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獨逸篇
제1장 獨逸의 分斷背景
제1절 제2차 세계대전의 발발 ... 11
제2절 獨逸分割에 관한 논의 ... 13
제3절 독일의 分割占領 ... 17
제4절 두 독일의 탄생 ... 20
제2장 東西獨 交流의 實態
제1절 동서독 교류의 槪觀 ... 22
제2절 각종 교류의 문제점 및 ...
더보기
목차 전체
獨逸篇
제1장 獨逸의 分斷背景
제1절 제2차 세계대전의 발발 ... 11
제2절 獨逸分割에 관한 논의 ... 13
제3절 독일의 分割占領 ... 17
제4절 두 독일의 탄생 ... 20
제2장 東西獨 交流의 實態
제1절 동서독 교류의 槪觀 ... 22
제2절 각종 교류의 문제점 및 해결 실태 ... 27
1. 경제교류 ... 27
2. 우편, 통신 교류 ... 36
3. 교통문제 ... 40
4. 人的 往來 ... 49
5. 문화, 교육, 학술, 문학, 출판물 및 언론인의 교류 ... 64
6. 스포츠 부문의 교류 ... 70
제3절 맺음말 ... 77
제3장 東西獨 政治敎育의 比較
제1절 정치교육 비교의 의의 ... 85
제2절 정치교육 목표의 비교 ... 88
1. 서독 청소년 정치교육의 목표 ... 88
2. 동독 청소년 정치교육의 목표 ... 91
제3절 정치교육의 내용 및 방법의 비교 ... 95
1. 서독 청소년 정치교육의 내용 및 방법 ... 95
2. 동독 청소년 정치교육의 내용 및 방법 ... 106
제4절 맺음말 ... 117
제4장 西獨 학생운동의 克服事例
제1절 서독 학생운동의 배경 ... 120
제2절 서독 학생운동의 전개과정 ... 126
제3절 서독 학생운동의 극복 실태 ... 133
1. 긴급조치법에 의한 국가 공권력의 적극적 행사 ... 133
2. 정부의 과감한 개혁정책 ... 135
3. 학생운동권 내부의 분열 ... 137
4. 일반 국민들로부터의 소외 ... 139
5. 정치교육의 성공 ... 140
6. 경제발전과 사회적 안정 ... 141
제4절 맺음말 ... 143
제5장 東獨의 統一政策 ... 148
제1절 동독이 全獨逸의 단독대표권과 정통성을 주장하던 시기 : 제1단계 ... 149
제2절 2국가이론 : 제2단계 ... 151
제3절 2민족이론 : 제3단계 ... 156
제6장 西獨의 東方政策
제1절 서독 동방정책의 槪觀 ... 161
1. 아데나우어(Adenauer)의 對外政策 ... 163
2. 브란트(Brandt)의 大聯政과 동방정책 ... 165
제2절 서독의 국내정치와 동방정책 ... 170
1. 정부의 동방정책 추진 동기 ... 170
2. 동방정책에 대한 야당의 입장 ... 173
제3절 국제 정치상황에서의 동방정책 ... 176
1. 소련 및 동구 제국과의 관계 ... 176
2. 미국을 비롯한 서방 제국과의 관계 ... 179
제4절 동방정책의 경제적 측명 ... 182
제5절 맺음말 ... 185
제7장 동서독과 남북한 관계의 차이
제1절 분단 배경의 차이 ... 187
제2절 동독과 북한 간의 견해차 ... 189
韓半島篇
제1장 한반도의 분단배경
제1절 분단 요인에 관한 제 논의 ... 197
제2절 한반도의 분단 과정 ... 199
제3절 분단의 성격 ... 205
제2장 북한의 對 중국 및 소련외교
제1절 북한 외교의 槪觀 ... 207
제2절 대 소련 일변도의 외교 ... 209
1. 소련 軍政 ... 209
2. 한국전쟁을 전후한 소련의 영향 ... 211
제3절 소극적 중립으로 변화 ... 213
1. 소련 공산당 제 20차 대회로부터 제22차 대회 ... 213
2. 북한 노동당 제4차 黨大會(1961.9)에서의 중립적 태도 ... 215
제4절 관 중국 외교시기 ... 216
1. 쿠바 사태 및 중, 국경분쟁과 관련된 中소紛爭 ... 216
2. 유럽 共産黨大會에서 나타난 북한의 중국에 대한 好意 ... 217
