길잡이 ... 135
제5장 희랍신화에서 관념적-물질적 합일로서 대상성 ... 137
1. 자연이 갖고 있는 신성본질 ... 138
2. 심리적 神聖本質 ... 145
3. 공동체와 역사에서의 신성본질 ... 167
4. 신화적 세계경험의 아프리오리로서의 신성본질 ... 173
제6장 희랍신화에서 原型으로서 규칙적 과정 ... 175
1. 자연, 푸쉬케, 공동체와 역사에서 原型 ... 176
2. 신화적 실체의 사건진행으로서 원형 ... 178
3. (자연법칙)과 (역사규칙) 및 원형에 대한 신화적 관념 차이 ... 182
제7장 희랍신화에서 시간 ... 185
1. 聖과 俗의 시간 ... 187
2. 후기희랍의 연대기와 계보학, 신화기술에서의 신화적 시간 ... 188
3.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신화적 시간관념의 흔적 ... 193
4. 신화적 시간관념에 관한 문헌 ... 197
5. 신화적 시간개념과 지금의 시간개념간의 위상-계량적 차이 ... 204
제8장 희랍신화에서 공간의 聖所 테메노스 ... 208
1. 聖所 테메노스 ... 208
2. 신화적 空間定位와 신화적 우주 ... 212
3. 신성공간과 세속공간 ... 214
4. 아낙시만드로스와 헤카타이오스에 비친 신화적 공간 ... 220
5. 신화적 공간개념과 학문적 공간개념간의 위상적-계량적 차이 ... 223
6. 테메노스에서 종속과 종합 ... 226
제9장 희랍신화에서 전체와 부분. 신화적 실체개념의 정확한 규정 ... 228
1. 전체와 부분의 차이가 없는 곳 ... 228
2. 전체가 부분의 기능인 곳 ... 232
3. 부분들이 전체의 기능인 곳 ... 234
4.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에 비친 신화적 실체에 관한 관념 ... 235
5. 전체와 부분에 관한 학문적 개념과의 차이점 ... 238
제10장 학문과 신화에서 存在樣式의 차이. 실체적 체계로서 희랍신화 ... 240
제11장 신화적 祝祭 ... 243
1. 신화적 축제에서 원형의 의미 ... 243
2. 신화적 축제에서 신화적 공간 ... 244
3. 관념적인 것과 물질적인 것의 합일의 역할, 전체와 부분의 신화적 관계의 역할 및 제물로서의 축제의 신화적 실체의 역할 ... 245
4. 신화적 시간과 신화적 축제 ... 252
제12장 신화적 사건으로서 희랍비극 ... 262
1. 아이스킬로스에서 신화 ... 262
2. 소포클레스에 있어서 신화 ... 270
3. 제의-신화적 축제로서 희랍비극 ... 279
제13장 호메로스의 死者崇拜에 나타난 신화적 구조 ... 301
제14장 신화에 나타나는 신화적 未來暗示 ... 310
제3부 신화적인 것의 合理性
제15장 合理性의 의미 ... 329
제16장 학문에서 경험적 相互主觀性으로서의 합리성 ... 333
1. 학문적 기본명제에 내재한 공리적 전제 아프리오리 ... 337
2. 학문적 전칭명제의 확증과 거부에 필수적인 審理的 確定 ... 339
3. 경험적, 학문적 명제에 필수적인 실체론적 확정 ... 341
4. 학문적 경험, 경험적 진실 혹은 오류 ... 342
5. 학문적 경험이 갖고 있는 선험적 요소들의 相互主觀性 ... 345
6. 학문에서 경험적 상호주관성의 역사적 조건 ... 348
제17장 신화에서 경험적 相互主觀性으로서의 합리성 ... 350
1. 제1의 신화적 해석도식 ... 351
2. 신화적 기본명제에 根抵한 原型 ... 353
3. 신화적 全稱命題의 경험적 확인이나 거부에 필수적인 審理的 規定 ... 356
