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결과의식
편리할수록 좋아하는 버릇 ... 14
만사에 서두르는 버릇 ... 18
내 것으로 만들고 보려는 버릇 ... 24
형식 갖추기를 좋아하는 버릇 ... 29
기다리지 못하는 버릇 ... 31
표변하는 버릇 ... 37
신용을 지키지 못하는 버릇 ... 41
눈앞만 보는 버릇 ... 47
결과주의의...
더보기
목차 전체
제1장 결과의식
편리할수록 좋아하는 버릇 ... 14
만사에 서두르는 버릇 ... 18
내 것으로 만들고 보려는 버릇 ... 24
형식 갖추기를 좋아하는 버릇 ... 29
기다리지 못하는 버릇 ... 31
표변하는 버릇 ... 37
신용을 지키지 못하는 버릇 ... 41
눈앞만 보는 버릇 ... 47
결과주의의 형성요인 ... 52
제2장 행복의식
안네프랑크의 행복 ... 58
됨새 행복론 ... 61
한국의 파랑새와 서양의 파랑새 ... 64
재(財)는 재(災)-행복 위험론 ... 67
솜에도 발을 찧는다 ... 70
화(禍)와 복(福)과의 사이 ... 72
동백꽃이 붉어진 이유 ... 76
함양 박씨의 인사전(忍死錢) ... 79
정도전의 행복론 ... 84
김시습의 행복론 ... 87
체념 행복론 ... 89
불행의 해소방법 ... 92
비교 자위 처방 ... 94
자책 자조 처방 ... 96
동화 자위 처방 ... 98
제3장 계약의식
맡은 일과 맡지 않은 일 ... 102
한국 지사장과 미국 여사원 ... 106
미국인의 계약관 ... 110
구약고(口約考) ... 113
전기 기관차의 화부 ... 117
인정적인 인간 관계와 계약적인 인간관계 ... 120
신성보증 습속 ... 130
거울을 쪼개어 갖는 로맨스 ... 133
독작 문화 대작 문화의 차이 ... 137
제4장 시간의식
만만디 인도 열차 여행 ... 146
아랍 인의 내일은 모래 글피 ... 151
코리안 루스 타임 ... 154
시간대 감각 ... 160
미래 시간 감각 ... 165
이스탄불의 빼다지 ... 168
과거 속에 사는 사람들 ... 171
한국 시간 문화는 현재형 ... 173
키스 타임 루스 ... 178
일시다사주의(一時多事主義) ... 183
옛 선조들의 공(公) 시간 ... 188
경(硬) 시간과 연(軟) 시간 ... 191
정시법과 부정시법 ... 194
시계의 경제적 가치 ... 197
한국인의 과거 선망(羨望) ... 200
한국 시간의 원환 이미지 ... 205
제5장 공간의식
친화 공간과 위화 공간 ... 208
희랍에서 만난 수잔 양 ... 212
고향 감각과 객지병 ... 215
개화판 키스 사건 ... 217
한국인의 벤치 공간 ... 224
시어머니 공간과 며느리 공간 ... 231
흑백 경계와 회색 경계 ... 237
이동성 민족의 이질 공간 ... 243
정착성 민족의 동질공간 ... 246
보자기의 미학 ... 251
커쿠닝 현상 ... 257
밀집 공간의 심리반응 ... 263
기차 안에서 양말까지 벗는 한국인 ... 265
자연 공간도 장자지어 사유화 ... 268
한국의 소음 문화 구조 ... 269
한국 공간의 보이지 않는 서열 ... 272
공간 서열과 시간 서열 ... 278
제6장 자연의식
비활성(非活性)의 죽은 바다, 지중해 ... 282
서양 나무와 한국 나무 ... 288
풀벌레 소리도 없는 베를린의 가을밤 ... 291
유럽의 합리주의 ... 296
동양의 합리주의 ... 299
한국적 휴머니즘의 온상 ... 301
한국인의 안개 전치사 ... 304
천인상감(天人相感)의 애니미즘 ... 307
거시 사고와 미시 사고 ... 310
자연과 조화의 사이 ... 312
김시습과 자화상 시(詩) ... 315
한국의 집이 약한 이유 ... 317
(마태복음)의 달란트 비유 ... 320
암을 본인에게 숨기는 이유 ... 323
후추 서구 문화 ... 325
잔인한 서양인 ... 329
펄벅 여사와 소달구지 ... 331
답설과 살상계 ... 335
나무가 시집 가는 날 ... 337
중정식 사고(中庭式思考)와 외정식 사고(外庭式思考) ... 344
한 그루 반도목(半島木)의 과실들 ... 347
오두막이 허약한 이유 ... 349
직녀가 발 씻어 주는 경지 ... 352
분수와 의식구조 ... 354
상원(上元)날 개 밥 주는 계집 ... 359
추로(秋露)로 엿 고아 먹는 멋 ... 361
한국의 화(和)와 서양의 대립 ... 365
벼농사와 가족의식 ... 368
잔다르크와 한국 농부 ... 372
제7장 육아의식
한국의 어머니는 곡예사 ... 376
모태 체온 연장사고(延長思考) ... 379
부부 중심과 모자 중심 ... 382
날아든 종이 비행기 ... 384
감기의 열치(熱治)와 냉치(冷治) ... 386
묵살과 설득의 논리 ... 388
영국의 엄모주의(嚴母主義) ... 390
서독의 엄부주의(嚴父主義) ... 393
반항의 찬미 ... 395
한국의 위험한 단절 공백 ... 398
배신자의 말로 ... 400
양육 혁명 ... 402
도모지 ... 406
어머니의 심장 소리 ... 408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