제5절 [적극적 중립]으로의 轉向 ... 220
1. A.N. 코시긴의 평양 방문(1965년2월) ... 220
2. 북한의 自主宣言 ... 222
3. 중국 文化革命에 대한 북한의 태도 ... 224
제6절 맺음말 ... 226
제3장 북한의 對 東歐外交
제1절 북한의 對 東歐外交 槪觀 ... 230
1. 東歐의 역사적 배경과 특성 ... 230
2. 북한의 외교 목표 ... 232
제2절 북한의 東歐에 대한 외교적 목표 ... 236
1. 북한의 외교적 지원획득 ... 236
2. 경제 및 과학, 기술, 지원 획득 ... 243
3. 북한의 안보 및 혁명역량의 강화 ... 255
제3절 북한의 對 東歐外交 전개과정 ... 258
1. 소련 의존적 외교시기 : 정권수립부터 戰後復舊期까지 ... 258
2. 對 東歐關係疎遠時期 : 中蘇紛爭期 ... 260
3. 북한의 자주노선 추구 : 東歐의 多元化 現象 ... 263
제4절 맺음말 ... 265
제4장 共産主義의 諸 流波와 북한의 主體思想
제1절 공산주의의 제 유파와 그 사상 ... 269
1. 초기 사회주의와 마르크시즘 ... 269
2. 소련의공산주의 ... 272
3. 중국의 공산주의 ... 275
4. 改革共産主義와 유로콤뮤니즘 ... 277
제2절 북한의 主體思想 ... 280
1. 주체사상의 생성 배경 ... 280
2. 주체사상의 내용 ... 283
제3절 제 유파의 사상과 북한 주체사상의 비교 ... 286
1. 제 유파의 사상 및 전략의 변천 ... 289
2. 북한[主體思想]과의 차이 ... 290
제5장 韓, 美, 日 군사협력 관계의 문제점
제1절 3각체제 ... 294
제2절 미국의 極東政策과 주한미군 철수 ... 296
1. 미국의 극동정책 ... 296
2. 주한미군 철수 ... 301
제3절 美·日 방위협력과 한반도 ... 305
1. 美·日 방위협력 ... 305
2. 일본의 군사력 증강과 방위 분담 ... 308
제4절 韓·美·日 군사협력의 문제점 ... 312
1. 美·日關係의 문제점 ... 312
2. 韓·美關係의 문제점 ... 315
3. 韓·日關係의 문제점 ... 316
제5절 맺음말 ... 318
제6장 북한의 統一政策
제1절 북한 통일정책의 槪觀 ... 324
제2절 民主基地 건설과 武力統一 시도시기 ... 326
제3절 휴전 이후 平和統一攻勢시기 ... 328
제4절 南北聯邦制 제의 ... 329
제5절 4대 군사노선과 3대 혁명역량 강화 시기 ... 331
제6절 [7.4남북공동성명]과 민족통일에 관한 5대 강령발표 ... 333
제7절 高麗民主聯邦共和國 창설 제안과 3자회담 제의 ... 335
제7장 한국의 統一政策
제1절 UN을 통한 통일 추구 ... 338
제2절 활발한 논의 전개 ... 341
제3절 남북 당사자 간 직접대화 제의 ... 342
제4절 기능주의적 통합이론 대두 ... 344
제5절 민족화합 민주통일 방안 ... 346
제6절 통일논의의 개방 ... 352
제8장 한반도 통일을 위한 제언
제1절 인식의 변화 ... 353
제2절 [5단계 통일온]구상 ... 358
1.준비단계 ... 361
2. 공존 초기단계 ... 362
3. 공존 성숙단계 ... 366
4. 국가연합 또는 共營邦 ... 369
5. 통일중립국 선포 ... 372
부록
1. 동서독 기본조약 ... 379
2. 스포츠 의정서 ... 385
3. 호네커 동독 서기장 서독 방문시 양독간 체결한 협정문 ... 386
4. 조선 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 ... 389
5. 조선로동당 강령 ... 403
6. 조선로동당 규약 ... 404
7. 한국휴전협정문 ... 412
8. 7.4공동성명 全文 ... 438
9. 노태우 대통령 통일 관련 특별선언 全文 ... 442
10. 김영식 문교부 장관 對北 제외 全文 ... 445
人名索引 ... 447
事項索引 ... 451
더보기 닫기