4. 신화에서 실체적 전제, 경험 및 진실 ... 358
5. 신화적 경험에 필수적인 전제의 相互主觀性의 문제 ... 362
6. 신화에서 경험적 相互主觀性의 역사적 조건 ... 364
제18장 학문과 신화에서 의미론적 상호주관성으로서 합리성 ... 366
1. 학문 ... 366
2. 신화 ... 369
제19장 학문과 신화에서 논리적 상호주관성으로서 합리성 ... 373
제20장 학문과 신화에서 조작상의 상호주관성으로서 합리성 ... 378
제21장 학문과 신화에서 규범적인 상호주관성으로서 합리성 ... 383
제22장 非合理主義와 先合理的인 것, 상대주의와 합리주의 ... 385
제4부 신화적인 것의 現然
제23장 現代繪 에서 신화적인 것 ... 393
1. 주관성의 회화로서 학문적 실체론과 기술문명권에서 회화 ... 397
2. 대중미술 ... 413
3. 학문적 실체론과 기술문명에 대항하는 반동으로서의 회화 ... 415
제24장 기독교와 불트만 종교의 脫神話化 試圖에서 신화적인 것 ... 438
1. 新約聖書에 담겨 있는 신화적인 것 ... 440
2. 불트만의 (脫神話하는) 신학에 조명된 신화와 학문 ... 445
3. 실존적 分析論과 終末論 ... 448
4. 불트만의 (新約聖書의 脫神話化)와 비평 ... 452
5. 기독교와 신화의 차이 ... 461
6. 附論 : 魔法과 신화의 차이 ... 463
제25장 현대정치에서 신화적인 것 ... 468
1. 國家의 신화적 개념 ... 468
2. 脫神話化된 국가개념 ... 472
3. 신화적, 비신화적 국가개념의 兩立現實 ... 474
4. 정치적 似而非 神話(바르트 이론) ... 477
5. 신화와 이데올로기, 似而非 神話와 純粹 神話의 관계 ... 484
제26장 神話驅逐에 대한 해명시도에 있어서 이론적 문제점 ... 489
1. 학문에 의한 神話驅逐의 학문적 해명시도 ... 490
2. 학문에 의한 神話驅逐의 신화적 해명시도 ... 495
3. 콜라코프스키의 신화적인 것에 대한 이론과 제2 신화해석 도식 ... 498
제27장 神話沒落에 대한 휠덜린의 신화 ... 504
1. 黃昏 ... 504
2. 세계사의 의미 ... 508
3. 神話沒落에 대한 해명과 3시대(후기 고대기독교, 중세기독교, 근대의 학문적 계몽시대) ... 511
4. 신화의 回歸 ... 515
제28장 바그너에서 神話沒落의 신화 ... 518
1. 「프로메테우스」와 「니벨룽겐의 반지」간의 一致點과 差異點 ... 518
2. 「니벨룽겐의 반지」의 결말 ... 520
3. 「니벨룽겐의 반지」에 나타난 성스러운 墮落狀態와 고대의 典型 ... 523
4. 「파르시팔」에서 聖事神話 ... 525
5. 바그너와 고대에서 신화적 神人 ... 528
6. 희랍비극과 트리스탄에 나타난 신화적 밤과 원초적 품안 ... 529
7. 사랑의 形而上學 ... 531
8. 신화적 音樂劇과 현실관계에 대한 바그너의 暗示 ... 533
9. 원형과 主導樂句 ... 535
10. 요약 ... 539
제29장 세계사에 대한 휠덜린과 바그너의 신화적 암시론 ... 541
1. 비교 ... 541
2. 휠덜린과 바그너의 신화적 문학에서 拘束力의 문제 ... 543
제30장 결론 ... 548
1. 불변된 옛 신화의 回歸는 없다. ... 548
2. 신화적인 것의 부활에서 위험 ... 550
3. 신화연구에서 제시된 문제가 갖는 不可避性 ... 552
역자해제 ... 561
찾아보기
신화(독문) ... 569
인명(영문) ... 574
주제 ... 57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